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뜻밖
의외
예상밖
d라이브러리
"
생각밖
"(으)로 총 3,43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신비 해결의 열쇠 리만 기하학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이집트 나일강변의 토지측량에서 출발한 유클리드기하학은 정·반·합의 과정을 거쳐 우주의 구조를 밝히는 리만기하학으로 성장했다.교과서적으로 말한다면 기하학이란 '도형의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도형에 관한 연구는 이집트 바빌로니아 등 오리엔트의 대제국에서 발생했다. 대제국을 ... ...
태양 닮은 주변의 별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우리 주변에는 어떤 별들이 포진하고 있는가. 이들 별 중 태양과 유사한 별, 즉 행성계를 가진 별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우리 태양계 주변 10광년 내에는 십여개의 별들이 분포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쌍성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행성계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일부는 태양과 유사한 별들도 있 ... ...
2. '오즈마'에서 '페닉스'까지 본격탐사 발자취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1960년 오즈마계획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지구밖문명체 탐사가 시작됐다. 오즈마에서 페닉스계획까지 우주인찾기 35년의 역사를 살펴본다.1960년 미국 동부 웨스트버지니아주 그린뱅크시에 있는 국립전파천문대에서는 인류 역사상 가장 의미있는 일이 시작됐다. 이름하여 '오즈마계획'. 그것은 바로 ... ...
"상대성이론 창안 1등공신은 부인 밀레바"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과학의 새 지평을 연 아인슈타인 박사. 모든 과학자의 우상이며 20세기의 대표적인 위인으로 꼽힌다. 하지만 그도 두마리의 '토끼'를 모두 잡지는 못했다. 사적으로는 평균이하(?)였던 아인슈타인의 삶이 집요한 추적자들에 의해 밝혀지고 공개됐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인슈타인의 사생활' (동아 ... ...
3. 역대 멸종 원인 5가지 가상 시나리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35억년 전부터 지구상에는 갖가지 생물이 번성했다가 사라지곤 했다. 심할 때는 생물종의 90%가 일제히 멸망한 시기도 있다. 집단멸종은 왜 일어난 것일까. 현대 과학자들이 제시하는 집단멸종 원인에 대한 가설들을 점검해 본다.집단멸종은 왜 일이 났을까. 그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많은 가설들이 ... ...
남자는 뇌가 크고 여자는 뉴런이 많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남자의 두뇌와 여자의 두뇌는 어떻게 다르고 어떻게 같은가. 최근 수년간 심리테스트, 해부학적 구조 연구, 뇌 스캔 연구 등을 통해 남녀의 뇌 사이에 미세하지만 의미있는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고 있다.미국 미주리 대학의 과학철학자 로날드 먼슨 박사는 부업으로 소설을 쓴다. 최근 '굿 하우스키 ... ...
옹기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장독대에서부터 물독 뚝배기 항아리에 이르기까지 옹기는 우리네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돼 이용돼 왔다. 좋은 재료에 전통기법을 써서 빚어진 옹기는 선조들의 경험에서 우러난 과학 지혜를 전해주고 있다.예부터 우리나라에서는 맑은 물이라도 정화시켜가면서 마시는 습관을 갖고 있었다. 식생활 ... ...
선·평면·입체 외 또다른 차원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정사각형의 넓이가 하나의 곡선이라고 생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선분은 폭이 없는 것'이므로 그것이 아무리 모아져도 넓이를 갖는 평면은 만들 수 없는 것이 상식이다. 그러나 1890년 이탈리아의 페아노는 '점의 궤적'으로 평면을 그릴 수 있음을 증명했다.19세기 말 칸토 ... ...
2 '과학자 우대' 옛말, 행정눈치보는 샐러리맨 전락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과학에 대한 정부의 철학부재와 이에 따른 각종 통제, 그리고 낮은 보수에 시달리는 연구원들의 사기가 땅에 떨어져 있다. '과학 한국' '일류 도전'등의 구호가 무색한 과학자 박대가 지속된다면 '세계화'는 공염불이다.대덕 단지 내 정부 출연 연구소에 몸담고 있는 K박사는 지난 2월 중순 석간신문 ... ...
2 모델 동물실험 의약산업 혁명 눈앞에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인간게놈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실험동물이 필요하다. 인간과 유사성이 많으면서도 교배가 쉽고 수명이 짧은 동물이 제일 적격이다. 인간을 위해 '몸바치는' 동물들로는 어떤 게 있을까.필자가 어렸을 때는 항상 약간씩은 배가 그 고픈 것이 정상이었다. 그 시절에는 살이 많이 쪄서 뚱뚱한 사람을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