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스페이스
공백
여지
간격
빈틈
자리
d라이브러리
"
공간
"(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2011 제주 수학 축제, "나도 수학 사랑해마씸!"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이뤄진 정이십면체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지오데식 돔은 적은 재료를 가지고도 큰
공간
을 덮을 수 있고 튼튼하다는 장점을 가진다.또 다른 구조물인 시어핀스키 피라미드는 폴란드의 수학자 바츨라프 시어핀스키가 1917년 만든 프랙탈 시어핀스키 삼각형을 3차원 입체로 만든 것이다. 구조물을 기획한 ... ...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있었다. 그리고 한 달뒤 물리학자 폴스타인하르트와 도브 르바인이 펜로즈 타일을 3차원
공간
으로 확장해 5각형 대칭구조를 설명한 논문을 발표했다. 합금의 결정 패턴이 펜로즈 타일과 유사하다는 이 논문에서 이들은 좁게보면 패턴이 보이지만 크게 보면 규칙적으로 반복되지 않는 이런 구조를 ... ...
INTRO. 아인슈타인의 종횡무진 시
공간
여행기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함께 시
공간
을 여행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아인슈타인의 종횡무진 시
공간
여행기PART 1. 타임머신의 탄생PART 2. 타임머신 터미널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PART 4. SF꽁트 -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중성미자를 관측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아인슈타인의 종횡무진 시
공간
여행기PART 1. 타임머신의 탄생PART 2. 타임머신 터미널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PART 4. SF꽁트 - ... ...
Part 2. 노벨 화학상 - 제3의 고체, 준결정의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물질이다. 전자현미경으로 보면 원자나 원자군이 대칭구조를 이루며 주기적으로 배열돼
공간
을 꽉 채운 모양이 나타난다. 이런 물질이 ‘결정질 물질’이다. 만약 원자가 규칙적인 배열 없이 무작위로 섞여 있다면 ‘비정질 물질’이라고 부른다. 유리가 대표적이다. 즉 고체는 결정질 물질 아니면 ... ...
스티브 잡스는 어떻게 시대의 아이콘이 되었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자동차를 수리해서 판매하는 작업
공간
이었다. 스티브잡스의 부탁에 아버지는 그
공간
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스티브 잡스와 스티브 워즈니악은 작업에 몰두하느라 차고와 집은 쓰레기투성이가 되기 일쑤였다. 이를 청소해준 사람은 바로 스티브 잡스의 어머니였다. 수술을 받아서 몸이 피곤한 ... ...
리얼스틸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맞붙는 권투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숀 레비 감독은 권투라는 스포츠와 어울리는
공간
을 만들기 위해 복고를 택했다. 그 결정은 성공한 듯하다. 시간이 갈수록 배경과 로봇 권투가 자연스럽게 느껴진다. 만약 로봇 권투가 화려한 미래 도시에서 벌어졌다면 오히려 더 이질적이었을 것이다.전직 ... ...
은둔 수학자 페렐만 거부한 100만 달러의 행방은?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위상수학 문제로 밀폐된 3차원
공간
에서 모든 폐곡선(회로)이 수축돼 한 점이 된다면 이
공간
을 공 모양인 구로도 변형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페렐만은 이미 2006년 필즈상 수상도 거절한 바 있으며, 최근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정회원 자격도 거부했다 ... ...
Part 1. 이랬다 저랬다 미스터리 양자월드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정확하게 에너지가 0인 순간이 존재해야 무의
공간
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공간
은 에너지와 시간 둘을 동시에 정확하게 알아낼 수 없다는 불확정성 원리에 위배된다. 따라서 우리가 생각하는 완전한 무는 존재할 수 없다.아인슈타인이 “도깨비 같은 원격 작용(spooky action at a distance ... ...
[Math Tour] 피사의 사탑 기울기를 재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10°기울었다고 하자. 그러면 남쪽이나 북쪽으로 기울어진 각도는 0°다. 이와 같이
공간
에서는 방향에 따라 기울어진 정도가 다르다. 그러니 이쑤시개가 얼마나 기울었는지 알려면 먼저 기울어진 방향을 찾아야 한다. 여기서 수학의 ‘정사영’ 을 이용하면 쉽다.이쑤시개 위에서 판과 수직으로 빛을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