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양"(으)로 총 11,913건 검색되었습니다.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휴머노이드 및 4족 보행 로봇뿐만 아니라, 휴보의 기술을 녹여내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다양한 물체를 조작하고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로봇팔 형태의 협동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협동로봇은 여러 산업 현장에서 활약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 연구원들이 만든 로봇 ...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됐다. 장영실은 자격루 외에 ‘앙부일구’ ‘현주일구’ ‘천평일구’ ‘정남일구’ 등 다양한 해시계도 개발했다. 정확한 시간을 찾다장영실의 물시계와 해시계는 시간을 전달하는 데는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장영실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다. 장영실의 관심은 정확한 시간을 측정하는 데 ... ...
- [ 과학동아 X Geekble] 치킨 발사기! 맹맹한 프라이드 치킨에 허니콤보 소스를 입혀주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지뇽쿤 님의 가장 큰 바람 중 하나는 사람들이 영상을 보고 “실패해도 다양한 방법으로 끝까지 시도하면 무슨 일이든지 할 수 있다”는 꿈을 심어주는 거라고 합니다. 케첩 참사에서 완벽한 치킨 발사기로 거듭나기까지, 지뇽쿤 님이 겪은 고뇌와 노력은 긱블의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영상에서도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교수는 엄지원 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팀과 공동으로 PTPσ가 세포 내부와 외부에 있는 다양한 단백질과 상호작용해 시냅스 신호전달을 매개할 뿐만 아니라 시냅스 생성에도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신경과학저널’ 7월 25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523/jneurosci.0672-18.2018 고 ... ...
- 기후변화를 늦추려는 세계의 노력수학동아 l2020년 01호
- 간 패널(IPCC)에 탄소 배출량을 보고해야 해. 가령 우리나라는 산업, 가정, 공공부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배출하는 탄소량 데이터를 모으고 있지. 이때 나오는 양을 아래와 같이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어. 총 배출량(T)=산업(I)+가정(H)+공공(C)만약 I, H와 C값을 얻을 수 있다면 바로 총 배출량 T를 구할 수 ... ...
- [진로체험] 박영용 씨젠생명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문제들을 하나씩 해결하면서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수학 전공자가 가질 수 있는 장점은 다양한 영역의 문제를 다룰 수 있다는 거예요. 특히 생명과학 분야에서 일하는 분들은 수식을 많이 부담스러워 하는데, 저는 수식을 이해하거나 새로 만들어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익숙하다는 강점이 있는 것 ... ...
- [이달의 수학자] 수학자 가문의 맏형과 대들보 … 자코브, 다니엘 베르누이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요한은 미분을 쉽게 하는 ‘로피탈 정리’를 만들었습니다. e는 원주율(π)만큼이나 다양한 분야에 많이 쓰이는 상수로, 2.718…로 이어지는 무리수입니다. 요한의 아들인 다니엘은 ‘베르누이’라는 이름이 붙은 개념 중에서 대중적으로 가장 유명한 ‘베르누이 정리’를 만든 장본인이죠. 베르누이 ... ...
- [주니어폴리매스] 복잡한 계산을 간단하게! [+{코딩수학}_]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컴퓨터에게 맡기면 수학을 즐겁게 배울 수 있답니다. 다함께 외쳐봐요, JUST CODE IT! 다양한 관계를 나타내고 분석하는 ‘네트워크’ 오늘 코딩으로 정복할 수학 개념은 ‘네트워크’입니다. 네트워크는 ‘그래프 이론’ 분야에서 처음 등장한 개념으로, 점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보통의 ... ...
- [이달의 책] 우리는 연결될수록 강하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설명한다. 그는 문턱값 외에도 누적확률분포, 팃포탯, 프랙탈, 푸아송분포, 지수함수 등 다양한 물리학적 개념을 이용해 광화문 광장의 촛불시위가 왜 우주의 암흑물질과 닮았는지, 배우이자 가수인 차은우와 저자의 어떤 공통점이 중력파 검출 방법을 설명할 수 있는지 이해시킨다. 이런 게 ... ...
- 로봇, 100년 동안 갖가지 얼굴을 갖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대체했답니다.이처럼 ‘로봇’은 처음엔 사람의 모습을 한 기계를 뜻했지만, 지금은 다양한 용도와 생김새의 로봇이 개발되면서 뜻이 넓어졌어요. 2013년 미국 로봇학자 일라 레자 누르바흐시는 “로봇을 정의하고 나면 새로운 로봇이 나온다”며, “로봇학자에게 로봇이 뭔지 묻지 말라”고 ... ...
이전2482492502512522532542552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