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
기술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임무가 기다리고 있다는 걸. 우리 인류는 이제 더 큰 꿈을 꿀 것이다. 화성을 넘어, 더 먼
우주
로의 여행이라는 꿈을. 언제 끝날지 모르고 성공할지도 모르지만, 그럼에도 절대 포기하지 않을 꿈 말이다 ... ...
[과학뉴스] 태양돛 올려
우주
여행 떠나자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때문이다. 다만 사람이 여행에 이용하기에는 에너지 효율이 낮은 것이 흠이다. 미국항공
우주
국(NASA)은 사람이 타고 여행을 하려면 돛 길이가 수십km 이상은 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 ... ...
[Knowledge] 절대공간은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중력을 느끼며 쉬지 않고 움직이는 그림이 그려지지 않는가. 라이프니츠가 생각한
우주
는 달랐다. 그는 뉴턴의 제자 새뮤얼 클라크(뉴턴의 ‘광학’을 라틴어로 번역한 것으로 유명하다)에게 편지를 보내 ‘텅 빈 절대공간’을 반박했다. 먼저 ‘시간’을 사건들의 ‘먼저’와 ‘나중’으로 ... ...
[Knowledge]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일이었다.보편중력 법칙은 하늘은 완벽하고 땅은 불완전하다는 오래된 믿음을 깨뜨렸다.
우주
의 태양이든 땅위의 사과든 모든 물질은 물리법칙 아래 평등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사람들은 더 이상 철학과 신학에 얽매이지 않고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기 시작했다. 계몽주의를 대표하는 ... ...
[생활] 수학을 알면 야구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5년 03호
경우, 베이스런에서 실제 실점을 뺀 값이 클수록 운이 좋았다고 볼 수 있다. 과연 2014년에
우주
의 기운이 함께한 팀은 어디일까? 2014년 공격 면에서 행운의 여신이 함께한 팀은 LG트윈스와 SK와이번스, 그리고 NC다이노스다. 베이스런에 비해 득점이 20점 이상 많았다. 세 팀 모두 득점 상황에서 특히 ... ...
[이달의 사물] 구글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 작전이 논의되는 걸 봐서, 이 행사에 전문가들도 관심이 적지 않다. 당시 충남대 천문
우주
학과 이유 교수는 “달에 있는 화산성 동굴이 거주지로 최적”이라며 탐사로봇의 아이디어를 제시하기도 했다.구글이 허언증에 걸린 것은 아니라는 걸 지난 1월 말 알 수 있었다. 중간 점검 결과를 ... ...
[Life & Tech] EXO직캠 찍어볼까?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일반인 외계행성 탐사는 ‘과학동아’가 중계한다. 따뜻한 봄밤, 하늘을 올려다보며
우주
저 멀리 떨어진 또 하나의 지구를 상상하는 것만큼 낭만적인 일이 또 있을까. [외계행성을 찾기로 한 서울 풍문여고 천체관측반과 조용현 지도교사(왼쪽 끝) ... ...
화산 오늘도 뜨겁게 부글부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등을 감시해 화산이 언제 분출할지 늘 확인하고 있답니다.지난 1월 7일 NASA(미국항공
우주
국)의 과학자들은 하와이에 바퀴가 두 개 달린 작은 로봇을 보냈어요. 길이가 30cm에 불과한 이 로봇의 이름은 ‘볼케이노봇1(VolcanoBot1)’. 뜨거운 마그마가 지나간 자리에 생긴 균열을 확인하고 땅 속에서 ... ...
[손바닥 인터뷰] ‘셀프 디스’는 계속돼야 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수 있게 환경이 바뀌고 있어요. 사람들에게 이게 어떤 의미를 지닐까가 궁금했습니다. 또
우주
과학은 국가적인 역량이 필요하거나 엄청난 엘리트들만이 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이에 대한 편견도 바꾸고 싶었어요.Q 1인 과학의 시대가 열린다는 영화의 주제와 비슷해 보이는데….A 제가 영화를 ... ...
[과학뉴스] 다중성계 형성 초기, 첫 포착!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포착됐다.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천문학연구소 하이메 피네다 박사팀은 27개의
우주
전파망원경을 모은 집단 전파망원경 시스템 ‘장기선 간섭계(VLA)’ 등 미국에 있는 세계 최대 망원경을 이용해 페르세우스 별자리 주변을 관측했다. 그곳에서 2000~4000AU(1AU는 지구-태양 간 거리) 거리를 둔 채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