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앞발
주먹
도움
손바닥
약혼
sone
so’n
d라이브러리
"
손
"(으)로 총 5,212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림속으로 들어간 화가, 뒤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엉겅퀴 같은 식물을 들고 있는 작품이에요. 1493년에 그린 을 보면 22살의 남자가
손
에 꽃을 들고 있어요. 이 꽃은 ‘남편의 성실성’이라는 꽃말을 지녔지요. 어떤 사람들은 이 그림이 다가올 뒤러 자신의 결혼을 위해 신부의 부모님에게 줄 약혼선물이었을지도 모른다고 말하기도 해요 ... ...
Part 2. 기막힌 운이 승리를 가져다준 쌍륙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제대로 활용하는 것도 어렵다. 특히 자기 편에서 잡히면 가장 먼 데서 출발해야 해 그
손
실은 건너편 말이 잡히는 것보다 더 크다.비록 주사위 값은 운일지라도 우리는 주사위가 만드는 확률을 이용할 수 있다. 주사위 하나로 나올 수 있는 숫자는 모두 6가지다. 2개가 되면 36가지다. 그런데 1·2나 2· ... ...
숫자행렬 단추 퍼즐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홈페이지(math.dongascience.com)에서 확인하세요!영재 캠프의 점심시간, 식사를 마친 준혁은
손
에 재미있는 퍼즐을 쥐고 있었다. 선생님 “재미있어 보이는 퍼즐이구나? 그런데, 이 단추는 무엇을 하는 거지?” 준혁 “아, 선생님! 이건 그러니까…. 재미있는 건 맞는데 지금 뭔가 어려워요. 단추를 누르면 ... ...
Intro. 지구 리모델링하는 슈퍼아이디어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가 낸 아이디어다.기후공학을 지지하는 학자들은 우리가 더 이상
손
을 쓸 수 없을 때를 대비하기 위해 지구공학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과연 지구공학은 우리가 쓸 수 밖에 없는 대안일까. '병보다 위험한 치료법’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 ...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나간 사람은 무엇인가를 잡아야 한다. 오존에서 떨어져나간 산소라디칼도 마찬가지다. 양
손
을 둘 데가 없어 주변 물질에 달라붙는 것이다. 산소 라디칼은 미생물의 세포벽, 효소, DNA에 붙어 구조를 망가뜨려 기능을 없앤다.➋ 오존수로 세척하기 전과 세척한 후 사과 표면을 광학현미경으로 200배 ... ...
전통으로 빚어내는 꿀맛! 한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➎ 조청을 묻힌 후 튀밥이나 깨를 입힌다.입에 쏙 넣기만 하면 되는 유과가 이렇게
손
이 많이 가는 음식이었다니! 만드는 과정이 무려 한 달이나 걸리기 때문에 우리 조상들은 반죽을 미리 만들어 두었다고 해. 우리도 미리 만들어 놓은 반죽을 이용해 유과를 만들었단다. 명절처럼 유과가 많이 ... ...
Part 2. 5년간 성장한 왓슨 vs 제퍼디 퀴즈 영웅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누르는 엄지
손
가락 접었다 펴면서 빨리 누르기 위해 애를 썼다.사람이 생각하고 나서
손
이나 발로 표현하기까지 걸리는 반응시간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지만 보통 0.5~1초 정도가 걸린다. 즉 제닝스가 답을 찾은 뒤 버저를 누르기까지 적어도 0.5초가 걸린다. 하지만 왓슨은 이런 반응 시간이 없다.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현재 미래 인터넷 연구는 이 두 가지 전략을 모두 추구하고 있다.새로운 인터넷 우리
손
으로 만든다새로운 인터넷은 두 가지 방향에서 연구되고 있다. 현재의 인터넷 구조를 유지하면서 인터넷의 효율을 높이는 연구가 있다. ‘차세대 인터넷(NGN)’이라고 부르는데 대표적인 예는 IPv6다. 현재의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폭격기는 하늘에서 갑자기 나타나 폭탄을 쏟아 붓는다. 눈앞에서 폭탄이 터질 때 까지 두
손
놓고 있다가 당하는 수밖에 없다. 핵무기라도 장착하고 날아오는 날에는 국가의 존립이 흔들리게 된다.이런 스텔스 기술을 전투기에 적용하면 ‘하늘의 제왕’이 된다. 미군이 2006년 알래스카 기지에서 ... ...
그림자도 지우는 숨기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있던 가지나방 애벌레를 만지고 감짝 놀란 적이 많다. 산속에서 나뭇가지라고 생각해
손
으로 잡았을 때 ‘물컹’하는 느낌에 소스라치게 놀라곤 한다. [조팝나무가 먹이식물이다. 종령 애벌레의 몸길이는 40mm 내외. 나뭇가지처럼 서있을 때는 언제나 세 번째 가슴다리를 세워 잎눈처럼 보이게 한다.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