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노스롭 그루먼사는 2대의 개량형 글로벌호크를 13.7km 상공에서 9m까지 근접 비행시키는데
성공
했다. 실제로 공중급유만 하지 않았을 뿐 호스를 늘였다 줄였다하는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검증도 마쳤다. 짐 맥코믹 DARPA 고고도 장기체공 무인기 공중급유사업(AHR) 관리자는 “고고도 장기체공 ...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2008년 화성에 착륙한 NASA의 탐사선 피닉스가 토양 표본을 가열해 수증기를 검출하는 데
성공
했다. 지난 해 착륙해 현재 활동 중인 큐리오시티는 화성을 돌아다니며 생명체의 흔적을 찾고 있다.목성의 위성인 유로파에는 표면의 얼음 아래 깊이 100km의 바다가 있다. 일부 과학자들은 유로파의 바다 ... ...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3회의 비행 실험에서 바람의 영향으로 2번 추락한 것을 제외하고 장애물 회피 비행을 51회
성공
했다.2011년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서 방사능도 문제였지만 내부 상황을 알 수 없었다는 점도 공포스러웠다. 당시 초소형 플래핑 무인기로 좁은 건물이 즐비한 원전 내부를 훤히 들여다볼 수 ... ...
세상의 시작과 끝이 궁금하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상세히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또 이미 좋은 책이 많이 나와 있어 새로운 책이
성공
하기도 어렵다. 과학책계의 레드오션이다.그렇지만 이런 레드오션에서도 독특한 아이디어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상세한 설명으로 튀는 책이 새로 번역돼 나왔다. 크리스 임피 미국 애리조나대 천문학과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경험이 있습니다(미국의 생물학자 크레이그 벤터가 2010년 박테리아 인공 게놈 합성에
성공
했다). 하지만 DNA 외의 세포 기구들은 엄두도 못 내고 있어요. 그건 훨씬 복잡하고 어려운 일입니다.”조 교수에 따르면, DNA 합성은 이미 쉬운 일이 됐다.염기서열 1000개(1kbp)의 DNA는 수십만 원 정도면 합성할 ... ...
태양보다 100만 배 밝은 빛, 통신혁명 가져올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빛을 머리카락 단면적의 1억분의 1에 불과한 100 제곱나노미터의 작은 점에 모으는 데
성공
했다. 집속 효율도 약 74%에 달해 지금까지 반도체 칩에 빛을 모은 실험 중 가장 효율이 높게 나타났다.이번 연구결과를 활용한다면 광학현미경의 해상도를 분자 수준으로 낮출 수 있어서, 기초과학이나 ... ...
왼손잡이는 정말로 천재인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미술 능력도 함께 발달했다’고 설명할 수도 있겠다.실제로 운동선수들은 왼손잡이가
성공
하는 경우가 많다. 왼손투수 ‘괴물 류현진’도 그 대표다. 야구선수들은 일반적으로 좌타자를 선호한다. 왼쪽 타석이 1루와 가까운데다, 오른손잡이 투수가 많은 만큼 던져오는 공이 더 잘 보이기 때문이다. ... ...
PART 1. 누가 뉴턴을 죽였는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토대로 한 현대물리학은 뉴턴역학이 담아내지 못했던 자연의 영역을 설명하는 데
성공
하면서 ‘물리학의 왕’이 됐다. 현대물리학은 뉴턴역학보다 더욱 포괄적이고 정확하며 정교한 이론이다.그러나 뉴턴역학과 현대물리학이 서로 배타적인 것만은 아니다.중력이 약한 경우에는 ... ...
빙하 호수 탐사 최대의 적은 보일러 말썽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남극의 봄과 여름에 해당하는 11월과 다음 해의 1월 사이에만 가능하다. 또 얼음을 뚫는데
성공
한다 해도 불과 24시간이면 시추공이 다시 얼어붙기 때문에 빠르게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수백만 년 동안 외부환경과 단절돼 있던 엘즈워스 호수 아래에서 새로운 생물을 포착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
북한은 왜 500km 고도에 위성을 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기술을 확보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3년만인 1981년 복제품인 ‘화성 5호’ 미사일 개발에
성공
한다. 또 1987년엔 남한 전역을 사정권에 두는, 사정 거리 500km 수준의 개량형 ‘화성 6호’도 만들었다.북한은 한발 더 나가 1993년 자체 모델인 ‘노동 1호’ 미사일을 만들었다. 30t의 추진력으로 사거리가 100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