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행진★을 기념하기 위해 레고 블록으로 현수교를 만들고 있어요. 다리가 서로 떨어진 두
곳
을 연결하는 거잖아요. 서로 다른 인종을 다리로 연결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올해 목표는 학교 광장 2층에 현수교를 건립하는 거랍니다. 셀마 행진★ 흑인 인권 운동가 마틴 루터 킹이 주도한 흑인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신세계를 향해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엘리트 기술학교를 나와 당분간 엄마와 둘이 살고 있었다. “그래. 아마도 엄마는 그
곳
에 사람들이 내리는 모습을 보지 못하겠구나.”“저도 그래요. 그러고 보니 마고가 뭘 두려워했는지 알 것 같아요. 우리는 우주선 안에서 태어나고 살다가 죽는 거잖아요. 미래에 새로운 행성에 자리잡고 살 우리 ... ...
[가상인터뷰] 나무를 올라타는 염소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열매를 만들어 동물이 먹도록 해요. 열매를 먹은 동물은 배설물을 통해 씨앗이 더 먼
곳
까지 퍼지게 돕지요.하지만 연구팀은 “염소를 통해 배설물뿐만 아니라 침을 뱉는 행동도 씨앗을 멀리까지 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어요.앞으로 우리의 똥뿐만 아니라 침을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한 가지 실험을 했어요. 해캄과 호기성 세균을 함께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놓고 어두운
곳
에 두었다가, 프리즘에 통과시킨 빛을 비추었지요. 빛을 프리즘에 통과시키면 파장에 따라 빛이 여러 색으로 나뉘어져요.실험 결과 호기성 세균들이 붉은색과 푸른색 빛 주위에 많이 모여드는 것을 관찰할 수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우려를 낳고 있다. 액상화 현상은 지진으로 지반이 변형 되면서 유출된 지하수가 지반
곳곳
에 스며들어가 땅이 물렁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땅이 물렁해지면 지반이 쉽게 가라앉을 수 있다. 선창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장은 “진앙에서 반경 4km 이내의 약 30군데 지역에서 액상화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NIH식 표현이다. 융합과 협력 연구에 비중환자를 최우선으로 한다는 NIH의 구호는 이
곳
연구자들을 평가하는 데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NIH가 운영하는 연구과제는 보통 NIH 소속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내부 연구 프로그램’과 연구소 밖 국내외 연구자들에게 연구비를 지원하는 ‘외부 연구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가능한 유인원으로 진화했어요. 만일 다른 생태계에서도, 지하의 유황 동굴 같은
곳
에서도 동일한 과정이 일어났다면요? 역시 부정할 수 없어요. 모르는 일이라고요.” TV에서는 익숙한 지질학자의 얼굴이 보였다. 이번에는 천연가스 화재 현장 주변에 매설된 광케이블이 무슨 문제가 될 수 있다는 ... ...
Part 1. 핫스팟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같은 유형의 푸드트럭에게 좋은 장소가 아니다. 반대로 캐나다와 미국 음식을 파는
곳
이 많지않고 사람이 많은 던스뮤어 거리는 캐나다와 미국 음식을 파는 푸드트럭에게 최적의 장소로 꼽혔다. 연구팀은 이 같은 결과를 푸드트럭 존을 지정하는 데 쓸 수 있도록 밴쿠버 시에 전달했다. 연구팀은 ... ...
Part 3. 소라게, 인공집은 과연 필요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고둥이 소라게보다 많지요. 그 결과 우리나라 소라게는 여러 고둥껍데기 집들 중 원하는
곳
을 골라 들어갈 수 있어요.하지만 안심하기엔 일러요. 해양 산성화는 세계적인 추세고, 바다는 서로 연결돼 있기 때문이지요. 실제로 우리나라의 진해만에서는 여름철 저층의 pH가 7.3~7.4까지 떨어진 것으로 ... ...
[과학뉴스] 왜행성 ‘하우메아’서 고리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이런 이유로 명왕성이 행성에서 왜행성으로 강등됐다. 연구팀은 유럽 지역의 관측소 10
곳
에서 망원경 12대로 하우메아를 관찰한 결과 반지름 약 2287km, 폭 70km 정도인 고리를 발견했다. 또 하우메아에는 대기가 없을 것으로 추정됐다. 이번 발견이 중요한 이유는 지금껏 태양계에서는 목성과 토성,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