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페르미 추정] 잘 쓰면 과학자 못 쓰면 사기꾼수학동아 l2017년 01호
- 흐르는 물질(유체)이 이동하던 방향으로 계속 가려는 힘(관성)과 유체의 점성에 의한 힘 사이의 비율이다. 만약 유체가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안에서 흐르고 있다면 레이놀즈 수는 다음과 같다.레이놀즈 수가 1보다 작으면 유체는 질서있게 흐른다. 반대로 3000을 넘으면 소용돌이치는 ‘와류’가 ... ...
- [포커스 뉴스] 급격하게 퍼지는 AI 공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때문에 AI가 의심되거나 확인된 농가에서는 가금류를 모두 살처분하고 있다. 조류 사이에 번지는 바이러스성 질환인 만큼, 추가 전염을 막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방법이다. 살처분한 조류는 밀폐 공간에 매몰해, 다른 조류가 바이러스에 노출되거나 사체에서 흘러나오는 침출수에 환경이 오염되는 ... ...
- [Culture] 미래사회에도 인간이 필요할까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바리에 작가와 공동으로 작업한 ‘브레인 팩토리’라는 프로젝트다. 헤드셋은 뇌신경 사이에 신호가 전달될 때 생기는 전기흐름이 두피로 전달되는 뇌전도(EEG)를 감지하는 장치다. 수집한 EEG 데이터를 작가가 설계한 시스템을 통해 3차원 형태로 변환한 뒤, 3D 프린터로 찍어낸다. 최두은 아트센터 ... ...
- [Career] 4배체 유전자 개구리, 세계 최초로 해독한 과학자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했다. 핵심이 되는 데이터는 논문을 제출하기 2년 전쯤에 이미 나와 있었지만, 연구진들 사이에 합의를 이끌어내기가 어려웠다. “염색체 이름 하나를 정하는 데에만 두 달이 걸렸습니다. 논문을 낸 뒤에도 수정하는 데에 또 네 달이 걸렸어요. 정말 쉽지 않았지만, 하나의 주제를 다양한 관점으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집단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띠지 않는 중성이지요.그런데 물체가 접촉하면서 마찰이 일어나면, 전자가 두 물체 사이를 왔다 갔다 움직여요. 이때 전기가 생기고, 전하는 이동한 물질에 남아요. 즉, 스웨터를 입고 활동하면 팔과 옆구리 부분이 계속 마찰하면서 전기가 만들어지고, 우리 몸에 쌓여 정전기 상태로 머무르는 거예요 ... ...
- [출동! 섭섭박사] 화산모형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여기에 물을 넣어 주면 물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속 산소, 수소와 결합하며 분자들 사이를 벌려놓는답니다. 그 결과 구슬의 크기가 커지고 딱딱했던 구슬이 고무처럼 말랑말랑해지지요.폴리아크릴산나트륨은 무려 자기 부피의 400배나 되는 물을 흡수할 수 있어요. 물을 잘 흡수하는 성질 덕분에 ... ...
- [도전! 코드마스터] 블록만 옮기면 코딩 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그럼 고양이를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동작 블록을 쌓고, 음악 블록을 사이에 끼우면 된답니다. 동작을 반복하게 하고 싶다면, 반복을 지시하는 제어 블록으로 반복할 동작들을 감싸면 되지요. 각 동작을 몇 번 반복할지, 몇 초간 움직일지 등도 블록으로 지시할 수 있어요. 여기에 ...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겨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겨울에도 많은 손님이 찾아와요. 이 가운데는 잎들이 떨어져 조금 황량해 보이는 나무 사이로 움직이며 활기를 불어 넣어 주는 친구들도 있답니다. 바로 새들이지요.보통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과 다르게, 겨울은 새 관찰하기 가장 좋은 계절이에요. 무성한 나뭇잎이 없어서 새가 잘 보이고, 먹이를 ... ...
- Part 5. 작게 더 작게! 진짜 작은 마이크로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100*nm의 로봇을 만들었어요.우리 몸의 설계도인 DNA는 이중나선 구조를 하고 있어요. 두 선 사이는 ‘아데닌(A)’, ‘구아닌(G)’, ‘티민(T)’, ‘시토신(C)’이라는 염기가 서로 쌍을 이뤄 단단한 결합을 하고 있지요. 이 결합을 이용하면 DNA 가닥을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 수 있어요.이번에 개발된 ... ...
- Part 5. 머글 세계의 뉴트 스캐맨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연구는 생태계를 이해하는 첫 번째 단계이자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길이에요. 또 생물 사이에서 끊임없이 일어나는 진화를 이해하는 방법이기도 하지요. 특히 신비한 모습의 신종은 진화 과정의 ‘잃어버린 고리’일 가능성이 크거든요.예를 들어 지느러미가 갈라진 살아있는 화석 ‘실러캔스’는 ... ...
이전2492502512522532542552562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