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전
움직임
이사
운동
양도
전위
전임
d라이브러리
"
이동
"(으)로 총 5,192건 검색되었습니다.
자동차보다 빠르고 우리나라를 덮고도 남는 태풍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1초당 60m로 한 시간에 216km를 움직이는 빠르기였다. 강한 태풍의 바람은 고속도로에서
이동
하는 자동차보다 2배 더 빠른 셈이다.또 태풍은 크기도 엄청나다. 2002년 태풍 루사는 반지름이 650km로 지름이 1000km가 넘는 대형 태풍이었다. 우리나라 서울에서 제주까지의 직선 거리가 약 450km이므로 태풍 ... ...
100% 예측은 어려워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위로 부는 바람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은 대부분 편서풍을 타고
이동
한다.로렌츠의 3차원 끌개 미국의 기상학자 로렌츠가 대기의 변화 모양을 3차원 공간에 그린 그래프다. 질서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일정한 법칙으로 변하지는 않는다. 로렌츠의 나비효과는 ‘브라질에서 ... ...
세포 호흡과 ATP 합성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해당과정 세포 내에서 호흡 기질이 O2에 의해 산화되는 과정은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일어난다. 세포질로 들어온 포도당은 분자 크기가 커서 미토콘드리아의 ... 회로의 순환속도가 빨라지고, 이로 인해 훨씬 더 많은 양의 NADH2와 FADH2가 전자전달계로
이동
해 산소의 소비를 크게 촉진시킨다. ... ...
대결! 위기의 지구를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마일리지’라고 불러요. 자, 여러분이 먹은 음식의 먹을거리 발자국은 얼마인가요?
이동
거리 = ( ㎞ )먹을거리 발자국 = ( )gCO2*먹을거리 발자국 공식(gCO2)= 거리(㎞) × 탄소발생량(0.005톤) × 배의 온실가스 배출계수(39)(예) 오렌지 = 9547 × 0.005 × 39 = 1850(gCO2)*자료 : (사)한살림, 한계레신 ...
뱅글뱅글 도는 태풍의 모양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바람이 밖에서 안으로 불어 들어온다. 부족해진 공기를 채우기 위해 바람이 불며 공기가
이동
하는 것이다. 이때 바람은 중심을 향해 직선으로 불지만 실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휘어져 들어온다. 지구가 자전하며 생기는 힘인 전향력 때문이다. 따라서 태풍의 모양은 바람개비가 도는 모양과 비슷한 ... ...
판타스틱 경험디자인 월드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내비게이션 기능을 선택한다. 하지만 메뉴를
이동
하려면 차례로 하위메뉴를 거쳐
이동
해야 한다. 또 휠이나 조이스틱을 조작하는 손 감각을 익히는 데 시간을 들여야 한다. 이런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최근엔 바로가기 기능과 시작메뉴 불러오기, 돌아가기 등 추가 기능이 생겼다. 기존의 기계적인 ... ...
아핀변환으로 해석한 핀치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수도 있다. 층밀림변환은 정사각형의 한 변을 고정한 채 마주보는 변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
시킨 경우다. 그 결과 정사각형이 평행사변형으로 바뀐다.13종 부리 세 그룹으로 나눠져그런데 이런 수학용어와 핀치의 부리가 무슨 상관이 있을까. 새의 부리는 3차원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 부리의 길이, ... ...
[culture] 발로 느끼는 숨 막히는 절경 그레이트 오션 워크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없다면 일부 구간만 골라 도전할 수도 있다. 아무런 도움 없이 도전할 수도 있지만
이동
경로에 맞춰 픽업서비스는 물론 가이드의 자세한 설명과 식사, 잠자리까지 해결해 주는 다양한 업체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자세한 내용은 www.greatoceanwalk.com.au나 그레이트 오션 워크 트레일의 대표 업체인 ... ...
경험을 측정하는 시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발생하거나 현재 위치를 몰라서 전원 버튼을 누르면 TV가 바로 꺼지기보다, 첫 화면으로
이동
하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구상할 것을 제안했다.단계 3 몇 번이고 반복되는 시제품 평가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완료되자 시제품을 개발했다. 시제품은 종이에 도식이나 그림을 그려서 간단하게 만들 ... ...
백두산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닥치진 않을 것이다. 백두산이 겨울에 폭발해 북풍을 타고 화산재가 남쪽으로
이동
하지 않는 이상 화산재가 비처럼 내릴 가능성도 희박하다. 하지만 북한 동북부 지역과 중국을 비롯해 백두산 동쪽에 있는 러시아 원동지역과 일본 동북지방은 큰 피해를 입을 것이다. 에이야프얄라요쿨 화산이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