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뉴스
"
알
"(으)로 총 4,35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가오리는 어떻게 서로 의사소통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6.11
네이처 제공 7일자 ‘네이처’ 표지에는 가오리를 투시한 사진이 담겼다. 가오리, 상어 등 고대부터 내려온 척추동물들은 아주 약한 전기장도 민감하게 감지하는 전기지각 기관이 ... 동물의 생활 방식과 환경에 맞게 생물학적, 물리학적 변형을 겪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과거 생명의 흔적? 35억 년 전 화성 암석에서 유기화합물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6.11
아이겐브로드 연구원은 “이 유기화합물이 생명의 흔적인지 여부는 아직 확실히
알
수 없다”며 “하지만 현재의 화성에서 오래전의 유기물을 찾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안 만큼 추가 연구를 통해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화성 대기의 메탄 농도는 계절에 따라 변동이 있다는 사실도 ... ...
쥬라기월드가 돌아왔다...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세 가지
과학동아
l
2018.06.10
UPI 코리아 공룡이 무엇을 어떻게 먹었는지는 이빨화석을 보면
알
수 있다. 벨로시랩터와
알
로사우루스 등 육식공룡의 이빨화석은 대부분 칼 모양으로 뒷날에는 스테이크 칼처럼 톱날이 달려 있다. 특히 티라노사우루스는 이빨이 납작하지 않고 두꺼워 먹잇감을 뼈째 씹어 먹었다. 이미 발굴된 ... ...
[짬짜면 과학 교실] 바다의 용궁은 무엇으로 지어졌을까?: 용해와 용액
2018.06.09
멋진 용궁을 새로 짓고 싶었어요. 하지만 소금은 물에 용해되는 물질이라는 것을
알
고는 마음을 고쳐먹었어요. 그렇게 용왕의 넉넉한 마음이 한순간에 바다 전체를 용궁으로 만들었어요. 그 바람에 바다의 모든 생물이 사는 집은 용궁이 되었어요. 이렇듯 ‘마음’은 마음먹기에 따라 요술 맷돌보다 ... ...
머리 큰 인류는 어떻게 태어났을까
2018.06.08
필요는 줄고 사회는 커졌다. 경쟁도 심하다. 미래의 인류는 뇌가 다시 작아질까. 지금은
알
수 없다. 약 4800개의 남녀 두개골을 연구한 결과, 구석기 말인 2만~3만 년 전 이후 인류의 뇌 크기가 남자는 10%, 여자는 17% 줄어들었다는 연구 결과가 1988년에 나왔다. 하지만 후속 연구가 없다. 곤살레스포레로 ... ...
나를 물려고 했던 상어, 이빨만 뽑혔다
팝뉴스
l
2018.06.07
뭔가 이상한 느낌이 들었다. 무엇에 부딪힌 것 같았다. 육지에 나와서야 상황을 정확히
알
수 있었다. 상어의 공격이었다. 이빨은 백상아리의 것이다. 백상아리가 서핑을 즐기던 남자를 쫓아와 물려고 했던 것이다. 백상아리는 이빨 하나만 남기고 사라졌고 보드 위의 남자는 보드 일부를 잃는 ... ...
[이강운의 곤충記] 시속 50km로 비행하는 나방 박각시를 아시나요
2018.06.06
제공 날개를 달고 짝짓기 한 후 자두나무에 조심스럽게 낳았던 연둣빛
알
이 부화 후 애벌레가 벌써 40mm. 고깔 모양머리와 몸통 끝 쪽 톱니 모양 긴 뿔이 달려있어 뿔 달린 벌레 ’Horn worm’으로 통하는 대왕박각시 애벌레가 부지런히 자두나무 잎을 갉아먹고 있다. 번데기(위), 대왕박각시 짝짓기 ... ...
[사이언스지식IN] 2007년 라돈 사태 이미 있었는데...라돈 문제는 왜 반복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6.06
정부는 방사선 피폭량이 합리적으로 달성 가능한 한 낮게 유지돼야 한다는 '
알
랄라(ALARA, 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 원칙에 따라 생방법을 국회에 제출했습니다. 2012년 7월부터 시행된 생방법에 따르면 천연방사성핵종이 포함된 원료 물질을 취급하는 업체는 취급자 등록을 해야 합니다. 또 종사자 ... ...
스트레스 완화하는 아로마 테라피, 실제 약리작용까지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06
온도가 일정하게 더 오래 유지됐다. 부화하는데 필요한 온도가 더 오래 유지되면서
알
에서 새끼가 빠르게 발달했다. 허브가 없는 둥지는 이 기간이 더 오래 걸렸다. 쿠퍼 교수는 “흰점찌르레기가 사용하는 허브가 부모새에게 약리학적 효과를 줬을 가능성이 있다”며 “그러나 실제로 각 약리 ... ...
[과학사진관] 나는 모든 지인들의 노력의 집합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01
에너지(혹은 거리)에 따른 전도도 변화를 측정해 물질의 위치에 따른 상태 밀도를
알
수 있다. SI-STM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데이터는 물질의 물성을 파악하는데 수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과학사진관]의 다른 작품 둘러보기 #만남 #이제나를봐요 #사랑의묘약 #폭풍우치는밤 #눈속에흐르는강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