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기한
음량
척도
표준
기준
깊이
d라이브러리
"
길이
"(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교과연계수업] 새해맞이, 달력은 어떻게 만들까?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되면 하루가 끝나는 것입니다. 요즘에는 지구의 자전 속도를 계산해 아주 정확한 하루의
길이
를 얻을 수 있습니다. 지구의 잔전 속도가 서서히 변해 생기는 오차를 바로잡기 위해 때때로 1초씩 더하거나 빼 주기도 하지요.두번째 공정 일주일을 만들자하루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봤으니 이제 일주일 ... ...
Part 3. 남녀 모두 수학이 맛있어지는 양념 공부법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수학을 발견한다면 수학과 금세 친해질 수 있어. 신호등의 녹색 불의 시간이 횡단보도의
길이
와 횡단보도를 많이 이용하는 사람의 평균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는 건 알고 있겠지. 버스정류장에서 기다리고 있으면 유난히 오지 않는 버스도 사실 운행 거리와 이용하는 사람의 수에 따라 간격이 결정돼. ... ...
[수학 통조림] 단위를 요리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자주 사용된다. 침실3의 가로는 4.5m(=4500mm)이고 세로는 4.65m(=4650mm)이다. 가로
길이
와 세로
길이
를 곱하면 방의 넓이 20.925가 나온다. 즉 이 방의 크기가 20.925㎡인 것이다.얼마 전까지 우리나라 사람들이 생활 속에서 익숙하게 사용하던 넓이단위는 ‘평’이었다. 1평은 3.3㎡이므로, 20.925㎡를 평 ...
Part 2. 달력은 정보의 바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추석은 항상 겨울과 있을까요?비밀은 바로 윤달에 있답니다. 음력으로 12달은 일 년의
길이
인 365일보다 짧아서 약 3년에 한 번씩 윤달을 넣어 줘야 한다는 것 기억하죠? 만약 윤달을 아무렇게나 넣으면 설이나 추석처럼 중요한 명절이 엉뚱한 계절에 올 수가 있습니다.그래서 윤달은 몇 가지 규칙에 ... ...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 수학계 변신의 귀재, 선!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주변의’라는 의미이고 metron은 ‘측정’이라는 의미다. 말 그대로 둘레를 측정한
길이
가 perimeter인 것이다. 모든 도형의 면적은 area라고 한다. area는 ‘지역’, ‘영역’이라는 뜻도 함께 가지고 있다. area는 불탄 땅이나 건조하게 드러난 평평한 빈 터를 지칭한 라틴어 area(아레아)에서 유래했다 ... ...
Part 3. 끝없는 달력의 도전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단점을 짚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고리력, 이건 안좋다! ❶ 제멋대로인 요일일 년의
길이
인 365일은 7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똑같은 날짜라고 해도 해가 바뀔 때마다 요일이 바뀐다. 공휴일이 주말과 겹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일 년에 쉬는 날의 수도 일정하지 않다. 게다가 매년 ... ...
겨울 추위 녹이는 우리 자연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깨닫게 된다.동물도 식물과 마찬가지로 함께 있을 때 더욱 아름답다. 황새목의 하나로,
길이
가 약 75cm인 커다란 저어새는 5마리 정도가 함께 붙어 다닌다. 한국에는 겨울마다 제주도에 찾아오며 따뜻해지면 강화도 부근에서 번식한다.저어새는 물가에서 먹이(작은 물고기)를 잡아 갈대밭에서 시간을 ... ...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호는 배 앞부분을 날카로운 칼날처럼 만들었다. 실제 이름도 ‘아이스 나이프’다.
길이
10m의 아이스 나이프는 뱃머리가 얼음 위로 올라갈 때 얼음을 쉽게 부수도록 돕는다. 배의 앞뒤에 있는 추진장치를 이용하면 제자리에서 360˚로 회전해 온 길로 되돌아갈 수도 있다.또한 아라온 호는 얼음에 갇힐 ... ...
팔색조처럼 다양한 음색 해금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쉽지 않다. 팔음 재료는 어디에 쓰였을까. ‘입죽’이라는 악기의 몸통을 만드는 데
길이
약 66cm의 검은 대나무(竹)인 오죽을 사용한다. 입죽 안쪽에는 철심(金)이 숨어 있다. 연주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하는 부분은 실(絲)로 만든다.그래서 일부에서는 편의상 해금을 팔음 분류법 중 사(絲)부로 ... ...
소리의 속력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인 실험실에서 음속의 이론값은 341.2m/s이다. 실험값 339.3m/s와는 차이가 크기 않다. 원통의
길이
를 측정할 때와 시간간격을 구하는 두 지점 측정시 발생하는 오차를 감안하면 이 방법을 이용한 소리의 속력 구하기는 간단하고 유용한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