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롱다리·똘똘이 유전자의 허황된 약속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막내딸은 P씨 부부의 걱정거리였던 것이다.부부는 의논 끝에 딸아이의 유전자를 검사해
보기
로 했다. 남편은 유전자 검사의 효용성에 대해 회의적이었으나 부인은 취업 경쟁이 날로 심각해질 것이기 때문에 어려서부터 적성과 특기에 맞는 교육을 시키는 것이 좋다고 고집했다. 남편은 결국 부인의 ... ...
여름 은하수에 묻혀있는 쌍둥이 별무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가량 떠있다. 다른 대상에 비해 고도가 낮아 남쪽이 탁 트인 곳이 좋긴 하지만 너무 낮아
보기
어려운 정도는 아니다.배경 잔별과 어울리는 또다른 성단 M6프톨레마이오스처럼 M7을 맨눈으로 볼 수 있을까. 초보자들에게는 뿌연 은하수 속에 위치해 있는 이 거대 산개성단이 맨눈으로 보이는지, 보이지 ... ...
2 외계생명체 찾는 첨단로봇들의 화성침공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접근거리가 더욱 짧아지는 현상(대접근)이 나타난다. 올여름에는 이런 대접근 중에서도
보기
드물게 가까워지는 대접근이 펼쳐진다. 평소라면 탐사선이 화성에 도달하는데 10-12달이 필요하지만 이번에는 6-7달이면 충분하다. 또 가까운 만큼 화성 표면에서 탐사로봇이 얻은 정보를 지구에 ... ...
울릉도 1백년 전설 돈스코이호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암반으로 확인됐다. 기대가 무너졌다. 탐사팀은 다시 전열을 가다듬고 실패 요인을 따져
보기
시작했다. 탐사팀은 울릉도가 화산활동으로 생긴 섬이라는 점에 착안했다. 울릉도의 해저 지형은 일부 평탄하다가 경사가 31-50。나 되는 급격한 절벽이 나타난다. 최대수심은 약 2천2백m에 이른다. 2백m의 ... ...
수박 자르지 않고 맛을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신선도 유지가 점점 개선되고 있다. 가장 중요한 신선도 판단 기준은 사람의 눈이다.
보기
에 신선해보이지 않는 과일은 당연히 신선도가 떨어진다. 모든 과일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신선도의 판단 기준은 꼭지부의 상태다. 꼭지가 말라비틀어졌을 경우에는 수확한 후 상당한 기간이 지난 것이므로 ... ...
북반구하늘 최고의 구형 별무리 M13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보인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현실적으로 맨눈 관측은 거의 불가능하다. M13의 겉
보기
지름은 보름달보다 약간 작은 23′ (1′= 60분의 1˚)가량이다.구상성단 M13을 처음 발견했던 사람은 핼리혜성의 재출현을 예측한 것으로 유명한 영국의 천문학자 핼리다. 그는 1714년 M13을 별과는 다른 작은 빛뭉치로서 ... ...
과학과 인문학 사이 다리 놓은 과학기술학자 송상용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그것은 아름다운 것이고 설사 잘못 이용되더라도 과학의 책임이 아니라는 것은 틀렸다고
보기
시작했다. 그는 “과학이 좋은 쪽으로나, 나쁜 쪽으로 응용될 수 있는데, 이것을 만든 과학자에게 책임이 없다는 것은 무책임한 말”이라고 얘기한다. 그리고 “과학자가 잠재적인 위험을 안고 있는 ... ...
보이는 것이 모두 진짜는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그 물체까지의 거리를 고려해 짐작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멀리 있는 물체일수록 겉
보기
크기를 원래보다 큰 것으로 착각하게 되는데, 이를 ‘거리착시’라고 한다. 지평선에 떠오른 달은 지평선의 어떤 사물보다 멀리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달의 크기가 같음에도 불구하고 더 크게 보인다는 ... ...
검은 고양이는 행운의 상징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돌연변이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검은 고양이는 그 때문에 나오는 것입니다. 사람들
보기
엔 나빠도 고양이 자신의 건강에는 검은 털이 좋은 것입니다.한편 같은 고양이과라도 사자나 호랑이는 재규어나 고양이와 같은 유전자 돌연변이가 없다고 합니다. 검은 사자, 검은 호랑이가 없는 것도 이 ... ...
봄밤 처녀자리에 풍성한 은하무리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정확히 이 두 별의 중간쯤에 M87과 그 주변은하들이 존재한다.M87은 8.6등급에 3′ 가량의 겉
보기
지름을 가진 타원은하다. 주변에 많은 은하들을 거느린 대표주자로 망원경에서는 작고 초라한 모습이지만 처녀자리은하단을 중력적으로 지배하는 가장 거대한 은하다. 처녀자리은하단의 대장이라 할 수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