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광시계도 맞춰야 보배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여러 번 반복한 결과 두 광시계의 오차를 5시간에 40fs 이하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이번
실험
은 광섬유를 이용한 것이 아니라 공기 중에 직접 레이저를 쏴 진행한 만큼, 바람 등 환경요인에 의해 결과가 달라질 가능성도 최소화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가 중력파 연구와 GPS 개발 등에 도움을 줄 ... ...
[과학동아] 상처 난 곳까지, 출동 피부세포!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우리 몸의 1차 방어벽인 피부세포는 평소 거의 움직이지 않고 고정돼 있다. 그런데 이런 피부세포가 갑자기 활동적으로 움직이는 순간이 포착됐다. 미국 ... 피부궤양이나 화상 부위의 피부 재생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미국 ‘
실험
생물학회지’ 6월호에 게재됐다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대체, 내 미토콘드리아 하플로그룹은 무엇일까.’ 피펫 좀 잡아본 기자가 머릿속으로
실험
계획을 세워 봤다. 기본적인 장비를 제외한 대략적인 비용은 5만 원.1. 입속에서 세포를 채취해 mtDNA를 분리한다. 2. mtDNA 중 초가변영역(HVR) 유전자를 증폭한다(mtDNA 서열 전체를 읽는 것은 비용이 꽤 ... ...
[Tech & Fun] 스위스 폴쉐르 연구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수 있습니다. 또 놀라운 건 연구소가 연구원 개인에게 사고보험을 들어준다는 점입니다.
실험
중에 일어난 사고는 물론이고, 알프스산맥에서 스키를 타다가 다리가 부러져도 치료비를 보험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요.그렇다고 PSI 생활이 항상 좋은 점만 있는 건 아닙니다. 결정적인 애로사항은 바로 ... ...
[Interview] “우주엔 다섯 번째 힘이 존재할지도 모르죠”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무엇을 찾아야 할지 집중하게 해 주는 모델을 만들고 그에 따라
실험
하는 게 중요합니다. 비록 아무 신호도 못 봤다고 해도 시험한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뭔가를 알게 되는 거잖아요?”어려움을 만났나요? 질문하세요그는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받는 물리학자 가운데 한 ... ...
[과학뉴스] 비눗방울만큼 얇은 태양전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이용해 두께가 2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분의 1m)인 태양전지를 만들었답니다. 실제로
실험
해 본 결과, 이 태양전지는 유리로 만든 기존의 태양전지와 거의 비슷한 성능을 보였어요.불로비치 교수는 “이 태양전지는 옷이나 생활용품에 붙일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수학뉴스] 수학 질문은 왼손잡이에게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사용하는 지와 수학 성적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6~17살 청소년 2000명을 대상으로
실험
을 했습니다.연구팀은 먼저 이들에게 다양한 수학 문제를 풀게 했어요. 그 뒤에 어느 손을 더 많이 사용했는지 조사했습니다. 연구팀은 좌뇌와 우뇌 중 어느 쪽을 더 많이 사용하는지 측정해 어떤 손을 더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아바타의 성별을 다르게 만들어 게임하는 사람들을 분석했다. 게임 속 세상을 가상
실험
실로 보고 게임 내 데이터를 분석해 사람들의 행동을 이해해 보려는 것이다. 논문 제1저자인 박건우 연구원은 “다른 성별로 게임을 하는 사람들이 어떤 행동 패턴을 보이는지 궁금했다”며 연구 동기를 밝혔다 ... ...
[매스미디어] 최초의 돌연변이 깨어나다!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된다. 연구팀은 하나의 뉴클레오티드에서 정해진 염기 하나를 다른 염기로 바꿔가며
실험
했다. 특정 위치의 염기가 다른 종류의 염기로 바뀌었을 때 나타나는 변화를 확률 모형으로 나타냈다. 그 결과 어떤 위치에서 돌연변이가 나타나는지 알 수 있게 된 것이다.만약 돌연변이를 치료할 수 있다면 ... ...
[재미] 퐁! 퐁! 퐁! 물수제비 잘 뜨려면?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랜디 허드 교수 연구팀은 물수제비를 하기에 가장 알맞은 돌멩이의 모양을 찾는
실험
을 했어요. 또 물수제비가 생기는 과정을 관찰해 돌이 어떻게 수면을 튕겨 날아가는지 원리를 밝히고, 물수제비 모양을 예측하는 수학 모형도 만들었답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월 4일자에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