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82건 검색되었습니다.
헉! 원통형이라던 탄소나노튜브가 나선형이라니
과학동아
l
2014.06.09
small)’ 5월 16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탄소나노튜브는 지름이 1나노
미터
(1나노
미터
는 10억 분의 1m) 정도로 가늘지만 인장력이 강철의 100배에 이를 만큼 견고하고, 반도체와 같은 특성을 지녀 1991년 처음 발견된 이후 계속 ‘꿈의 소재’로 불려왔다. 그런데 반도체로서의 성질이 불안정하고 ... ...
물고기의 아가미 주름, 그냥 있는 게 아니었네
과학동아
l
2014.06.02
되는 구조인 ‘새판’의 배열 간격이 물고기 종류나 크기에 상관없이 40μm(마이크로
미터
) 내외라는 사실에 주목했다. 0.1g에서 100kg까지 물고기의 크기는 다양한 데 반해 새판의 간격은 일정했던 것. 연구팀은 물고기 아가미를 모사한 마이크로칩을 만들어 어떤 간격일 때 산소이동이 가장 ... ...
[채널A] 공포의 유독가스…1초에 5m 수직 상승
채널A
l
2014.05.28
곧바로 연기가 나더니 위쪽부터 서서히 차오르기 시작합니다. 점화한 지 1분 만에 8.64제곱
미터
(2.6평) 공간의 상층 절반이 연기로 가득 찼습니다. 이번에는 천장이 막히지 않은 상태에서 실험해봤습니다. 연기가 위로 올라가는 속도는 1초에 최고 5m. [인터뷰 : 유용호 / 건설연 화재안전연구센터 ... ...
개별 세포 조종 성공…맞춤형 치료 가능해지나
과학동아
l
2014.05.21
아이디어를 얻었다. 연구팀은 먼저 실험용 쥐의 림프구 세포에 자성에 반응하는 나노
미터
(nm=10억분의 1m) 크기의 ‘자성나노입자’를 결합시켰다. 그리고 쥐의 몸 밖에서 자기장의 방향과 세기를 조절해 세포를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는 데 성공했다. 또 세포를 원하는 곳으로 보낸 다음 주사기로 ... ...
‘마법의 렌즈’면 머리카락보다 625배 작아도 보여요
과학동아
l
2014.05.18
크기는 얼마나 될까. 사람이 눈으로 인지할 수 있는 가시광선의 파장은 400~700nm(나노
미터
·10억분의 1m) 수준이다. 이 파장의 절반보다 시료의 크기가 작아지면 광학현미경으로 관찰이 안 된다. 이를 회절한계라고 부른다. 200nm보다 작은 시료는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없다는 뜻이다. 이 ... ...
세계도시 88% 대기오염 심각
동아일보
l
2014.05.09
요소가 되고 있다고 7일 발표했다. 미세먼지는 입자 크기에 따라 지름이 10μm(마이크로
미터
·1μm는 100만분의 1m) 이하인 PM10, 지름이 2.5μm 이하인 PM2.5(초미세먼지)로 분류된다. WHO의 가이드라인은 PM10은 m³당 20μg(마이크로그램·1μg은 100만분의 1g), PM2.5는 m³당 10μg 이하다. WHO는 조사 대상 도시의 12%만 ... ...
차세대 구동장치 ‘인공근육’ 개발됐다
과학동아
l
2014.05.09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특수 처리한 그래핀을 쌓아 종잇장처럼 얇은 5㎛(마이크로
미터
·1㎛는 100만분의 1
미터
) 두께의 전극을 만들어 인공근육으로 활용한 것이다. 실험 결과 그래핀 인공근육은 6시간 동안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됐다. 오 교수는 “그래핀 인공근육을 이용해 로봇이나 ... ...
“이 논문을 양승만 교수님께 바칩니다”
과학동아
l
2014.05.07
반사해내는 소자를 만들었다. 소자의 핵심은 소자에 골고루 섞여 있는 150~250nm(나노
미터
·10억분의 1m) 크기의 아주 작은 유리구슬이다. 실험 결과 유리구슬의 크기에 따라 소자가 내는 빛의 색깔이 마치 오팔처럼 미묘하게 달라졌다. 김 교수는 “이들 소자로 디스플레이를 만들면 뒤에서 ... ...
별빛 한눈에 쉽게 보는 분광기 개발
과학동아
l
2014.04.30
것. 연구팀은 지상에서 관측할 수 있는 적외선 영역인 H-밴드(파장 1490nm(나노
미터
, 1nm=10억분의 1m)~1800nm)와 K-밴드(1960nm~2460nm) 범위를 동시에 관측할 수 있도록 IGRINS를 구성, 넓은 파장 범위 관측을 수월하게 했다. 또 분광기 크기도 기존 분광기의 10분의 1 수준으로 축소해 망원경 뒷 편에 직접 ... ...
반도체 공정 ‘10나노’ 장벽 무너지나
과학동아
l
2014.04.30
획기적으로 늘려주는 신기술을 개발했다. 반도체 공정의 한계로 거론돼 온 10나노
미터
(nm) 공정의 장벽을 깰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상욱 KAIST 교수팀과 권세훈 부산대 교수팀은 5nm급 초미세회로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재료분야 권위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