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고등학교
중고
d라이브러리
"
등학교
"(으)로 총 3,707건 검색되었습니다.
배움은 뇌 구조를 변화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기억을 못한다면 어떻게 될까. 집이 어디인지, 부모가 누구인지 찾을 수 없을 것이다. 이런 일은 드물더라도 시험 볼 때 어떤 단어가 생각이 나지 않아 애를 태운 경험은 대부분 있을 것이다. 분명 머릿속에 들어있는데 왜 생각이 안나는지 때로는 화가 나기도 한다. 영화 ‘메멘토’의 주인공 레너 ... ...
로켓 공격도 막아주는 첨단 방탄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테러와 전쟁을 선포한 미국이 이라크전쟁을 일으킨지 정확히 1년이 지났다. 전쟁 자체는 미국측의 일방적인 승리로 한달도 안돼 막을 내렸다. 그러나 황폐해진 그 땅에 평화는 찾아오지 상원의원회관에서 맹독물질 라신이 발견됐다.지난 역사를 되돌아보면 알 수 있듯 테러집단의 공격목표 1순위 ... ...
'수학의 제후' 가우스, 19살에 수학 난제 풀어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1796년 3월 30일, 이제 막 열아홉살에 접어든 가우스는 그때까지 누구도 이루지 못한 일을 해냈다. 고대부터 수많은 수학자들이 증명해보려고 했지만 결국 실패해 당시까지 불가능하다고 여기던 문제를 해결했던 것이다. 후에 수학의 제후라고 불리게 된 가우스는 정17각형을 컴퍼스와 자만 이용해 ... ...
전산수학 개척자 마이크로소프트의 김정한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반찬을 놓을 때도 김치는 어디에 놓고 찌개는 어디에 놔야 좋은지를 설명하셨죠.초
등학교
4학년 때 담임선생님이 장래희망을 써서 내라고 하셨는데, 그때 수학자라고 적었어요. 우리나라에 유명한 수학자가 아직 없는데 제가 그러고 싶다고 덧붙였죠. 그렇다고 계속 수학을 고집했던 건 아니에요. ... ...
1.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영화 ‘슈퍼맨’의 주인공 크리스토퍼 리브는 날기는커녕 이제 걷지도 못하고 있다. 말에서 떨어지면서 척추를 다쳐 꼼짝없이 휠체어에 갇혀 지내게 된 것. 그러나 슈퍼맨은 희망을 버리지 않고 있다. 줄기세포로 손상된 척추 신경세포를 재생한다는 것이 그의 꿈이다. 서울대 수의대 황우석 교 ... ...
조류독감 발생 현황(2월 9일 현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운동 경기장 같이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넓은 장소에 가는 것을 회피한다 사회 공포증: 초
등학교
때 교실에서 국어 책을 읽다가 갑자기 가슴이 뛰고 얼굴이 붉어지면서 목소리가 떨려 망신을 당한 후로 사람들 앞에 나서면 으레 가슴이 뛰고 어질어질해서 대중 앞에 나서는 일을 회피한다자신의 ... ...
고교생도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얼마전 영재학술세미나에 참석차 한국을 방문한 헝가리 젬멜마이스대 피터 시멀리 교수는 “호기심 왕성한 고등학생들에게 바람직한 기회를 제공하는데 과학연구 만큼 좋은 수단은 없다” 고 말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고등학생 시기는 낯선 환경으로부터 오는 새로운 영향에 가장 민감하게 ... ...
무한질주 슈퍼카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약 10여년전 개봉된 영화 ‘백투더퓨처’에서 과거와 미래를 종횡무진 오간 타임머신 자동차 딜로리안. 곱슬머리 첩보원 마이클이 위기에 처할 때마다 어김없이 나타나 구해주던 검은색 첨단 자동차 키트, 그리고 007영화에서 빠짐없이 등장하는 만능 자동차 본드카. 모두가 어릴적 상상의 날개를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영국 케임브리지를 뜨겁게 달궜던 지난 며칠 간의 주제 토론회를 마친 후라 그런지 공개강연과 종합토론이 열릴 오늘은 오히려 마음이 다소 가벼워졌다. 그간의 토론회가 BBC를 통해 전세계에 생중계된 덕에 BBC 인터넷 게시판은 지난 며칠 동안 전세계 네티즌들로 시끌벅적했다.강연 원고를 미리 받 ... ...
알파벳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판독의 기초를 놓은 셈이다.쐐기문자 판독에 첫 진전을 본 사람은 독일 괴팅겐의 한 고
등학교
라틴어 교사였던 게오르그 그로테펜트다. 그는 1802년 괴팅겐대 왕립 과학원에서 페르세폴리스의 비문을 연구했다. 그로테펜트는 중기 이란어와 산스크리트어, 고전문헌 등에서 반복되는 관용어구를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