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지
내륙
나라안
국내컴퓨터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내국
d라이브러리
"
국내
"(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터치스크린 열풍 속으로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아날로그의 퓨전터치스크린의 인기에 대한 상품매니저들의 해석은 제각각이다.
국내
에서 태블릿PC 제품군을 가장 많이 보유한 후지쯔의 상품매니저 모지원 과장은 터치스크린을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퓨전 기술”이라고 말했다.대부분의 PC 기술은 소비자의 성향을 따라가기 마련인데, ... ...
PART1 비교체험 KAIST vs. 포스텍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교수들이 협의해 결정하기에 정해진 일정이나 정답이 있을 리 없다. “KAIST의 시도는
국내
교육 전반에 영향을 미쳐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공부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권 교수는 내다봤다. 아는 만큼 가고 싶은 포스텍심층면접으로 최강 ‘300’ 뽑는다 “포스텍은 상위 1% 학생을 뽑아 0.1%의 ... ...
건강한 온도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삼중점이나 녹는점으로 정의돼 있다.표준연은 최고 10만분의 1℃ 까지 측정할 수 있어
국내
에서 가장 정확하다고 알려진 표준백금저항온도계를 기준으로 삼는다. 표준온도계와 일반 온도계의 측정값을 비교한 뒤 오차가 얼마나 나는지 제조업체나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표준백금저항온도계는 ... ...
'ID+IM'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교수로 임용됐다.그 뒤 배 교수는 산업디자인계의 ‘미다스 손’으로 성장했다.
국내
외 전자회사와 기계회사들이 앞다퉈 자사 제품을 디자인해달라는 러브콜을 던진 것. 실제로 지난 2003년에 코닥에서 의뢰받아 누구나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디자인한 디지털 카메라는 유럽 시장에서 큰 인기를 ... ...
물분자 캡슐이 포획한 차세대 에너지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액체가 되면 고체보다 상부의 무게를 버티는 힘이 약해져 무너질 수 있다. 익명을 요구한
국내
한 지질학자는 “1998년 영국 런던 지질학회지 특별판 137호에는 해저의 사면이 붕괴했을 때 메탄하이드레이트의 압력이 낮아져 메탄이 대량으로 방출됐다는 연구결과가 있다”고 말했다.메탄은 ... ...
PART2 있다! 없다! BEST 5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특별한 대학원이 있다! “MBA 하러 미국 가니? 난 홍릉 간다~!” KAIST는 지난 90년대부터
국내
최초로 기술과 경영을 접목시킨 테크노MBA를 개설했고 이를 바탕으로 1996년 서울 홍릉에 테크노경영대학원을 세웠다. 2005년에는 과학과 문화를 접목시키겠다는 취지로 문화기술대학원을, 1년 뒤에는 ... ...
과학하는 당신, 국가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배출 등 7개 사업 진행.-울트라 프로그램(Ultra Program): 해외 한인과학기술자를 초청해
국내
외 우수과학기술자간 네트워크 구축 (2006년 3월~2007년 5월, 총 8회 개최).4.은퇴단계-영년직연구원 제도: 우수연구원에게 영년직 연구원(tenure) 자격을 부여해 정년 보장.-퇴직과학기술자 활용(Techno Doctor): ... ...
광선총 든'산화물 해결사'가 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노 교수는 이 연구결과를 1999년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 논문은 지난 10년 동안 발표된
국내
과학자 논문 중 최대인 550회 이상 인용됐다. 현재 BLT를 메모리 소자로 사용하는 F램을 하이닉스사가 개발하고 있다.‘얇게 쌓기’ 세계 신기록연구단이 산화물 연구에 주로 사용하는 전략은 ‘겹겹이 ... ...
태권V의 완벽한 부활!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구매예약을 받고, 8월 15일부터 판매가 시작된다.이번에 발매되는 로보트태권V 피규어는
국내
최초의 라이선스 피규어로 지난 1월 디지털 복원판을 개봉했던 ‘(주)로보트태권브이’에서 야심차게 준비한 캐릭터 상품이다.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로봇디자인회사 ‘로이 앤 블록’에서 오랫동안 ... ...
화학반응 고삐'미니 숯'으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KAIST) 화학과 유룡 교수는 나노미터 크기의 다공성 탄소물질을 연구하고 있는
국내
의 대표적인 과학자다.실리카 거푸집으로 다공성 탄소물질 만들어유 교수가 나노 다공성 물질 연구에 발을 디딘 때는 1993년이다. 한 국제학회에서 나노크기의 구멍이 규칙적으로 뚫린 새로운 실리카 물질이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