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자인
계획
구상
입안
착상
도안
건설
d라이브러리
"
설계
"(으)로 총 3,554건 검색되었습니다.
뇌파학습기 끼고자면 모두 우등생?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소리가 거의 들리지 않게 낮게 깔리고, 그 위에 어학테이프 소리가 들리도록
설계
돼 있다. 책을 보지 않고 듣기만 하려면 이 때도 광안경을 쓸 수 있다.졸음이나 노곤함을 쫓는 프로그램도 있다. 이 때 유도하려는 뇌파는 베타파처럼 주파수가 높은 파다. 약 10분정도 소리와 빛을 되도록 세게 해서 ... ...
2. 수능연구위원에게 듣는다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탐구의
설계
(실험, 조사, 연구의 계획)탐구상황:사회적 상황이 문제는 탐구의
설계
를 어떻게 해야 원하는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묻는 문항이다.황산 때문에 물고기가 죽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실험ㄷ'을 수행해야 한다.온도 때문에 물고기가 죽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실험ㄹ'을 수행해야 ... ...
1. 현장교사에게 듣는다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실험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실험은 목적, 설정된 가설, 실험
설계
와 과정, 결과 분석과 결론 도출 등이 일관되게 이루어져야 한다. 실험 전체의 유기적인 체계를 처음부터 끝까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④책에 있는 그림이나 도표를 주목하고 말로 표현해 보라과학에서는 거의 ... ...
Ⅰ. 대피라미드와 돌항아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자오선(어떤 지점에서 정북과 정남을 따라 천구에 상상으로 그은 선)과 일치하도록
설계
됐다. 하지만 실제로 측정한 결과 각 천문대는 자오선 방향에 대해 6호분과9호분씩 틀어져 있었다. 이에 비해 대피라미드는 3호분 남짓 어긋나 있을 뿐이다.또 오늘날 레이저빔을 이용한 초정밀 수준기(평면의 ... ...
④ 이동통신 궁금증 풀이 10문 10답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이동통신 시스템은 시속 30km 이하의 도보이동 속도를 기준으로
설계
된 것으로서 차량 내에서의 사용이 불가능하다.PHS가 이동통신시장의 틈새시장을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은 셀룰러 이동전화와 달리 기존 중통신망을 바탕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 ...
② 이동통신의 신예전투기 PCS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휴대전화와 대단히 유사하다. 그러나 휴대전화보다 기본적으로 많은 일을 할 수 있도록
설계
돼 있다. 이는 PCS가 8백MHz대의 주파수를 쓰는 기존의 휴대전화보다 훨씬 높은 전파인 1.8GHz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일반 휴대전화는 음성을 1초에 8천개로 쪼개어 보낸다. PCS는 1만3천개로 ... ...
4. 프로젝트 랩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인류복지에 이바지할 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전자공학과에서는
설계
위주의 창의적 교육인 프로젝트 랩(Project lab)이란 과목을 올 봄부터 개설했다.프로젝트 랩은 학부 4학년들을 위해 마련한 과제연구 과목이다. 전자공학 분야의 기술자로서 산경험을 쌓고 자질과 협동심을 ... ...
비행기 참사의 비밀 블랙박스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지우려면 지움 스위치를 약 10초간 누른다. 물론 비행중에는 인위적으로 지울 수 없도록
설계
됐다.마이크로폰 모니터에 입력된 소리는 기체 뒷부분의 기록장치에서 저장된다. 이번 대한항공 사고기의 경우 기록장치는 테이프형이다. 흔히 사용하는 자기 녹음테이프의 모습을 연상하면 된다 ... ...
몸에 숨겨진 성적 신호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때문에 길다란 페니스가 진화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은 어디까지나 페니스를 잘
설계
된 생식기로 전제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페니스의 성적 신호 기능을 배제한 설명이다. 그러나 페니스가 발기된 상태에서 5cm 이상이면 성생활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페니스가 오로지 생식기의 기능 밖에 ... ...
4. 바퀴벌레의 지혜터득한 로보로치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말았다.공학적 접근방법으로 그가 시간을 쏟아부은 연구가 자연에서는 이미 완벽하게
설계
된 완성품으로 나와 있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 완성품이란 다름 아닌 곤충들. 이들은 지금까지 만들어진 그 어떤 미소 기계보다도 세련되게 작동하고 있었던 것이다.시모야마는 곤충의 신경계를 자극하는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