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전자총과, 시료를 통과한 개별 전자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카메라가 필요했다. 이후 약 20년간 많은 과학자와 기술자들이 협력해 전자현미경을 개선하는 데 힘을 쏟았다. 그 과정에서 해상도가 차츰 높아졌고, 결국 2013년부터 최적화 된 극저온전자현미경이 여러 대학과 연구소에서 본격적으로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예를 들어 수정란에 억제 단백질 8개가 DNA를 꽁꽁 묶고 있다고 생각해 봅시다. 세포분열 이후 수정란이 8세포기로 접어들면 세포 각각에 있는 억제 단백질은 1개로 급격히 줄어듭니다. 한편 세포분열 횟수와 관계없이 수정란이 수정된 지 몇 분이 지났는지를 확인해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신의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셀마 존슨이 미국의 49개 도시를 최소 이동거리로 도는 방법을 일반 계산기로 찾았지요. 이후 학자들은 이 방법을 이용해서 최적의 답을 구할 수 있는 도시 수를 늘려갔습니다. 1977년에는 120개 도시, 1987년 2392개 도시에 관한 최적경로를 알아냈지요. 1998년에는 1만 3509개, 2004년에는 2만 4978개까지 ... ...
- [수학공감] 여행에서 수학을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프로그램이 끝나고, 모둠별로 희비가 엇갈렸다. 승리는 14401이 나온 모둠에게 돌아갔다. 이후에는 스틱밤 도미노, 별자리와 수학, 수학 창작시 짓기, 수학자 강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1박 2일의 시간이 흘러갔다. 송 교사는 “수학캠프라고 수학 안에서 만 탐구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와 ...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제품으로, 콜라겐 생성 및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준다. 마데카크림은 2015년 4월 출시된 이후 1년 반 만에 200만 개 이상이 판매되는 등 원조격인 마데카솔보다 더 많이 팔리고 있다. 정세영 경희대 약대 교수는 “코스메슈티컬의 등장으로 점차 화장품과 약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그 사람을 보고 말았습니다. 절대로 만나서는 안 될 사람을 말이지요. 그 사람을 만난 이후로 저는 그 근처를 다니기가 두려워지고 말았습니다. 처음에는 우선 투어 코스를 바꿔 보았습니다. 그러자 그늘 밖으로 걷는 시간이 많아져버렸죠. 투어를 끝까지 완주하는 참가자 수가 줄어든 것은 당연한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화학 회사들로부터 수많은 공격을 받았어요. 하지만 카슨의 노력 덕분에 DDT는 1970년대 이후로 사용이 금지되었고, 전세계적으로 자연을 보호하는 환경운동이 시작됐답니다 ... ...
- [Issue]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과학동아 l2017년 10호
- 5일 한국의 탄두중량 제한을 해제하는 데 합의했다. 1979년 처음으로 미사일지침을 체결한 이후 38년 만이다. 이전까지 우리나라의 미사일 탄두중량은 500kg, 사거리는 800km로 제한돼 있었다. 사거리가 제한된 상황에서 탄두중량 제한을 해제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 한미 미사일지침에는 중요한 ...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과학동아 l2017년 10호
- ‘MSG’로 불리는 그 분자다. 하지만 감칠맛이 제5의 맛으로 공식 인정받은 건 1980년대 이후 혀에서 MSG와 결합하는 미각 수용체가 발견되고 나서였다. 80년 동안 학계에서 감칠맛이 기본 맛으로 인정받지 못했던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느끼지 못해서’라는 이유였다. 일본어로는 ‘우마미(うま味)’ ... ...
- Part 6. 무한은 칸토어가 만든 낙원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참이든 거짓이든 증명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무한을 향한 끝없는 도전괴델과 코언 이후 자연수 집합과 실수 집합의 중간에 있는 집합을 찾으려는 노력은 줄어들었지만, 남은 수수께끼를 풀기 위한 노력은 계속됐다. 2013년, 마리안디 몰리아리스 미국 시카고대 수학과 교수와 사하론 셸라흐 ... ...
이전2502512522532542552562572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