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뉴스
"
분야
"(으)로 총 13,68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시들해지는 과학영재학교 열풍
2023.06.20
된다. 현대의 과학은 어설프게 알려진 영재‧신동에 의해서 발전하는 것이 아니다. 수학
분야
의 노밸상으로 알려진 필즈 메달을 받은 허준이 교수도 ‘수학 신동’이 아니었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교육 ... ...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이용해 미세먼지 촘촘히 측정하는 인증표준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6.20
2015년부터 운영하는 공동연구센터는 ‘하나로’에 측정표준체계를 구축해 측정 기술
분야
에서 국제적 신뢰도를 확보하고 중성자 방사화 분석을 표준물질 인증에 활용함으로써 국가 인증표준물질 개발, 생산 및 보급에 힘쓰고 있다. 공동연구센터에서 개발한 도시 미세먼지 인증표준물질은 ... ...
"AI 솔루션 주도 한국 영상의학계, AI는 이미 '소중한 동료'"
동아사이언스
l
2023.06.19
이
분야
에서 성장가도를 달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흉부영상
분야
의 성공적인 AI 활용 사례로 국가폐암검진 시범사업을 꼽았다.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이 사업은 2017년 시범사업으로 시작됐다. 시범사업을 거친 후 2019년에는 국가폐암검진사업에 포함됐다. 당시 시범사업에선 ... ...
142개 팀과 경쟁서 두각 드러낸 한국 AI...첫 ‘LG 글로벌 AI 챌린지’ 성료
동아사이언스
l
2023.06.19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 랩장은 “올해는 일반 이미지를 주로 썼다면 내년엔 다양한
분야
에 활용되는 이미지 등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형태까지 확장하겠다”며 “이미지 이해 연구에서 연구원의 리더십을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첫 챌린지에서 한국의 카카오브레인과 ... ...
이경무 서울대 석좌교수 “시각정보 읽어야 거대AI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3.06.19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 등과 경쟁하기 쉽지 않다는 관측이 있을 정도”라며 “범용 AI
분야
는 그만큼 자원을 투입하고도 이점이 불확실한 상황인 만큼 특화 전략을 펼칠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이런 전략을 거쳐 장기적으로 시각과 언어 등 여러 정보를 동시에 처리하는 ... ...
셔터스톡 AI총괄 “완벽한 AI 없어...윤리 논란, 재학습시켜 고도화”
동아사이언스
l
2023.06.19
관찰하는 영상을 보고 인간에게 건강 상태를 보고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 교육
분야
에서 다양한 영상 학습을 요약하거나 중요한 부분을 강조하는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시각장애인에게는 이미지 캡셔닝과 음성을 결합해 ‘길 안내 비서’가 될 수도 있다. 살라 의장은 LG그룹과 셔터스톡의 협업 ... ...
“이미지를 자연어로 설명하는 AI모델...편견 최소화·맥락 파악이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23.06.19
대표적인 문제로 꼽히는 ‘환각(Hallucination)’을 줄이는 기술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I
분야
에서 환각은 AI가 주어진 데이터 또는 맥락에 근거하지 않은 잘못된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를 말한다. 거짓을 마치 사실처럼 제시하는 경우다. 코르델리아 슈미드(Cordelia Schmid) 프랑스 국립컴퓨터과학연구소 ... ...
'힉스' 발견 LHC 잇는 차세대 입자 가속기 핵심 기술, 한국 연구진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6.19
분야
로 연구를 확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지난 수십 년간 방사광 가속기
분야
에서 세계 최고의 결과를 이끈 포항가속기연구소가 MOU에 참여해 향후 CERN과 협력을 통해 전자-양전자 충돌 실험에 필요한 가속기 기술 개발을 선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빛, 전기, 세포외소포체… 상처를 치료하는 n가지 방법들
과학동아
l
2023.06.18
회복 능력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것”이라며 “이번 연구가 피부과학 및 의학
분야
에서 유글레나 유래 세포외소포체를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세포외소포체 중 특히 작은 엑소좀을 이용해 유효 물질의 흡수력을 더 높이는 연구도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다. ... ...
뇌세포로 만든 '바이오컴퓨터'가 게임도 했다
과학동아
l
2023.06.17
작업에서 우리의 뇌는 기존 컴퓨터를 따라갈 수 없지만 인간의 두뇌가 더 잘 작용하는
분야
가 분명히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배양된 뇌세포가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여러 연구가 나왔지만 그중 아직까지 장기 기억을 실현한 연구는 없었다”며 “뇌 오가노이드의 장기 기억이 가능해진다면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