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d라이브러리
"
동물
"(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5억 년 전 ‘지네
동물
’, 뒤늦게 족보 찾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이
동물
이 유조
동물
과 공통 조상을 갖는 친척이고, 절지
동물
과는 거리가 멀다고 결론지었다. 할루키게니아는 5억 년만에 ‘족보’를 찾은 셈이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8월 17일자에 실렸다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닭이다. 각각의 원(염색체)에서 아래 반원은 인간의 염색체이고, 위 반원은 해당
동물
의 전체 유전체(게놈)다. 선은 비슷한 유전자끼리의 연결선이다. 진화적으로 가까운 대상과 보다 많은 염색체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래는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생물학자 에르네스트 해켈의 생명의 ...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식물공장에서도 항체의약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게 증명됐기 때문이다.식물공장은
동물
공장보다 장점이 많다. 일단 비용이 싸다. 또 실험과정에서 사람에게 바이러스가 전염될 우려가 없어 안전하다. 수송이나 보관도 편리하다. 다만 식80물세포로 생산한 항체에는 자일로오스 같은 식물에만 있는 ... ...
위대한 장난감 발명가 ‘애더리 시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숲과
동물
들을 만날 수 있어요.”미로정원이다. 아이들이 즐겁게 놀 수 있게 나무와
동물
들이 살고 있다. 안전하게 빠져나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썰렁홈즈와 함께 미로를 통과해 보자.미션4 내 친구 빌헬름 텔“마지막으로 위대한 희곡과 스포츠가 결합한 장난감 중의 명작입니다.”유명한 ... ...
PART1.전염의 시작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게케두 인근 주민인 시아 펠라 레노는 영국 신문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야생
동물
을 사냥하기 쉽기 때문에 가축 사육이 널리 퍼지지 않았다”면서 “갑자기 삶의 방식을 바꾸라는 것은 비현실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더구나 아프리카는 가축을 키우기 좋은 환경이 아니다. 가축은 찜통 ... ...
INTRO. 에볼라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7월 상용화를 목표로 백신 개발 중이다.감염경로● 이번 서아프리카 사태에서는 야생
동물
과의 접촉을 통해 에볼라가 전파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에볼라에 감염된 환자의 체액을 통해 전염된다. 에볼라 바이러스가 비록 몸속에 있더라도 증상이나타나기 전에는 에볼라가 전파되지 않는다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천연두와 소아마비뿐이다. 둘 다 사람이 유일한 숙주다. 하지만 에볼라는 사람과
동물
에 함께 감염돼 그런 드라마가 쉽게 벌어지지 않는다.3 잠복기 늘어날 가능성 “거의 없다”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은 이틀에서 3주 만에 바로 발병한다. 잠복기가 매우 짧은 편인 데다, 그 기간 동안 ... ...
사카린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거부감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콜타르가 산업폐기물이라는 사실이 문제였다.식물이나
동물
로 만든 ‘자연 음식’을 먹어야 한다는 일반적인 정서를 가진 사람들에게 화학적으로 합성한 사카린은 식품으로 인정받기 쉽지 않았다. 물론 모두가 그랬던 것은 아니었다. 시어도어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은 ... ...
긴급! 변비 환자 둘 중 하나는 어린이거나 노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훌륭한 비료가 돼요. 제가 내뿜는 메탄가스를 이용해 전기를 만들거나, 코끼리 같은 초식
동물
의 똥에서 섬유질을 뽑아내 종이를 만들기도 하지요. 커피열매를 먹은 사향고양이의 똥에서 독특한 향을 내는 커피도 얻을 수 있답니다 ... ...
[시사] 우리가 작아진다면?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먹잇감이 되기 쉽다. 또한 앞서 언급한 것처럼 체온 발산이 심해서, 실제로 덩치가 작은
동물
들의 수명은 그리 길지 않다. 학습을 통해 지적능력을 발달시킬 시간이 사실상 없는 셈이다. 줄어든 뇌의 크기도 문제다. 줄어든 뇌의 크기만큼 뇌세포 또한 감소하는데, 작은 몸집의 뇌 세포 개수로는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