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서열
순번
순위
순차
질서
등위
d라이브러리
"
차례
"(으)로 총 2,824건 검색되었습니다.
5. 선배가 걸어온 길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러한 속사정을 모르는 친구들은 나를 무척 부러워했다. 일년이면 긴 방학이 두
차례
나 있지 않느냐고.교수라는 직업을 가진 사람은 강의를 중요시해야 함이 틀림없다. 그러나 교수에게 '강의는 전부가 아니다. 교수에게는 강의보다 더 중요한 임무가 있다. 그것은 연구다. 연구야말로 교수의 참된 ... ...
수수께끼의 과학자가 만든 19세기 서울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언급한 믿을만한 기록은 이것이 전부다. 그가 전국을 여러
차례
답사하고 백두산을 수
차례
나 등반했다는 이야기는 가능한 일이긴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야기다.1861년(철종 12년) 김정호는 대동여지도를 완성했다. 청구도를 완성한지 27년 만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대동여지도를 30년 걸려 만든 ... ...
빛의 굴절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힘든 대형 은하 무리가 자리잡고 있음이 밝혀졌다.그후 일그러진 모양의 은하는 일곱
차례
나 포착됐으나 1987년에 이르러서야 은하계뒤에서 고리 모양의 전파를 형성하는 준성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거기엔 완벽한 중력렌즈, 혹은 가끔씩 일컬어지듯이 '아인슈타인 고리'가 존재한 것이었다. 그런데 ... ...
무시무시한 괴물들의 잔치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그래도 아직은 다른 별자리를 찾는 지표가 된다. 황소 쌍둥이 큰개 그리고 작은개 등을
차례
로 찾아보자. 만일 오리온을 찾을 수 없다면 큰개자리의 시리우스를 지표로 삼아 찾는 것도 좋을 것이다. 항성중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는 독특한 청백색의 색깔을 띠기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을 ... ...
감기와 독감은 「2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유행은 그 기간 및 간격을 예측하기가 어렵다. 5~6년씩 독감의 유행이 없다가도 1년에 몇
차례
씩 유행하기도 한다. 심할 때에는 유행지역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들이 최소한 가벼운 증상이라도 앓고 넘어가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독감의 소유행은 1~3년, 대유행은 10~15년 간격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 ...
3 제6세대 컴퓨터를 향한 첫발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것이다.이와같이 뉴로 컴퓨터의 개발을 3단계로 나누어 설명했지만, 사실은 이들 3단계가
차례
로 진행된다기 보다 서로의 성과를 참조하면서 병렬로 진행되어야할 것이다. 즉 각분야의 상호작용에 입각한 연구자체의 병렬화가 중요하다.바이오컴퓨터를 향해서뉴로 컴퓨터와 인공지능(AI) 연구는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1987년부터 족흔화석 전문가로 유명한 미국 콜로라도대학의 로클리(Lockley)교수가 여러
차례
방문, 깊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1989년부터는 필자와 함께 국제 공동 연구를 착수, 본격적인 조사에 들어갔다. 그에 따르면 이곳의 족흔화석이 적어도 유라시아대륙에서는 최대의 산지라고 한다.그동안 조사 ... ...
자유를 향한 「열두가지 시험」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헤라클레스는 히드라를 처치하기 위해 나서는데 헤라클레스는 칼로 이 괴물의 목을
차례
로 베었지만 그 자리에 다시 두개의 머리가 생기는 것이었다. 헤라클레스는 베어낸 곳을 불로 지져가면서 사투를 벌인 끝에 결국 히드라를 죽인다.그런데 이 싸움의 와중에서 헤라클레스에게 죽임을 당한 ... ...
한국 아마추어 천문 20년 전국적 통합단체 절실한 시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보냈다. 아쉬운 것은 이 대회가 1회로 끝나고만 것이었다. 이는 우리가 일본을 방문할
차례
인 2회 모임이 무산되었기 때문였는데, 그 때만 해도 출국하는 일이 지금과 달리 쉽지 않은 상태였다.한편 어린이회관 천체과학관을 중심으로 이권삼씨(아르헨티나 이민), 변상식씨(현 배달문화사 근무)가 ... ...
장애영재아의 세계 바보속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언어장애자이며 동시에 천재다. 호킹 박사는 지난해 9월10일 우리나라를 방문해 두
차례
의 강연을 마치고 돌아갔다. 그의 방문 이래 국내에서는 우주론에 대한 관심이 날로 고조돼 가고 있다. 우주의 탄생 및 그 미래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호킹은 대학원시절부터 약 27년동안 몽의 운동신경이 점점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