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산
제조
산출
저작
가공
수법
창작
d라이브러리
"
제작
"(으)로 총 3,811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 걸러주는 필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잡초 등으로 막은 후 그 위에 여과 보조제로 석회를 깔아 만들었다. 이 여과기로 염료를
제작
했다고 한다.중세에는 보편적으로 헝겊 위에 액체와 고체 입자 등을 올려놓은 후 중력에 의해 액체를 여과했다고 한다. 이러한 방법은 우리나라에서도 예로부터 많이 사용돼 왔다. 예를 들면 한약재료를 ... ...
혜성처럼 살다간 별나그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2년 후에는 한발자국 더 나아가 14인치 반사경에 도전해 완성한다. 또 20인치 망원경을
제작
하기 위해 미국에서 반사경을 수입하기도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망원경을 이용해 그는 온 밤하늘을 샅샅이 살피며 관측에 열을 올렸다.대학시절 그의 별에 대한 열정은 기인이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이용한 디스플레이(전계방출 디스플레이, Field Emission Display: FED)는 소비전력과
제작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화질도 기존의 브라운관 이상 수준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탄소나노튜브는 약간의 전압을 가해도 안정적으로 전자가 방출돼 전자총 역할을 할 수 있어요. 그 ... ...
2001년 뜨는 멀티즌 지는 네티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상영하는데 무리가 없도록, 영화의 길이는 4분, 초당 12프레임을 넘지 않게
제작
됐다.국내통신업계도 발빠르게 멀티즌 시대에 맞는 서비스들을 강화하고 있다. 유니텔은 1월13일 ‘PC통신이 아닌 영상통신 시대’를 선포했다. 영상 문서공유 파일전송 등의 기능을 추가한 영상전화서비스, TV홈쇼핑처럼 ... ...
분단 이후 북한의 과학문화유산 연구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모습을 드러냈는데, 19세기 후반 실학자 이규경의 ‘비차변증설’이란 논리에 근거해
제작
했다. ‘비차는 따오기 같은 모양으로 4명을 족히 태울 수 있고 30리를 날 수 있다’는 기록이 바로 그것이다.북한의 대표적 과학기술사서적 가운데 하나인 ‘조선기술발전사’에도 문제의 비차에 대한 ... ...
세균 잡거나 약 전달하는 나노헬리콥터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돌아다니며 의학적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머리카락 1천분의 1 굵기의 초소형 헬리콥터가
제작
돼 시운전에 성공했다.미국의 과학주간지 ‘사이언스’ 최근호는 미국 코넬대 몬테매그노 교수팀이 인체 내부 어디로든 돌아다닐 수 있으며, 세균을 잡거나 약을 전달할 수 있는 바이러스 크기의 ... ...
기억이 이식된 복제인간 6번째 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그대로 반영하면 공상과학영화가 아니잖아요.훈기_ 이 영화에 대한 에피소드인데….
제작
자가 영화의 배경을 처음에는 먼 미래로 설정하려고 했다가 기술 발전 단계를 보니 가깝게 느껴질 것 같아 다시 가까운 미래로 설정했다고 하더라구요. 참! 드러커가 일부러 질병 유전자를 넣는 장면이 ... ...
초승달이 그믐달로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동일한 모델이다. 안테나부분은 그대로 들여왔지만 수신기와 전파분광기의 설계와
제작
은 국내에서 이뤄졌다. 서울대 대학원생 최한규씨가 분광기를, 이정원씨가 수신기를 담당했다.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런 경험은 국내기술의 노하우로 고스란히 축적됐다. 또한 변도영씨는 안테나를 ... ...
3. 태양계에서 노다지 캐는 미래 우주벤처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일본의 ‘뮤지즈-C’가 있다.미국의 스페이스데브사는 상업적인 소행성탐사선 닙(NEAP)을
제작
해 탐사선 자체를 판매하기도 하고, 탐사한 소행성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 탐사선은 2001년 4월 3일 발사해 2002년 5월에 소행성 네레우스에 도착할 예정이다. 한두개의 장비를 ... ...
첨단 토목공학이 건설한 한국 최장의 다리 서해대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이뤄졌다. 교량의 바람에 대한 안전성은 실제 교량과 똑같은 2백50분의 1 모형을
제작
해 평가했다.또 한반도에서 발생주기가 1천년빈도인 리히터 규모(Richter Magnitude) 6의 지진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진설계해 다리의 안전성을 확보했다. 여기서 리히터 규모란 독일의 리히터가 도입한 지진의 정도를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