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옳음
정당함
뉴스
"
공정함
"(으)로 총 2,955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전지 신소재로 LED 조명 효율 큰 폭으로 높였다
2016.07.18
교신저자로 연구에 참여한 김동하 이화여대 화학나노과학과 교수(왼쪽)와 제1저자 전리나 연구원 - 이화여대 제공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신소재 ‘페로브스카이트’를 이용해 조명장치로 ‘발광다이오드(LED)’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각종 조명장치는 물론 TV나 모니터 같은 디스플 ... ...
네이버 이해진 의장 “구글 지도, 한국에 서버 둬야”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6.07.16
네이버 창업자인 이해진 이사회 의장이 구글 지도 반출 논란에 대해 입을 열었다. 이 의장은 구글이 한국 법에 따라 국내에 서버를 두고 서비스를 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앞서 구글은 국토지리정보원에 공식적으로 한국 지도 정보 반출을 공식 요청한 바 있다. 한국의 지도 정보를 해외에 있 ... ...
“피인용 지수(IF)로 연구자 평가, 불공정”
2016.07.11
과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평가할 때 주로 사용되는 ‘임팩트 팩터(Impact Factor·피인용 지수)’가 사실상 큰 의미가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임팩트 팩터는 국내에서도 정량 평가 척도로 오랫동안 사용돼 온 만큼 파장이 예상된다. ‘네이처’ ‘사이언스’ 등 소위 임팩트 팩터가 높은 학술지 편집자 ... ...
플라스틱 원료 만드는 ‘인공 나뭇잎’ 개발
2016.07.10
이산화탄소로부터 포름산을 만드는 '인공광합성' 광촉매 개념도 -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기후변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줄이면서 산업용 화학원료를 합성하는 ‘인공 나뭇잎’을 개발했다. 백진욱 한국화학연구원 인공광합성연구그룹장이 이끄는 연구팀이 빛에너지를 이용해 ... ...
피할 수 없을 땐 자기합리화?!
2016.07.05
같은 일을 해도 남성이 더 많은 임금을 받는 등의 성차별 문제에 대해 이것이 사회의 불
공정함
을 드러내는 것인지, 혹은 여성이 원래 남성보다 열등하기 떄문인지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그 결과 앞으로 이민이 점점 더 어려워져 자신이 속한 사회에서 탈출하는 것이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생각한 ... ...
소프트웨어가 내 형량을 결정한다고?
2016.06.29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서 주인공 톰 그루즈가 미래에 발생할 범죄 장면을 분석하는 모습 - 이십세기폭스코리아 제공 어떤 범죄자가 다시 범행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을지 낮을지 소프트웨어가 결정한다면 어떨까요? 여러분이 재판을 받게 되었는데, 판사가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이 측정한 재범 ... ...
“디지털이 촉발한 미디어혁명 개인의 창의성이 가장 큰 무기”
동아일보
l
2016.06.18
“기술 발전과 함께 경제도, 미디어도 변하고 있습니다. 언제부턴가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이 더 많은 수익을 내고 가치를 창출하고 있죠. 기성 언론과 뉴미디어 간의 경계도 허물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시대에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창의성’과 ‘자유’, 이를 펼칠 제대로 된 ‘시장’입니다.” ... ...
그래핀 대체할 2차원 고분자 나온다
2016.06.14
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꿈의 신소재’로 불리던 그래핀을 대체할 새로운 2차원 물질을 개발했다. 백종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사진)팀은 2차원 고분자물질로 선형 대비 전기가 100억 배 잘 흐르는 소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전기가 흐르는 전도성 ... ...
수명 다한 태양전지, 간단히 씻어서 재활용한다
2016.06.14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세청 공정 전후 모습. 광 흡수층이 제거되면서 투명한 기판이 드러났다. 전극에 사용했던 금도 수거가 가능한 형태로 용매 속에 가라앉아 있다. - 성균관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수명이 다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간단히 씻어서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 ...
“양자 컴퓨터 실용화 길 열렸다”
2016.06.14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컴퓨터로 불리는 ‘양자컴퓨터’의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기술을 새롭게 발굴해 냈다. 김해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전자현미경연구소 책임연구원팀은 그리스 국립과학원인 데모크리토스 연구소 등 국제 연구진과 공동으로 양자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