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하기
여름철
d라이브러리
"
여름
"(으)로 총 3,038건 검색되었습니다.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지난 20개월 동안 망원경 보수 임무는 무스그레이브의 생활의 전부가 되어 버렸다. 지난
여름
에 자칫했으면 손가락을 잃을 뻔 하기도 했다. 계획의 초창기에는 태양 광선에 의한 망원경의 정교한 광학기구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화물선이 어두운 상태를 유지하도록 우주왕복선을 운행할 예정이었다. ... ...
동물들의 의사교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근육을 움직여 가슴 양쪽에 있는 진동막이라는 딱딱한 판을 죄었다 풀었다 함으로써
여름
철에 온 산을 압도하는 그 강렬한 소리를 낸다.분류학상 곤충보다 고등한 동물인 양서류가 자신의 의사를 전하지 못할 까닭이 없다. 그 한 예로 개구리를 들어보자. 그들은 반려자를 찾기 위해서, 자신만의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져버렸지만 독수리자리나 백조자리는 관측이 가능하다. 이처럼 겨울의 서쪽하늘에서
여름
의 별자리를 보고 그뒤를 따르는 가을 겨울의 별자리를 계속 볼수 있는데, 새벽녘 동쪽하늘까지 관측한다면 어느 별자리까지 볼 수 있을까? 해뜨기 1시간 30분 전까지는 관측이 가능하므로 태양보다 적경이 ... ...
안개 왜 생기고 건강에 어떤 영향 미치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노점까지 냉각돼 해무가 형성 된다. 해무는 수평적인 기온차가 가장 큰 늦봄과 이른
여름
에 빈번하게 나타난다. 해무가 잘 나타나는 지역의 예로는 맥시코 난류와 래브라도 한류가 만나는 뉴파운드랜드, 훗카이도(北海島)와 캄차카 반도사이의 오야시오와 쿠로시오가 만나는 지역이 있다.해안무는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부채 또는 검은 종이로 렌즈 앞을 덮었다가 열었다 해야한다. 검은 종이도 좋고
여름
에 쓰는 부채에 검은색을 칠해도 좋다.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찾아 적당한 크기로 제작하면 된다.■ 성도촬영계획을 세우거나 사진의 구도를 정할때 쓴다.■ 촬영 기록용지촬영데이터의 기록은 매우 ... ...
기후와 이산화탄소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위험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필자가 살고 있는 뉴욕에서도 이미 경험된 그 길고도 더운
여름
이 사태의 악화를 말해 주는 것이라면 미래는 정말 암울하게 보인다.심지어 잡지 '자연사'에서는 더워지는 날씨와 이에 대한 동식물들의 다양한 대응방법에 관한 특집을 낼 정도가 되었다. 에어컨이 ... ...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밝게 빛나게 한다. 그러면 별이 어떻게 태어나는지 알아보자. 핵융합에너지의 방출
여름
철 전갈자리에서 가장 밝은 안타레스별 북쪽에 있는 뱀주인자리 지역을 보면 아주 검게 보이는 지역이 있다(사진6). 이곳에는 가스와 먼지(티끌)로 이루어진 성운이 짙게 모여있다. 여기서는 성운이 자체의 ... ...
'꿈의 로켓' DC-X 시험발사 성공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유인비행이 가능한 진보형 DC-Y의 실용비행이 빠르면 1997년
여름
경으로 예정돼 있다.만약 이 계획대로 일이 진행된다면 소형 인공위성발사 로켓을 빼고 우주왕복선을 비롯한 다른 우주로켓은 모두 불필요하게 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 ...
태양에 검은 반점 남기는 수성의 일면통과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하늘 아래의 산과 들이 오색찬란해지는 계절이다.밤하늘에서의 변화도 이에 못지 않다.
여름
을 대표하던 거문고 독수리 백조자리는 서쪽으로 물러나 있어 지평선 위에서 내년을 기약하며 고별행진을 하는 느낌이다. 가을의 사각형을 이루는 페가수스와 안드로메다는 이미 중천을 날며 동쪽하늘을 ... ...
안정동위원소 이용한 석유탐사 새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그밖에 에탄 프로판 부탄 그리고 펜탄 성분 등의 순으로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여름
철 논바닥을 관찰하면 어떤 기포들이 솟아 오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들은 메탄 가스이긴 하지만 석유의 메탄 가스와는 다르다. 유기물질에 박테리아가 침투, 박테리아의 대사경로에서 발생된 것이다.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