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칠
세븐
일곱
d라이브러리
"
7
"(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초고지방식 먹은 쥐가 장수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케토제닉식을 먹은 쥐 그룹은 고탄수화물식 그룹보다 수명이 13.6% 늘었다. 인간에게는
7
~10년 정도에 해당한다. 운동 기능도 늘었다. 줄에 매달려 있는 시간, 줄을 당기는 힘, 달리는 시간 등 운동 기능을 확인하는 모든 실험에서 케토제닉 식을 먹은 쥐 그룹이 선두를 달렸다. 램지 교수는 “추가적인 ... ...
Part 2.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말했다. 멜라닌 색소 공격이 핵심이다기자는 올해 1월부터 레이저 제모 시술을 총
7
차례 받았다. 얼굴 부위 털의 성장 주기가 약 한 달인 만큼, 이에 맞춰 털의 재생을 방해하도록 4~6주에 한 번씩 시술을 받았다. 다행히 시술을 받은 당일 피부가 잠시 빨갛게 달아오르는 현상 외에는 부작용이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화학회에서 처음 제안한 용어다. 클리그먼 교수는 국제학술지 ‘피부외과학’ 2005년
7
월호에 실린 인터뷰에서 “화장품과 약에 대해 처음 법적인 정의를 내린 1938년에는 피부에 대한 과학적인 지식이 거의 없었다”며 “그동안 피부를 변화시키는 수많은 물질들이 발견됐기 때문에 새로운 범주가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락티솔에 의해 절반만 차단되는 셈이다. 이 연구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2012년
7
월 6일자에 실렸다(doi:10.1038/srep00496). 토도프 박사는 사람들이 칼슘맛에 묘하게 끌리면서도 쓰다고 불쾌해하는 이유에 대해 “칼슘은 세포 간 신호 전달이나 뼈 성장 등 우리 몸에서 꼭 필요한 성분이지만 지나치면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폴리에틸렌 필름(표지용) 등을 쓸 수 있다고 규정돼 있다. 분석 대상인 10개 가운데
7
개가 표지층으로 부직포를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임대영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휴먼융합기술그룹장은 “부직포에는 미세한 구멍이 많아 혈액을 잘 통과시키고 흡수한다”며 “이로써 피부에 직접 닿는 면을 ... ...
[Culture] 원본 증명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당하게 된 이야기입니다. 그 이야기는 보통 이런 식으로 시작됩니다. “30만 인구 중에
7
만 명이 갱인 데다, 경찰의 권위가 우체국보다도 못한 무법천지 도시였지만, 그래도 룰은 있었습니다. 집 앞에서 전쟁을 벌일지언정, 무고한 시민이 희생되는 건 악당들 사이에서도 금기였거든요.” 그러면 ... ...
[SW 기업 탐방] 험온, 콧노래만 흥얼거려도 자작곡 완성~!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음악을 공부하지 못한 사람들에게 험온은 참 고마운 존재기 때문이다. 최 대표는 “201
7
년 6월 세계 3대 음악축제인 미뎀에서 만난 외국인 할아버지가 평생 소원인 작곡을 오늘 이뤄 고맙다고 말했을 때 매우 뿌듯했다”고 전했다. 험온이 지속적으로 사람들의 꿈을 이뤄주길 바란다 ... ...
Part 5. 플라스틱 발자국을 줄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미세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해 나섰어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7
월부터 화장품을 만들 때 미세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법으로 정했답니다.# 작은 노력부터 실천해 나가면 분명 깨끗한 바다를 되돌릴 수 있을 거야. 친구들은 어떤 방법을 실천할 수 있을까? 함께 ... ...
[에디터 노트] 셀링 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할지가 더 중요하다. 지금은 작고한 미국의 과 학사회학자 도 로시 넬킨은 1 9 8
7
년 ‘셀링 사이언스(Selling Science)’라는 책에서 과학의 힘을 우러러 본 과학기자들의 태도와 새롭고 잘 팔리는 뉴스거리를 쫓는 언론의 속성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30년 전 그 비판은 지금 우리에게 여전히 아프게 ... ...
[과학뉴스] 비만과 지방간 ‘유전적 치료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간에서 일어나는 지방 대사 과정을 방해한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
월 31일자에 발표했다. 이는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진 내용과는 반대되는 것이다. 핵수용체는 세포 내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 등과 결합한 뒤 DNA에 붙어서 유전자 발현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