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어
나랏말
한국말
국어과
국어과목
우리말
한국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말
"(으)로 총 3,995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두가 있는 자연과학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서울대의 명강의로 소문난‘자연과학의 세계’강의에 만화가 나오는가 하면, 수업은 학생의 열띤 논쟁으로 끝나기 일쑤다. 하지만 매년 강의평가서에서는 빠지지 않고 추천된다. 왜일까. 동장군의 심술이 채 가시기도 전인 3월 초, 오랜만에 찾은 대학교정은 꽃샘추위도 잊은 채 여기저기 모여 ... ...
2. 독성물 탐지하면 빛 발하는 미생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하루 버려지는 하수는 약 1천만t. 1년이면 36억t이 되는 엄청난 수자원이다. 냄새나고 더러워보이는 이 하수를 생명의 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기적을 일으키는 첨단 기술인 물 재이용기술을 만나보자. ‘돈을 물 쓰듯이 한다’라는 말이 있다. 물이 소중한 자원임에도 불구하고 그 소 ... ...
치열해진 승부 무너진 스포츠맨십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온갖 추태로 얼룩진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은 스포츠의 도덕성을 뒤돌아보게 한다. 현대 스포츠에 스포츠맨십이 과연 존재할까. 선수들은 지는 한이 있더라도 정정당당하게 싸우며, 자신을 이긴 상대방을 축하해줄까. 또 사회에서도 일반인보다 더욱 페어플레이를 할까. 이번 솔트레 ... ...
페트병 속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페트병 2개와 마개 2개로 미니 토네이도를 감상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들어보자. 페트병 속에 어떻게 회오리바람을 담을 수 있을까.■ 왜 그럴까?처음에는 페트병을 뒤집어도 물이 아래쪽으로 흘러내리지 않는다. 아래쪽 페트병 속에 공기가 가득 차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위쪽 페트병을 여러번 흔들 ... ...
먹을거리 논쟁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잘 먹고 잘 사는 법’. 평범한 이 한 문장엔 모든 사람들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삶의 지향점이 숨어있다. 그래서일까. 이 문구를 타이틀로 앞세워 방영된 한 프로그램은 새해 벽두부터 우리 사회에 커다란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채식 열풍에 뒤따른 육식 채식 논쟁이 바로 그것이다. 이에 대한 관 ... ...
식스 센스 vs 디 아더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살아있을 때 풀지 못한 한을 안고 나타난 말콤 박사. 자신이 죽었다는 사실을 미처 깨닫지 못한 그레이스 여사. 영화‘식스 센스’와‘디 아더스’는 이런 두 주인공을 통해 엄청난 반전을 경험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공포작이다. 경고 : 아래의 글에는 노골적인 스포일러가 있습니다.다음 중 ... ...
통합수자원관리 오케스트라 지휘자 김승 단장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10년 후에는 매년 30억${m}^{3}$의 수자원이 새로 생깁니다.” 일산에 위치한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단에서 만난 김승 단장의 자신에 찬 목소리다. 그리고 거침없이 사업단의 계획을 펼쳐보인다.김단장이 말한 30억${m}^{3}$가 어느 정도 양인지 한번 생각해보자. 깊이 30m고 너비가 1백m라면 ... ...
인간의 체온은 왜 37℃일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사람은 항온동물에 속한다. 내 곁의 사람이든 나든 인간이라면 37℃라는 특정 온도를 띠고 있다.그런데 왜 하필 37℃일까. 36.5 또는 37.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이 숫자가 인간의 체온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우리는 잘 안다. 그러나 이 숫자만큼이나 인간의 체온이 단순할까.때때로 자신의 팔을 만져 ... ...
천년왕국 신라는 숯으로 망했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신라 건국초기에 경주의 숲은 잘 보존됐고 박혁거세와 김알지의 탄생설화로 이어질 만큼 풍성했다. 하지만 통일을 이룬 뒤, 울창했던 삼림은 고급 연료인 숯을 만드는데 이용돼 파괴되기 시작했다. 천년왕국 신라도 경주 주변의 숲을 가꾸고 보전하는데 소홀했기 때문에 멸망했다고 하는데….약 5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인간에게 질병을 주는‘독’과 같은 존재인 바이러스. 퇴치의 대상으로만 여겨졌다. 그러나 오늘날 생명과학자가 바이러스를 연구하는 까닭은 단지 질병퇴치뿐 아니라 분자생물학 발전과 유전자 치료에 바이러스가 큰 기여를 하기 때문이다.‘바이러스’하면 원래 의미보다 컴퓨터 바이러스를 먼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