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밍크고래는 남극바다의 보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생물
이 모여 군집을 이루고 산답니다. 그 덕분에 연구팀은 뼈 주변에서새로운 심해 해양
생물
아홉 종을 발견하기도 했지요. 즉 고래는 커다란 몸집만큼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이야기예요. 이 모든 과정이 수십 년 이상 걸리기 때문에, 64년 전에 죽은 밍크고래 뼈를 지금도 볼 수 있는 ... ...
[화보] 이렇게 성큼,봄이 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알알이 맺힌 봄의 흔적봄에 물든 연못에 개구리가 기지개를 폅니다. 겨울을 넘기는
생물
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들어갈 때와 나올 때를 아는 일이지요 무사히 봄을 맞은 개구리가 온기 가득한 봄바람에 신이 나서 고개를 연신 끄덕이며 경칩을 반깁니다. 일찍 깨는 개구리는 얼른 짝을 찾는 ... ...
4월, 더 독해진 황사에 대처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수도 있지만 해양
생물
이나 토양에는 영양분이 되기도 해요. 황사에 있는 무기염류가 해양
생물
에겐 좋은 영양분이 되고, 적조를 예방 하기도 하며, 토양을 비옥하게 만들고 산성화를 방지한답니다. 명예기자 황사가 나쁘다고만 생각했는데 착한 일도 하는군요~ ... ...
의학 - 물리학자가 암 정복에 도전을?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고 말했다.이들은 현재 암 표본에서 추출한 유전자와 16억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생물
의 계통수를 비교하고 있다. 이 이론이 옳다면 암 치료에도 새로운 방법을 도입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들의 주장은 ‘피직스 월드’ 7월호에 실렸다 ... ...
생물
학 - 거북 등딱지 가슴뼈에서 왔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생물
학 - 거북 등딱지 가슴뼈에서 왔다단단한 등딱지로 몸을 보호하는 거북. 이 등딱지는 외골격일까, 내골격일까?타츠야 히라사와 일본이화학연구소 박사팀은 거북의 등딱지가 거북 조상의 흉곽(가슴뼈)에서 발달했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9일자에 발표했다.척추동물의 뼈는 ... ...
수컷에는 없고 암컷에는 있는 것은?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없고 암컷에는 있는 것은?아드리아나 브리스코 미국 UC어바인 생태진화
생물
학과 교수팀은 헬리코니우스(Heliconius)라는 나비 종의 암컷이 수컷에는 없는 독특한 미각기관을 이용해 유독물질이 없는 식물을 찾아 알을 낳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이 논문에는 연구 내용을 요약한 만화가 부록으로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널려 있다. 원주민을 노예로 삼으려고? 특이점에 도달하기 전에 멸종할지도 모르는
생물
을 어디에 쓴단 말인가. 특이점을 넘어섰다 한들 달라질 것은 없다. 그들과 우리는 그냥 존재하고 살아가면 된다. 92억 15만 개의 명함은 바로 그런 이유 때문에 우주 곳곳에 떠 있다. 그 92억도 내게 할당된 이름의 ... ...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있다고 우려해요.반면 찬성하는 사람들은 자연에서도 없던
생물
이 등장하기도 하고 있던
생물
이 사라지기도하기 때문에 큰 차이가 없다는 거예요. 게다가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인위적으로 종자 개량을 해왔다고 해요. 예전에는 짝짓기와 돌연변이라는 우연을 기대한 방법을 썼다면 지금은 DNA와 ... ...
[수학뉴스] 밤새도록 수학 계산을 하는 식물이 있다?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길어지면 S/T 값이 작으므로 탄수화물을 조금씩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하워드 교수는 “
생물
이 이토록 세련된 수학 계산을 하는 것을 직접 확인한 것은 처음”이라고 연구의 의미를 밝혔다. 아울러 “애기장대의 물질대사가 수학적 모델을 따르는 것일 뿐 지능을 가진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 ...
[life & Tech] 여름 햇살 뒤흔드는 매미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환경학을 공부하고 매미소음문제를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2년부터 지금까지 국립
생물
자원관 ‘한국산 매미소리 도감’ 제작에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