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명"(으)로 총 10,4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혈액을 분석해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였다. 설명을 듣다보니 마치 사람이 건강검진을 받는 병원에 온 것 같았다. 옆방인 분자유전학실험실에는 유전자증폭시스템과 분광광도계 같은 영장류의 유전체를 연구할 수 있는 장비가 즐비했다. 고품질 영장류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한꺼번에 분석할 경우 이 암세포들이 주황색이라는 잘못된 결론을 얻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그런데 최근 암 덩어리에서 암세포를 하나씩 분석해 항암제 내성의 원인을 밝히는 연구 방법이 등장했다. 김 교수가 이끄는 ‘단일 세포 유전체 연구실’에서는 암세포를 하나씩 개별적으로 분석해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섭취를 신경관 결함의 위험 요인으로 명시할 뿐, 중요한 요인으로 보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둘째는 공중보건의학이 개인에게 좀 더 적절한 생활 방식을 추천하는 것이지, 강제성을 갖지 않는다고 보는 사회적 인식을 꼽았습니다. 마지막은 엽산을 과다 섭취하는 것이 오히려 신경계 ... ...
- part 3. 최석정의 10차 라틴방진은 ‘아벨 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라틴방진이 아벨 군의 덧셈표와 같다니 놀라지 않을 수 없었죠. 아쉬운 점은 별다른 설명이 없어서 최석정이 아벨 군을 알았다는 증거가 없다는 거예요. 하다못해 이 라틴방진의 성질이라도 적어놓았다면 증거가 될 텐데 말이에요. 우연의 일치인지 아니면 진짜로 아벨 군을 알았는지 앞으로 ... ...
- 서보현 대구과학고 입학관리부장 - “우수하면 다음 단계 생략하고 우선 선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미치는 영향이 크다”며 “학생 선발 과정에서 인성을 중시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대구과학고는 올해 ‘국제청소년물리토너먼트(IYPT)’ 금메달, ‘국제화학올림피아드(IChO)’ 금메달, ‘아시아-태평양 정보올림피아드’ 은상, ‘도시대항 국제 수학 토너먼트’ 금상, ‘전국과학전람회’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공부와 자기소개서, 면접 준비도 모두 혼자서 했다. 그는 “학과 홈페이지에 나온 연구실 설명 등을 꼼꼼히 읽은 것이 가장 도움이 됐다”며 “면접을 볼 때 사교육을 받지 않은 만큼 대학에 입학한 뒤에도 스스로 공부를 잘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는데, 이 점이 면접관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긴 것 ...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빛의 속도로 달리면서 거울을 볼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회전 속도가 거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가 지구의 회전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기도 했지요. 예를 들어,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기차 안에서 뛰어 오르는 모습을 상상해 봐요. 기차는 분명 움직이고 있지만 여러분은 뛰어 올랐던 자리에 그대로 떨어질 거예요. 마치 제자리에서 뛰어 ... ...
- [식물 속 동물 찾기] 산꿩의다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줄기의 모양 때문에 ‘산꿩의 다리’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유래가 전해지지요. 이런 설명을 들으면 의아할 수 있어요. 산꿩의다리는 줄기가 약하고 가늘지만 꿩은 다리가 튼튼해 잘 달리기로 소문난 동물이거든요. 다만 꿩의 새끼를 이르는 ‘꺼병이’를 생각하면 이름의 유래가 그럴 듯하게 ... ...
- [에디터노트] 1993년 ‘불수능’의 기억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검색해보길 권한다. 하드디스크, 루이스 전자점식, 글루카곤과 글리코겐 등이 모두 설명돼 있다. 이번 호 기사로도 소개한다. ‘불수능 끝판왕’ 국어 31번 문제 해설도 포함시켰다. 수험생과 예비 수험생, 그리고 그들과 한마음일 부모님들에게도 응원과 격려의 마음을 전한다 ... ...
- [과학뉴스] 호주의 귀염둥이 ‘웜뱃’ 똥이 네모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부분에서 더 잘 늘어나기 때문에 대장 끝부분에서 직육면체의 대변이 만들어진다고 설명했다. 직육면체 모양 인공물을 만들 때는 보통 거푸집을 사용하거나 절단을 해서 만든다. 양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어떻게 부드러운 유기조직이 네모꼴을 만들 수 있는지 힌트를 얻을 수 있다”고 ... ...
이전2512522532542552562572582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