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행
이행
실천
실현
단행
실시
수행원
d라이브러리
"
수행
"(으)로 총 3,237건 검색되었습니다.
3 작물개량과 육종의 첨병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비롯해 각 농과대학 유전공학 연구실에서 유전자전환연구가 활발히
수행
되고 있다. 이미 벼 감자 토마토 딸기 유채 등에서 유전자 전환식물체를 얻었으나 아직 실용성이 있는 품종은 개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유전자 전환기술의 효과는 초기단계에서는 기존의 품종개량과 ... ...
21세기 교통신호시스템 무인운전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신속히 대처하도록 할 예정이다. 지역제어기도 정보전달의 중간매체 역할만을
수행
하는 현재의 수준에서 검지기정보를 1차처리해 중앙센터에 보내는 방식으로 통신정보내용을 간소화했으며 중앙컴퓨터에서 지령받은 신호시간을 현장 상황에 따라 재조정하는 지능형으로 개발 중이다.가로망상의 ... ...
노지카박물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이용과 해양환경보호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며 해양문화와 과학공간으로서의 역할도
수행
하고 있다.노지카는 '바다와 인간'이라는 주제 아래, 자연 섭리에 따라 바다를 보호하고 이용해야 한다는 이념에 따라 설립된 세계 유일의 종합해양과학박물관이다. 노지카는 박물관 과학기술전시관 수족관 ... ...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마우스의 위치를 표시해주는 화살표를 움직여 원하는 그림을 지적해주면 그 명령이
수행
되는 방식이다. 여기서 전자를 메뉴방식(menu driven)이라고 하고 후자를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라고 한다. 매킨토시 컴퓨터의 경우 컴퓨터를 켜자마자 바로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로 ... ...
21세기초 착륙대비 화성지도를 완성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알아내는데 주력했으나 결과는 'NO' 였다. 바이킹 1,2호는 이미 생명이 다했으나 (임무
수행
불가) 아직도 화성표면에서 먼지를 뒤집어 쓴채 지구인들이 자신을 데리러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다.마르스옵서버 이전 인류는 화성에 모두 19번에 걸쳐 탐사선을 쏘아올렸다. 옛 소련이 마르스 7회, 존드 1회, ... ...
실크로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만들어진 것인데, 엷은 분홍색을 띄어 홍사암 이라 일컫는다. 병령사는 인도를 오가던
수행
승들이 이 바위에 1백80여개의 굴을 뚫고 불상을 새겨 모셨던 곳이다.하서회랑에 진입하면 지금까지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던 황하의 지류가 없어지고 모든 하천이 동에서 서로 흐른다. 하서회랑이란 해발 ... ...
지구온난화 막아주는 CO₂고정화기술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만들어 1990년부터 10년 계획으로 국가가 중심이 돼 여러 협력기업과 같이 프로젝트를
수행
하고 있다.생물학적 고정화팀은 도쿄 대학 과학기술 센터와 함께 △ 광합성 미생물 탐사 및 육종 △ 유기물질 생산 △ 배양장치 및 태양광 집광 요소 기술개발을 하고 있다. 화학적 ${CO}_{2}$ 고정화팀은 일본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바다 밑바닥 구석구석을 일구는 갯지렁이는 해양생태계의 환경미화원 노릇을 충실히
수행
하고 있다.바다 속의 생물로 물고기나 플랑크톤 같이 해수 중에 살고있는 것만 생각 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는 바다 밑바닥에 높은 밀도로 생물들이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해저의 저서생물(benthos) 가운데 ... ...
염색체 21Q·Y염색체 유전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사람 염색체 21q의 유전지도 작성과 방대한 유전문자 판독의 실현성, 현 과학기술의
수행
능력과 문제점을 타진한 셈이다. 그 결과 염색체 21q의 방대한 유전정보를 한 눈으로 볼 수 있는 유전지도를 성공적으로 작성함으로써 사람의 남은 염색체와 다른 생물의 게놈연구를 추진하는데 있어서 그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계획이라고 한다. 아무튼 이 묘한 장치는 체중측정 뿐아니라 가축의 원격감시도 손쉽게
수행
해 낸다.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기억소자 - 서울대 김원찬교수, 국내 최초개발"기존의 기억소자는 피동적으로 반응하는데 비해 '아날로그 DRAM셀'은 능동적으로 대처하지요. 이 셀의 장점은 다치신호 및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