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잔류농약, 바이러스로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바이러스를 이용해 잔류농약을 현장에서 바로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정호상 재료연구소 선임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 가능한 만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잔류 농약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며 “2~3년 내 상용화가 목표”라고 말했다. doi: 10.1021/acsami.8b0147 ... ...
- [Culture] 매, 매, 매운맛을 주세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유럽으로 가져갔고, 이후 100년간 인도와 중국, 일본을 거쳐 한반도로 들어왔다고 주장한 내용이 시초가 됐다. 하지만 권 책임연구원은 태조 이성계의 일화에 순창고추장이 등장하고, 고려 후기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이나 이수광이 1614년에 펴낸 ‘지봉유설’ 등 옛 문헌에 고추가 등장한다는 ... ...
- [Issue] 중국이 옮길 혁신이라는 산(山)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성공하면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글로벌 GPS 시스템을 구축한 세 번째 국가가 된다. 3년 내 해상도 50cm 이하의 위치확인 정확도를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2030년 중국이 보유한 독자 GPS 체계와 4차 산업혁명 기술이 결합된다면 도시에는 혁신적인 변화가 생긴다. 스마트 도로에는 인공지능 기능이 ... ...
- Part 1. 예보, 못 믿겠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이곳에도 옥상에 놓인 것과 똑같이 생긴 샘플링 관이 여러 대 놓여 있다. 이 관들은 건물 내부에 있는 장비들과 직접 연결돼 있고, PM10과 PM2.5에 베타(β)선을 쏴 자동으로 농도를 계산한다. 미세먼지가 있는 부분에서는 β선이 흡수되고, 미세먼지가 없는 부분에서는 β선이 그대로 통과하는 원리를 ... ...
- Part 6. 일반 마스크도 효과 있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이슈에는 공동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배 단장은 “미세먼지를 저감하려면 국내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줄이는 것뿐 아니라, 동북아 전체에서 미세먼지 발생을 줄이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이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미세먼지 ... ...
- [재학생 인터뷰] 꿈은 달라도 출발은 전기·정보공학부에서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전기·정보공학부로 바꾸면 경쟁력이 떨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 씨는 “내가 해 왔던 활동이 모두 전기·정보공학부와 관련된 것이 아닐지라도, 이 학과가 나를 원한다면 합격할 것이라는 자신감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래서 서류에도 자신의 진로가 구체화되는 과정을 진솔하게 ... ...
- [가상인터뷰] 고래의 청력을 손상시키는 멕시코조기의 합창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지역을 이동해요. 또 물 위에 떠 있는 배에서도 바닥에 귀를 갖다 대면 멕시코조기가 내는 합창 소리를 쉽게 들을 수 있지요. 그래서 어민들은 멕시코조기가 지나가는 길목을 지키고 있다가 합창소리를 듣고 그물을 친답니다. 이런 방법으로 최근 500척의 어선이 20일 동안 200만 마리에 달하는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3호
- ‘◯ ◯이(가) 카페에서 고른 메뉴’라는 관계가 생겼습니다. 이 관계를 자세히 나타내면 저와 다솔, 진호라는 손님의 모임이 있고, 다른 한쪽에는 아메리카노, 카페라떼, 카푸치노, 캐러멜 마키아토라는 메뉴의 모임이 있습니다. 이제 저와 카푸치노, 다솔과 캐러멜 마키아토, 진호와 아메리카노를 ... ...
- [Issue] 노벨상 산실 가속기 누가 먼저 짓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 현재 일본이 계획 중인 국제선형가속기(ILC·Inter national Linear Collider) 프로젝트에 국내에서 유일하게 참여하고 있는 김은산 고려대 가속기과학과 교수는 ILC와 중국의 CEPC를 비교하며 이렇게 말했다. ILC는 일본이 2013년부터 추진해 온 세계 최대 규모 선형가속기 건설 프로젝트다. 길이가 약 31km로 .. ...
- Part 2. 암호화폐 없는 블록체인 가능한가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아닐 것이다. 그가 우리에게 보여준 것은 사용자들의 자발적 참여를 보상 제도로 이끌어내고, 그 결과로 동작과 안전성을 확보하게 되는 선순환적인 글로벌 경제 생태계 플랫폼으로서의 블록체인일 것이다. 이종혁상명대 소프트웨어학과에서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2009~2013년 프랑스 ... ...
이전2512522532542552562572582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