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인
노예
종류
고용인
벨
기종
요령
뉴스
"
종
"(으)로 총 4,15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2000년 전 가야시대에 정말 차나무가 들어왔을까
2018.12.11
몇 개를 분석해 작년과 올해 해독된 차나무 두 변
종
의 게놈과 비교해본다면 정말 아삼
종
인지 바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그런 것으로 나온다면 인도 아유타국의 공주 허황옥이 차나무 씨앗을 가져와 심었다는 전설은 역사가 되지 않을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 ... ...
실내공기·구제역 '국민생활연구선도사업'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8.12.09
연구를 바탕으로 진단 능력을 높이는 과제가 포함돼 있다. 가상현실(VR)을 활용해 백신 접
종
등을 교육하는 내용도 포함된다. 개발된 시스템은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국가가축방역통합정보시스템과 연계해 현장에서 활용될 예정이다(아래). -사진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병선 과기정통부 ... ...
내 아이와 함께 과학 논문 한번 써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2.09
대상 생물 6
종
을 모두 연구한 팀도 5개 팀에 이른다. 5
종
을 연구한 팀은 8팀, 4
종
은 7팀, 3
종
을 연구한 팀은 26개팀이다. 초등학생부터 일반인까지 시민들이 수집하고 만들어낸 데이터를 활용해 연구자들이 연구를 하고 논문을 쓰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는 최근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중요한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한파를 이기는 법, 우리 마음은 이미 알고 있다
2018.12.08
아마추어 공연이나 행사에 가보는 것도 좋습니다. 헐값에 티켓을 구할 수 있습니다.
종종
무료(!)입니다. 시청이나 구청에서 주관하는 행사도 ‘큰 기대를 하지 않으면’ 제법 재미있습니다. 지역 학교의 학생이나 주민이 주로 출연하는데, 약간 어설픈 공연에도 큰 박수를 보내주십시오. 사랑하는 ... ...
[이달의 사물] 호랑가시나무
과학동아
l
2018.12.07
잎이 특징입니다. 크리스마스 즈음에 빨간 열매를 맺죠. 호랑가시나무는
종
류가 400~600
종
이나 됩니다. 그 중 한국과 중국에 분포하는 호랑가시나무는 잎이 호랑이 발톱 같다고 해서 ‘호랑이발톱나무’라는 이름을 갖고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호랑가시나무의 열매와 잎을 약재로 쓰기도 ... ...
한해 70만명 죽는데…항생제 발굴 연구 133건 출구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연구보다 미생물을 대상으로 하는 물질 연구가 비교적 다루기 쉽다”며 “미생물 쪽에
종
사하는 많은 연구자가 항생 물질을 찾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만큼 항생제로 개발될 수 있는 후보물질을 많이 확보해가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작 국내에서 발굴한 후보 물질은 적극 ... ...
[영상]영국왕립학회가 뽑은 올해 최고의 과학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있는 저 멀리에 있는 행성을 떠올렸다고 한다. 척박한 환경에서도 꿋꿋이 살아남아
종
을 유지하고 있는 오릭스를 본 작가는 곧바로 카메라를 들어 기록을 남기기로 결심했다. 로버트 가르시아 로아/영국왕립학회 제공 마이크로이미지 부문 우승작 ‘돌고 도는’. 쥐의 기생충인 ... ...
울릉도 땅속에서 말라리아 치료 해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사람 세포에서 독성을 띠지 않아 새로운 말라리아 치료물질로 적합다고 평가했다. 안
종
석 단장은 “국내 고유 미생물자원 활용해 천연물 혁신 신약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물질을 찾았다”며 “울릉도 토양 뿐 아니라 국내 생물자원을 활용하는 방안을 계속 발굴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 ...
말라리아 치료물질 '울릉도 토
종
미생물'이 갖고 있다
연합뉴스
l
2018.12.06
쉽게 말해 말라리아약을 듣지 않게 만드는 기생충을 저격하는 역할을 하는 셈이다. 안
종
석 항암 물질연구단장은 "울릉도 토양으로부터 희귀 미생물을 분리해 신규 이차 대사산물을 뽑아낸 것"이라며 "국내 중요한 자원으로서 울릉도 토양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는 성과"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 ...
"나라면 샤워 안한다" 샤워기 헤드에 박테리아 득실
과학동아
l
2018.12.05
마이코박테리아를 제외한 대다수의 박테리아는 인체에 무해한
종
이었다. 박테리아의
종
구성은 지역마다 차이가 있었는데, 유럽보다는 미국에서 마이코박테리아가 더 많이 발견됐다. 게버트 연구원은 “지리적 요건, 소독제, 배관 등 많은 부분이 박테리아 생성에 관여한다”며 “정확한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