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대학"(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간과 우주 수수께끼 풀러...스티븐 호킹 박사 별로 떠나다2018.03.14
- 양립시킨 이 연구는 호킹의 가장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된다. 호킹은 1975년 케임브리지대학 응용수학및이론 물리학과의 교수가 되었고, 1979년 루카스(Lucas)좌 석좌교수가 되었다. '시간의 역사' '호두껍질 속의 우주', '짧고 쉽게 쓴 시간의 역사’, '스티븐 호킹' 등의 저서가 있다. 1964년 제인 ... ...
- [속보] 영국의 세계적인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별세동아사이언스 l2018.03.14
- 것이 대표적이다. 호킹 박사는 영국 옥스퍼드대를 졸업하고 1965년 케임브리지대 대학원에 진학해 우주론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79년부터 2009년까지 케임브리지대 루커스 수학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물리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기초물리학상’을 비롯해 ‘알버트 아인슈타인 어워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정말 한 순간의 잘못일까?2018.03.10
- 뒤죽박죽 섞인 성에 대한 통념들의 존재는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 뉴질랜드 웰링턴 대학의 심리학자 Devon Polaschek는 기존 연구들을 종합해 성범죄자들에게서 크게 다섯 가지의 왜곡된 사고방식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Polaschek & Gannon, 2004; Polaschek & Ward, 2002). 1) 여성은 알 수 없는 존재라는 생각 2)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미투의 외침 나오는 이유? 성폭력 권하는 사회 2018.03.03
- 인해 꿈을 포기해야했던 여성들이 많다는 것이다. 돌이켜보면 필자 역시 학교와 대학원 등에서 성희롱 발언을 듣거나 교수들의 성폭력 혐의에 대해 듣는 일이 적지 않았다. 강간 혐의가 있었던 교수, 학생에게 사귀자고 하며 스킨쉽을 한다는 교수, 문자를 보내서 수 분 안에 답장이 없으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2018.02.13
-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2012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행복이, 건강이, 성공이 정말 당연해?2018.02.10
- 묻는 것만으로 조금 더 겸손한 현실지각을 하게 된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심리학자 Laura J. Kray 등은 사람들에게 지금의 삶을 이루기까지 어떤 일들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는지, 만약 그 일이 일어나지 않거나 잘못될 수도 있었는지, 만약 그랬더라면 지금의 삶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2018.02.06
- 말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2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2018.01.30
-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2018.01.23
-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2012 ... ...
- 전기장으로 움직이는 DNA 나노 로봇팔동아사이언스 l2018.01.21
- 털실로 짠 것처럼 꼬불꼬불하다. 꼬불꼬불한 것의 정체는 DNA다. 독일 뮌헨 공과대학 물리학과 엔조 코퍼거(Enzo Kopperger) 박사 연구팀은 염기서열에 따라 스스로 조립하는 ‘DNA 오리가미’ 기술로 25㎚ (나노미터, 10억분의 1m) 크기의 로봇팔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외부에서 조절하는 전기장에 따라 ... ...
이전2472482492502512522532542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