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권력자들에게 빼앗긴 서양의 달 이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지요. 하지만 로마인들은 이 신을 꽤 좋아했던 모양입니다. 오늘날
남아
있는 마르스 상은 대부분 로마 시대에 만들어진 것들입니다.4월을 뜻하는 ‘에이프릴’(April)은 ‘아프로디테의 달’을 뜻하는 라틴어 ‘아프릴리스’(Aprilis)에서 온 말이라는 주장도 있고 ‘열린다’는 ... ...
꿈의 이동통신시대 준비하는 이론공학자 송익호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좀 황당했죠. 철학 수업도 아니고. 하지만 한학기가 지나고 나면 머릿속에 많은 생각들이
남아
요”라면서 이제는 송교수의 수업에 난색을 표하는 학생들에게 용기를 주는 입장이 됐다고 말한다.사실 송교수가 수업을 이렇게 진행하는데는 이유가 있다. 고등학교 2학년때 물리선생님이 “공부는 ... ...
이천 도예마을(陶藝) - 불을 다스리는 노하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금속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유약을 도자기에 바르고 가마에 넣고 구우면 금속성분이
남아
빛을 내는 것이다. 따라서 금속의 종류를 달리하면 도자기에 다른 빛깔을 낼 수 있다.이것은 금속마다 독특한 불꽃색을 내는 것과 같다. 오늘날 우리는 나트륨은 노란색 불꽃을, 칼슘은 주황색, 리튬은 ... ...
슈뢰딩거의 생명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하지만 이런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슈뢰딩거의 책은 당시나 지금이나 위대한 고전으로
남아
있으며, 이후의 물리학과 생물학 사이의 활발한 교류의 물꼬를 텄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많은 물리학자들이 이를 통해 생명의 문제를 다시 바라봤으며, 홀데인(J. B. S. Haldane)과 크릭 ... ...
왕초보도 찾는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대적반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거대한 소용돌이라는 것이다.대적반이 3백년 이상
남아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 지구 대기권에서 생기는 비슷한 소용돌이인 태풍이나 허리케인은 고작 수주일이면 사라진다. 바다에서 생겼다가 대륙으로 이동하며 지각과의 마찰로 서서히 없어지기 때문이다. ... ...
① 극한의 생존자 미생물 수색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미생물이 인간보다 먼저 우주정거장을 차지했고, 아마도 인간이 떠나간 후에도 최후까지
남아
그곳을 지킬 것이다.미생물이 다른 생명체와 비교해서 다양한 극한 환경에서 살 수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 그 비밀은 미생물의 다양한 유전방식에 있다. 미생물의 경우 동물이나 식물에 비해 매우 큰 ... ...
동양산학에 등장하는 수열과 급수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린드 파피루스’(Rhind papyrus)라고 불리는 문서에도 등비수열을 다룬 문제의 흔적이
남아
있을 정도이다.‘구장산술’에서는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에 관련된 내용이 주로 셋째장인 쇠분(衰分)에 등장한다. 쇠분이라는 말 자체는 점점 줄어드는 비율로 나눈다는 뜻이다. 한편 지난 80년대 초에 발견된 ... ...
공중전화카드의 남은 금액 알아내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자성물질의 자기적인 성질을 변하게 한다. 그런후 외부 자기장을 제거해도 자기테이프에
남아
있는 자기적 성질이 변하지 않아 오랫동안 정보가 기록된다.그런데 자기기록은 자기매체마다 기록의 흔적이 다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이번 어드벤처에서 사산화삼철(F${e}_{3}$${O}_{4}$)을 이용했다 ... ...
봄밤 하늘에서 만난 이도령과 성춘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돌아가셔서 두 오빠가 사냥도 하고 낚시도 했다. 이 때문에 막내 여동생은 늘 집에 홀로
남아
있어야 했다. 그래서 여동생은 늘 심심하고 외로웠다.오빠들이 여느 때처럼 사냥을 나간 어느 날, 여동생은 바닷가에 혼자 나갔다. 거기서 그녀는 발을 다쳐 고생하는 거북이를 만났다. 마음씨 착한 ... ...
요일 이름에 담긴 음양오행과 점성술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일곱째날은 토성의 날(토요일)이 된 것입니다. 라틴어 계통의 언어에는 아직도 이 이름이
남아
있습니다.한가지 주의할 게 있군요. 첫째는 오행, 즉 ‘금목수화토’가 일곱개의 별 이름과 대응하면서 순서가 바뀌었다는 것입니다. 오행의 ‘금목수화토’가 점성술의 ‘화수목금토’에 밀렸다는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