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미국"(으)로 총 2,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크기도 무게도 맛도 두 배인 슈퍼 넙치 국립농수산원에서 슈퍼넙치 개발 성공기사 l20140329
- 맞춘 육질 개발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어떤 맛일지 참 기대되네요. 또한 최근 제주도에서는 보약을 먹고 자란 보약넙치 1.5톤이 미국에 수출되기도 하고 황금넙치가 발견되어 큰 놀라움을 주었습니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경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슈퍼넙치가 빨리 대량 생산되어 우리 식탁 앞에 나왔으면 좋겠고 보약넙치,황금넙치,슈퍼넙치외 ...
- 중력파의 발견이 왜 중요할까요? 빅뱅은 아시나요?기사 l20140321
- 주변 공간에 커다란 물결이 일어날 수 밖에 없는데 워낙 미세해서 여태까지 과학자들이 발견을 못하고 이론에만 남아있었다. 그런데, 미국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센터는 17일(현지시간)인터넷으로 전 세계에 생중계된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이론을 뒷받침하는 직접적인 증거를 찾았다고 발표했다. 이번 관측에선 중력파에 의해 생기는 직접 효과인 빛 ...
- 오늘은 크림반도에 대해 포스팅을 하려 합니다. 여러분은 크림반도에 대해 아세요? 크림반도는포스팅 l20140318
- 투표한 결과, 크림반도 주민들은 경제적 문제 때문에서 인지, 크림반도 주민들은 러시아아와 합병하고 싶다 라고 하네요. 하지만 미국,EU가 가만히 반대를 하고 있는 상황!! 이포스팅을 읽고,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친구들, 우로러 모둠 친구들은 크림반도가 러시아, 우크라이나 중 누구의 땅이라고 생각 하시나요? *댓글 투표... ...
- 와이파이 현미경 알아요? 와이파이현미경은 현미경의사진을 스마트폰,패드에보내는 현미경이라 크포스팅 l20140317
- 와이파이 현미경 알아요? 와이파이현미경은 현미경의사진을 스마트폰,패드에보내는 현미경이라 크기가 작습니다. 또 종이현미경이라는게있는데 이 현미경은 제작비용이 50센트(미국돈인거 알죠?한국돈으로 535원)밖에안되요.그래서 아프리카에 써질거래요. ...
- 슈퍼피시로봇 미국 메사추세스 공과대학연구진이 성능도좋고 친환경적인 물고기로봇을 만들었습니포스팅 l20140315
- 슈퍼피시로봇 미국 메사추세스 공과대학연구진이 성능도좋고 친환경적인 물고기로봇을 만들었습니다. 이 로봇은 반응속도가 100밀리초밖에안되고 소프트로봇이라 자유자재로 수영을할수있습니다.또 이산화탄소를 연료로사용해친환경적입니다. ...
- 영국 BBC 등 외신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세티(SETI)연구소의 마크 쇼윌터 박사팀이 해왕포스팅 l20140312
- BBC 등 외신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세티(SETI)연구소의 마크 쇼윌터 박사팀이 해왕성의 14번째 달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쇼월터는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조사 과정에서 ”해왕성으로부터 10만5천km밖에서 점으로 보이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것이 새로 발견된 해왕성의 달 S/2004 N 1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달과 호는 매우 빠르게 ...
- 토성의 신비한 ‘고리’ 무려 44억년 전 생성기사 l20140306
- 상징하는 원반 형태의 고리가 무려 44억년 전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최근 미국 콜로라도 대학 연구팀은 미 항공우주국 나사(NASA)의 토성탐사선 카시니호가 보내온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한 논문을 미 지구 물리학회에서 발표했습니다. 그간 토성을 상징하는 고리는 유독 크고 밝아 과학자들 뿐 아니라 일반인 사이에서도 큰 관심 ...
- 금성이 목성 보다 크게 보이는 건 뇌 시신경 교란 때문기사 l20140306
- 인용한 런던발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뉴욕주립대 검안대학 연구팀은 이 같은 현상이 뇌신경의 작용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밝혀내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 PANS에 연구논문을 게재했습니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이런 현상이 금성이 목성보다 밝아서 안구에서 발생하는 착시현상이라는 갈릴레이의 설명과 달리, 어두운 배경의 밝은 피사체를 인식할 때 발생하는 ...
- 미세먼지 이렇게라도 해야지!! 미세먼지 나한테서 없어져 줘~기사 l20140306
- 능력의 변화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조심해야 할 사람은 누구?? 미세 먼지와 만성질환미국의 일리노이 지역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미세먼지 농도가 10ug/m2 증가할 때 심근경색이 있었던 사람은 2.7배, 당뇨병을 가진 사람은 2.0배 사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우리나라에서 ...
- 美학자들 케플러망원경 분석결과, “우리 은하계 ‘제2의 지구’ 후보 200억 ~ 400억개”기사 l20140305
- 600여 개인 것과 비교하면 엄청난 숫자입니다. 미국 버클리대의 에릭 페티구라, 제프리 마시, 하와이대 앤드루 하워드 박사는 4일자 ‘미국국립과학아카데미회보(PNAS)’에 발표한 논문에서, 나사의 케플러우주망원경이 수집한 데이터를 지난 3년간 분석해 통계치를 산출한 결과 이른바 ‘골디락스 존(Goldilocks Zone)’에 있는 ...
이전2492502512522532542552562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