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다양한 화석을 통해 그들의 과거지사를 추적 할 수 있다. 모든 생물종은 그 수명에
한계
가 있다. 그 누구도 영생할 수 없을 뿐더러 종 그 자체도 한때 번영했다가도 결국 없어지고 만다.예컨대 중생대에 지구의 왕자로 군림했던 수많은 공룡들은 완전히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아주 먼 옛날 바다에서 ... ...
세계 과학기술력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특허 하나를 내는 회사보다 더 높은 평가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한편 인용분석법에
한계
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발명가나 과학 논문의 저자가 자신의 이전 성과를 쓸데없이 자주 인용한다거나 어떤 방법이나 이론이 과학사에 획기적인 돌파구가 된 것이 아님에도 단지 흔히 쓰이는 방법이라는 점 ... ...
더 빠르게 더 강력하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부품의 개발에 관한 연구는 지금도 꾸준히 계속되고 있지만, 부품자체가 지니는 물리적
한계
때문에 그 속도의 증가가 무한히 계속되지는 않을 것 같다. 스위칭소자를 연결하는 배선길이를 줄이는 것도 전체 계산시스템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시스템내에 아주 기다란 배선이 하나 있다면, ... ...
(3) 창조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등이 조금씩 다른 초파리가 나왔지만 초파리가 아닌 것을 만들지는 못했다.유전학적
한계
내에서, 즉 종(種) 내에서의 변이는 다양하지만 그것이 누적돼 수직적인 변이를 일으키지는 못한다. 실제로 생명체 내에는 망가진 염기배열을 고쳐 원래의 모습으로 바꿔주는 유전자 교정장치(repair system)가 ... ...
2 호흡이 빨라지며 혈관이 수축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현상이다. 매우 심각한 소음이 귀의 내부에 도달하면 귀조직이 가지는 생리학적인
한계
를 넘어 코르티(corti)의 완전한 파열을 가져온다. 예를 들면 폭발음은 고막을 파열시키고 귀의 소골을 손상시키고 청세포를 파괴한다. 이런 음향학적인 외상에 의해 청력이 손상되는 것이다.(2) 일시적 가청 ... ...
(2) 엔트로피와 화석이 창조론을 지지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생물군(群)들의 기본종류가 유전정보와 함께 완전한 형태로 만들어 졌고, 유전학적
한계
내에서 다양하게 번식한 것으로 본다. 이런 견해를 갖고 생물들의 생태 유전 대사 등 생명현상을 이해하면 유전학 분자생물학 열역학법칙 등 기존의 실험과학적 사실들과 모순되지 않을 뿐 아니라 ... ...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정해져 있기 때문에 결코 태양으로부터 어떠한 각거리 이상 멀어질 수 없다. 바로 이
한계
가 되는 각거리를 내행성의 최대이각이라고 한다. 내행성이 태양의 동편, 서편에 있을 때의 최대이각을 각각 동방최대이각, 서방최대이각이라고 부른다. 행성들의 궤도는 거의 원에 가깝기 때문에 ... ...
4 고함소리의 1백억 배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전세계 사람이 한꺼번에 고함을 쳐도 하나의 제트엔진 소음을 당해내지 못한다. '호랑이 길들이기'보다 어렵다는 항공기소음을 줄이는 방법은 ... 아직 미진하다. 앞으로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초저주파 공기진동에 관한 인체의 감각
한계
측정, 생리적 분석, 치료법 등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 ...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한 종에서 다른 종으로 변했음을 분명히 보여 주는 것은 하나도 없다. 실제로 유전학적
한계
가 처음부터 분명하게 그어진 생물들이 번식해가고 있고 화석기록은 그것을 입증하고 있다. 따라서 창조론적 해석은 아무런 무리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진화론적 설명만을 자연과학적 이론이라고 주장하는 ... ...
초여름 구상성단을 산책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가장 밝은 구상성단은 M10(NGC 6254)과 M12(NGC 6218)다. 이들의 밝기는 맨눈으로 볼 수 있는
한계
바로 바깥이다. 서로 가까이 이웃해 있는 이들을 찾을 때는 엡실론(ε)성과 델타(δ)성을 기준으로 해서 동쪽으로 10º떨어진 붉은색의 5등성인 30번 별을 찾는다. 이별의 서쪽 약 1º에서 M10의 뿌연 빛을 볼 수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