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567건 검색되었습니다.
탯줄에서 얻은 줄기세포, 안면마비 치료 성공
동아닷컴
l
2013.07.31
측의 설명이다. 또한 ㈜에스티씨라이프의 줄기세포치료 연구소(이상연 박사팀)에서
분리
한 제대 줄기세포는 성체 줄기세포로 신체를 구성하는 장기 조직에 존재하면서 장기 조직의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유지해 주는 근간세포이며 손상된 조직의 재생을 비롯하여 다양한 세포 및 장기 조직의 ... ...
원전사고로 늘 조마조마···폭발위험 없는 '토륨 원전' 뜬다
과학동아
l
2013.07.26
카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연구원은 “원자로에 불을 붙이는 장치와 원자로가 각각
분리
돼 있는 셈이라서, 근본적으로 안전하다”고 말했다. 김재완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도 “토륨 원전은 소규모 지역 발전을 가능하게 해 장거리 송전선이 필요 없어지는 등 장점이 많다”고 강조했다. ... ...
'왕코'에 뿔 달린 새로운 공룡 발견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19
남부 지역은 백악기에는 라라미디아(Laramidia)라는 섬의 일부였다. 학자들은 당시 육지와
분리
된 이 곳에 상당 수의 초식공룡들이 서식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연구진은 “이 화석이 당시 라라미디아 섬의 초식공룡 서식환경을 연구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 ...
KT “900MHz 대역은 불량 LTE”
동아일보
l
2013.07.17
CA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하나의 대역처럼 묶는 기술로, 도로에 비유하면
분리
된 1차로 2개를 하나의 2차로처럼 쓸 수 있다. 하지만 경쟁사인 SK텔레콤과 달리 KT는 CA 기술을 아직도 상용화하지 못했다.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심각한 주파수 간섭 현상 때문이었다. KT가 이런 문제를 발견한 것은 ... ...
朴대통령 “산업부가 원전 관리하라”
동아일보
l
2013.07.10
구축해 보다 적극적으로 관리·감독권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며 진흥과 규제 역할을
분리
하도록 한 IAEA 규정은 지키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하자가 있는 부품이 발견됐을 때 그 하자 정도를 평가하고 원전을 중단해야 하는지를 평가하는 기술적인 문제는 여전히 원안위가 ... ...
교육역량강화 지원 대학 72곳 1차 선정
동아일보
l
2013.07.10
규모에 따라 9개 유형으로 나눠 진행했다. 건국대와 상명대, 연세대는 본교와 분교를
분리
해 심사를 신청했다. 교육부는 이 중에서 평가 결과가 좋은 72곳은 곧바로 지원 대상으로 확정했다. 나머지 18곳은 추가 평가를 통해 7월 말에 지원할지를 결정하기로 했다. 9개 유형마다 1단계 평가에서 순위가 ... ...
진돗개와 삽살개는 사촌지간
동아사이언스
l
2013.07.03
독일 셰퍼드와 리브라도 레트리버, 한국 토종개들의 유전적 혈연관계는 뚜렷하게
분리
되었으며, 이형접합률은 50%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 연구사는 “한국의 7대 토종개의 유전적 혈연관계를 밝히고 유전적 우수성을 알릴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며 “앞으로 제주개(제주도), 불개(경북 ... ...
‘세기의 재판’ 인간 유전자는 특허 대상 될 수 없어
과학동아
l
2013.07.03
4년 만에 이뤄낸 쾌거다. 클러런스 토머스 대법관은 “DNA는 자연의 산물로 인체에서
분리
했다는 이유만으로 특허 대상이 될 수 없다”며 “미리어드 지네틱스가 이 유전자를 변형하거나 만들어내지 않은 것이 명확하다”고 밝혔다. 이전까지는 인간 몸속에 있는 유전자라 할지라도 실험실에서 ... ...
세도정치에 빛바랜 순정왕후의 민생 정책
동아사이언스
l
2013.07.03
당초에는 능역 안에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그 중간 부분이 한국전쟁 이후 농지 등으로
분리
되어 현재의 헌인릉 구역과는 완전히 다른 곳에 위치하며 현재 관리사무소로 사용되고 있다. 놀라운 것은 순조의 정식 시호를 보면 ... ...
USB 크기의 칩 하나면 바닷물을 담수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02
담수를 하는 기술 개발에 관심이 컸다. 크룩스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water chip'은
분리
막 없이도 해수에서 효과적으로 염을 제거할 수 있어 기존 담수화기술보다 훨씬 간단하고 에너지를 적게 쓴다는 것이 장점”이라며 “앞으로 추가연구를 통해 한 번에 더 많은 담수를 만들수 있도록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