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당뇨병과 간질병이 '사랑'받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섬유조직과 다당질이 주요 성분이며 혈관, 신경, 근육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곳의
세포
들은 표피와 달리 외부로 탈락되지 않는다. 피부에 문신을 하면 색소가 표피 아래쪽에 있는 진피에 염색된다. 바로 이점 때문에 문신은 쉽사리 지워지지 않는다 ... ...
당뇨가 기억력 떨어뜨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당뇨에 걸린 쥐는 코티솔의 분비량이 늘어나며 새로운 뇌
세포
의 생성이 억제되고
세포
의 성장도 멈췄다. 코티솔 분비량이 정상으로 돌아오자 쥐는 원래의 학습능력과 기억력을 회복했다.맷슨 박사는 “이번 연구로 코티솔의 분비량을 조절해 기억력 악화를 막을 수 있다”며 “스트레스를 주는 ... ...
질환 단백질의 입체구조에 맞는 열쇠 찾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400% 이상 향상된 성능을 보인다.최근에는 900MHz NMR을 이용해 신약의 타깃이 되는 막단백질(
세포
막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연구하고 있다. 그는 “현재 시판 중인 약 가운데 50%가 막단백질에 작용한다”며 “막단백질의 입체구조를 알면 부작용을 제거한 신약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자몽의 쓴맛, C형 간염바이러스 억제해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현상을 억제한다.나미아스 교수는 “C형 간염바이러스가 VLDL에 달라붙어 감염된 간
세포
를 빠져나가는 것은 바이러스가 간을 계속 감염시키기 위한 핵심적인 경로”라며 “나린제닌을 C형 간염 치료제와 함께 사용하면 치료효과를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다가가 인산을 붙이면 단백질이
세포
질로 이동하면서 파괴된다. 그 결과
세포
는 분열 조절 기능을 잃고 암이 생길 수도 있다. 신 교수는 미국에서 박사후 연구원(post doctor, 줄여서 흔히 ‘포닥’이라 부른다)을 할 때 이런 메커니즘을 밝혀 ‘네이처 메디신’등 저명한 저널에 논문을 냈다.만화 ... ...
수성을 스쳐 지나간 메신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등은 주목하는 부분에 따라 어느 쪽으로든 분류될 수 있다개별적으로 흩어져 있는 림프
세포
망 조직 고립 림프 여포(濾胞)라고도 한다 주로 위 · 장 등 소화관이나 호흡기도의 점막고유층에 있고 다수의 림프구가 밀집해 있다그 내부를 이차소절(二次小節)이라 하며 유사분열(有絲分裂)을 볼 수 있고 ... ...
인간광우병 공포 누그러뜨린 프리온 발견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되는 것과 마찬가지다.그 뒤 단백질의 입체구조가 바뀌면서 서로 뭉쳐 결국 뇌
세포
를 파괴해 생기는 질병들이 속속 보고되기 시작했다. 아밀로이드 단백질로 인한 알츠하이머병, 시누클레인 단백질의 파킨슨병, 헌팅틴 단백질이 관여하는 헌팅턴병 등이다. 현대 의학의 과제는 이들 잘못 접힌 ... ...
영화 스파이더위크가의 비밀을 통해 바라본 보호색과 위장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품는 시기에 머리의 색깔이 둥지와 같게 변한다. 오징어 같은 동물은 피부에 있는 색소
세포
를 이용해 자유자재로 피부색을 조절할 수 있고, 특정 물고기는 음식물을 바꿈으로써 보호색을 바꿀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 ‘변신의 귀재’로 유명한 카멜레온은 위장을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기분에 ... ...
세계 최초 줄기
세포
복제돼지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일찍 죽거나 기형이 생기는 등 문제가 많아 생산 효율이 1~5%로 낮아요. 하지만 줄기
세포
를 이용하면 20%까지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어요. 내 생일이 2007년 12월 3일이니, 이만하면 황금돼지해의 마지막 선물이죠 ... ...
양성자 있어야 변비 안 걸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새로운 신경전달물질일 가능성이 있다”며 “기존 신경전달물질이 신경
세포
에서 근육
세포
로 배출되면서 근육을 수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