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사람이 만들고 바람이 키운 산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번 산불은 아주 작은 불씨에서 시작돼 산 전체를 태울 만큼 커져 버렸어요.무엇이 불씨를 만들었고, 또 그 불씨를 키운 건 무엇이었을까 ... Part 2. 사람이 만들고 바람이 키운 산불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Part 4. 산불 이후 숲은 어떻게 될까?Part 5. 숲 속의 다람쥐는 언제쯤 ... ...
- [에디터 노트] 노벨상의 시간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일본은 미국 국적 2명을 포함해 지금까지 22명이 노벨상을 받았고, 이 중 17명은 2000년 이후에 나왔다. 하지만 마냥 부러워만 할 일은 아니다. 지난해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오스미 요시노리 일본 도쿄공업대 명예교수는 ‘유네스코 과학보고서’에서 “2000년대 노벨상 수상 연구는 대부분 1980년대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음 같은 존재로, 질량, 스핀 등은 모두 동일하지만 전하가 반대인 관계다. 존재가 예상된 이후 80년간 관측되지 않았다. 이런 입자로 큐비트를 만드는 건 무모한 도전처럼 보이지만, 성공할 경우에는 가장 안정적이고 범용성이 큰 양자컴퓨터를 개발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마요라나 페르미온의 입자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예를 들어 수정란에 억제 단백질 8개가 DNA를 꽁꽁 묶고 있다고 생각해 봅시다. 세포분열 이후 수정란이 8세포기로 접어들면 세포 각각에 있는 억제 단백질은 1개로 급격히 줄어듭니다. 한편 세포분열 횟수와 관계없이 수정란이 수정된 지 몇 분이 지났는지를 확인해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신의 ... ...
- [Issue]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과학동아 l2017년 10호
- 5일 한국의 탄두중량 제한을 해제하는 데 합의했다. 1979년 처음으로 미사일지침을 체결한 이후 38년 만이다. 이전까지 우리나라의 미사일 탄두중량은 500kg, 사거리는 800km로 제한돼 있었다. 사거리가 제한된 상황에서 탄두중량 제한을 해제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 한미 미사일지침에는 중요한 ...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과학동아 l2017년 10호
- ‘MSG’로 불리는 그 분자다. 하지만 감칠맛이 제5의 맛으로 공식 인정받은 건 1980년대 이후 혀에서 MSG와 결합하는 미각 수용체가 발견되고 나서였다. 80년 동안 학계에서 감칠맛이 기본 맛으로 인정받지 못했던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느끼지 못해서’라는 이유였다. 일본어로는 ‘우마미(うま味)’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4색 정리의 응용판! 베크너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반례가 있다면 31개 중 하나를 반드시 포함한다는 걸 컴퓨터의 도움 없이 보입니다. 이후 최소 행정구역 수를 가진 반례는 31개 경우 각각을 포함할 수 없다는 걸 컴퓨터로 일일이 따져 증명합니다. 그 중 어떤 부분은 인텔 제온 CPU 48개를 사용해 55일간 계산했습니다. 비로소 성공한 토마센 ... ...
- Part 1. 그 男자의 ‘개기름’ 그 女자의 콜라겐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다만 그 원리는 밝혀져 있는데, 콜라겐과 마찬가지로 성호르몬이 핵심이다. 사춘기 이후 피지샘세포에서 성호르몬의 합성과 변환 등이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피지가 분비된다. 특히 피지샘에는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으로 바꾸는 5알파-환원효소와 DHT에 ...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제품으로, 콜라겐 생성 및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준다. 마데카크림은 2015년 4월 출시된 이후 1년 반 만에 200만 개 이상이 판매되는 등 원조격인 마데카솔보다 더 많이 팔리고 있다. 정세영 경희대 약대 교수는 “코스메슈티컬의 등장으로 점차 화장품과 약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겁니다! 역분화 유전자 4개 중 1개(c-Myc)가 종양 유전자였기 때문이었습니다. 역분화 과정 이후에 이 유전자가 다시 활성화되면서 암을 유발한 것입니다(doi:10.1038/nature05934). 다행히 후속연구에서 이 유전자를 빼거나, 다른 유전자 조합으로 역분화를 유도하는 해결 방법이 나왔습니다. 세포의 ... ...
이전2502512522532542552562572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