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계통
제도
기구
조직
시스팀
system
d라이브러리
"
시스템
"(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3. 우리 농작물로 만든 위대한 밥상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꽃가루가 생기지 않는 ‘웅성불임’을 이용해 ‘교잡종 1세대’(F1)를 생산하는
시스템
을 구축했기 때문이다.그 결과 1960년에는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한 김장김치용 배추인 ‘원예1호’와 ‘원예2호’가 탄생했다. 그 뒤 계절에 관계없이 재배 가능하고 균일한 맛을 지닌 배추가 육종됐으며 이는 ... ...
도로운전지원
시스템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제공하는 도로운전지원
시스템
(AHS, Advanced cruise-assist Highway System)을 추진하고 있다. 이
시스템
이 개통되면 자동차에서 쌍방향 통신을 이용해 다양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어 교통사고가 크게 줄어들며, 출퇴근길 정체를 줄여 여유로운 운전을 즐길 수 있다. 특히 교차로 등 상황 판단이 어려운 장소에 ...
태권V 지하기지냐, 수중기지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갖춰 국내에서도 위성을 발사할 수 있다. 이곳에 태권V 기지가 건설되면 유지보수
시스템
을 공유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리하다.태권V 기지는 지하격납고 형식 외에 특수한 목적의 수중기지도 가능하다. 강이나 바다 밑바닥에 지하구조물을 만든 뒤 물 위까지 구조물을 연결하면 물 위에서 태권V를 ... ...
과학문화의 '메디치'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시스템
바깥의 창의적인 생각들을 모으는 노력은 그리 많지 않다. 결정적인 도약이
시스템
바깥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을 생각하면 안타깝다.정부나 국가가 동원할 수 있는 공공 재원은 많은 사람에게 돌아갈 명백한 이익이 없는 곳에 투여되기 어렵고 그래서도 안 된다. 가능성은 ... ...
미래형 '헬리플레인' 영국 판보로 에어쇼에 오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DNA 염기서열조각 발현된 부분이기 때문에 유전자이거나 그 일부일 가능성이 높다컴퓨터
시스템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고 프로그램의 모든 연산을 수행하는 핵심 장치 중앙처리장치라고도 부른다원자핵이 α입자(헬륨원자핵과 동일)를 방출하고 다른 종류의 원자핵으로 바뀌는 현상 원자핵에서 ... ...
식중독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최근 국내에서는 ‘펄스넷’(PulseNet)을 통해 원인식품을 추적하고 원인균을 밝혀내는
시스템
을 개발 중이다. 펄스넷은 세균의 DNA 지문분석 결과를 실시간으로 중앙 컴퓨터에 올려 원인균과 원인식품을 추적하는 전산망이다.세균의 DNA는 저마다 고유한 지문을 갖고 있다. 대부분의 세균에는 DNA로 ... ...
똑똑한 인공위성 만들기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눈앞의 장애물이나 순간적인 위험에 제대로 대처할 수 없다. 무인 우주선에 자동운행
시스템
이 필요한 이유다.우주에서는 별자리가 길 안내판이다. 인공위성에는 예상경로에서 만나게 될 별자리를 모아 만든 별자리 지도가 입력돼 있다. 인공위성은 공전궤도를 돌거나 우주를 탐험하는 동안에 ... ...
아이팟 신발이 주는 음악적 자극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2비트 크기의 이진수 IP 어드레스는 인터네트 가입시 NIC(정보망센터)가 할당해준다원격지
시스템
을 로그인하기 위한 TCP/IP의 프로그램 TELNET를 이용하여 자신의 컴퓨터처럼 조작할 수 있다파동성을 가지고 있는 조그만 입자의 운동을 기술하는데 이용되는 양자역학(quantum mechanics)의 물리적 효과 즉 ... ...
나노 분자 헤쳐 모여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연구팀은 펩타이드 나노튜브를 바이오칩이나 인체에 투입하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에 활용할 계획이다.김 교수는 “펩타이드는 화학물질이 아닌 생체물질이어서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고 고분자보다 더 빠르면서도 견고한 나노 구조를 만들기 때문에 이용가치가 ... ...
일본은 언제 가라앉을까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있지만 서로 공유를 하지 못했다. 지진연구센터는 이런 여러 정보를 모아 분석하는 통합
시스템
을 만들었다. 수만 개의 지진관측소를 보유한 일본과 비교할 수는 없지만 지진 발생 빈도로 보아 전체 300여 개 정도가 세워지면 그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지헌철 지진연구센터장은 “전국에 설치된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