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래
앞날
내세
차후
뒷날
내일
싹수
d라이브러리
"
미래
"(으)로 총 3,610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시민을 위한 21세기 과학수업
과학동아
l
200005
"19세기 교실에서 20세기 선생님이 21세기 학생들을 가르친다"는 말이 널리 퍼져 있다.하지만 이를 극복하려는 노력도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과학교육자들이 새로운 아이 ...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게 된다면 과학적 소양을 갖춘
미래
시민의 탄생은 시간문제다 ... ...
Ⅰ. 과학교과서를 버려라 : ① 과학시간에 SF영화를 보자!
과학동아
l
200005
있는 일인가. 또 딥임팩트에서 혜성을 파괴하려던 첫번째 시도가 실패하자 인류의
미래
를 위해 신(新)노아의 방주인 동굴대피소에 들어갈 수 있는 시민들을 주로 추첨을 통해서 선발한다. 이러한 방법이 정말 바람직한 것일까.2 영화 속에서 등장하는 수치들을 직접 계산영화에서 보여지는 각종 ... ...
Ⅱ. 신나는 과학수업의 현장
과학동아
l
200005
과학에 흥미를 가지고 과학을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부터 과학적 소양을 갖춘
미래
시민이 사회로 배출되고 창의적인 사고로 신기술의 리더가 될 인재도 길러지는 것이 아닐까. 21세기 과학 수업이 지향하는 커다란 두 줄기임을 다시 한번 되새겨본다 ... ...
미래
의 화폐 사이버 머니
과학동아
l
200005
2002년 5월 월드컵 경기가 열리는 서울. 홍길동은 가벼운 마음으로 가족들과 함께 한국과 브라질이 맞붙은 준결승 경기를 보러 나섰다. 16강에만 진출해도 충분할 것이라는 국내외 전문가들의 예측을 보기 좋게 깨뜨리고 한국팀이 준결승전에 오른 덕택에 온 나라가 잔치 분위기였고, 준결승전 티켓 ... ...
2. 별 여행을 실현시킬
미래
의 추진기술
과학동아
l
200004
다시 핵열추진에 주목하는 것은 핵폭탄을 이용하는 기술만큼 기술 실현 가능성이 높은
미래
의 추진기술이 없기 때문이다. 이미 30년 전에 시험을 해봤으며, 그 동안 원자로 제작 기술이 더욱 향상돼 왔다. 최초의 핵열로켓엔진의 시험용 원자로 이름은 키위(Kiwi)였다. 날개가 도태돼 날지 못하는 새의 ... ...
2001 우주 오디세이(2001 A Space Odyssey)
과학동아
l
200004
가장 근접하게 다가선 작가라 할 수 있다.클라크는 SF작가 못지 않게 과학저술가이자
미래
학자로도 명성이 높다. 특히 보수적인 과학자들이 편견에 사로잡혀 새로운 이론에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내는 것을 신랄하게 비판해왔다.'2001 우주 오디세이'는 1968년에 영화와 책으로 대중들에게 나타났다. 이 ... ...
전세계 정보감시망 에셜론
과학동아
l
200004
소수가 다수를 감시하고 지배하는 사회. 이 소설은 과학과 기술의 발달이 가져올 수 있는
미래
사회에 대한 경고였다. 그러나 인류는 그 우려했던 상상을 이제 현실화시켰다.공상으로 존재한 빅브라더를 가능케한 감시시스템, 그것이 현존하는 에셜론이다. 1988년 8월 영국 월간지 ‘뉴 ... ...
프톨레마이오스와 주전원 이론
과학동아
l
200004
기구로 관측할 수 있었던 것들을 정확히 기술할 수 있었고,복잡한 계산에 의해 천체의
미래
위치를 잘 예측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해보기 주전원실험예로든 그림은 지동설에 따라 태양 주위를 돌고 있는 화성의 움직임이다.지구처럼 화성도 태양 주위를 돌지만 둘 사이의 공전 주기가 달라 화성의 ... ...
세계의 컴퓨터를 내 것처럼 쓴다
과학동아
l
200004
미래
사회에서 인간의 지적 작업은 어떻게 이루어질까.우선 전제가 되어야 할 것은
미래
는 현재보다 훨씬 더 고도화된 네트워크 사회가 될 것이라는 점이다.과거 사람들 사이의 먼 공간을 전화라는 통신 수단이 이어주었던 것과 마찬가지로,현재 사람들 사이의 거리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 ...
인공생명체 탄생 임박
과학동아
l
200003
만들어내는 등의 특정 기능을 갖춘 살아있는 유기체를 합성할 수도 있지 않을까. 또 먼
미래
에는 미생물 수준을 뛰어넘어 고등동물까지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인공DNA를 합성하는 기술이 어디까지 왔는지 살펴보면서 새로운 생명체 탄생의 가능성을 타진해보자.‘천기누설’ 공로로 노벨상 수상DNA는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