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시민"(으)로 총 2,641건 검색되었습니다.
- "온가족이 생태탐사 전문가가 됐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4.11.25
- 받았다. 2012년, 멸종위기종 1급인 수원청개구리 탐사로 시작된 지구사랑탐사대는 매년 시민참여과학의 장이 되어 왔다. 특히 올해는 이화여대 장이권 교수가 지구사랑탐사대가 모은 자료를 바탕으로 한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이끌고 있는 이화여대 장이권 교수 - (주 ... ...
- KAIST, 국내 첫 ‘재난학연구소’ 설립2014.10.22
- 이 연구소는 인문학과 과학기술을 융합한 정책개발, ‘안전우선’의 시민의식 고취, 시민사회와 정부의 역할분담, 국민화합을 위한 재난커뮤니케이션 등에 중점을 두고 방재 및 안전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초대 소장은 박희경 KAIST 건설및환경공학과 교수가 맡았다. ... ...
- [2014 노벨 생리의학상] ‘뇌 속 GPS’ 발견한 뇌 신경과학자들 수상2014.10.07
- 공로를 높이 평가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미국 태생으로 미국 국적뿐 아니라 영국 시민권도 있는 오키프 교수는 1971년 뇌 속 해마에 존재하는 장소세포가 현재 위치를 기억할 수 있게 한다는 사실을 처음 알아내 뇌 전문 분야 학술지 ‘뇌 연구(Brain Research)’에 논문을 발표했다. 장소세포는 ... ...
- 10월 8일 저녁엔 붉은 색 달이 뜬다2014.09.30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와 함께 전국에서 개기월식 관측회를 개최한다. 서강대학교와 대전시민천문대 등에서도 무료로 개기월식을 관측할 수 있다. 행사와 관련된 정보는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www.kasi.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 떨어지고, 사장되고…못 쓰는 아이디어 살려드립니다2014.09.19
- 받게 된다. 창조경제타운은 이런 도움을 줄 멘토 3500여 명을 확보하고 있다. 일반 시민들의 사업화 아이디어를 모아 창업까지 직접 지원하는 창조경제타운 사이트가 출범 1년 만에 도우미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사장될 뻔한 아이디어를 부활시키고, 공모전에 당선되고도 잠자고 있는 ... ...
- “전기 절약하느라 불편하셨어요? 이제 그러지 마세요.”2014.09.17
- 원리에 대한 설명을 들은 학생들은 고개를 주억거렸다. 이번 강연은 서울시 에너지시민협력반에서 추진하는 '에너지절약실천사업'의 일환으로, 학생들에게 전기를 절약해야 하는 과학적인 이유와 원리를 알려주는 게 목적이다. 심 이사는 “지금까지는 냉장고 문 적게 열기, 피크 타임에 에어컨 ... ...
- [채널A] 장수 노인 105명…‘토종 유산균’ 101개 발굴채널A l2014.09.16
- 합니다. 이영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건강을 생각해서 유산균 음료를 즐겨 마신다는 시민들. [인터뷰 : 윤빛나/서울 공릉동] 유산균 있다 그러고 장에 좋다 그래서 아침마다 챙겨 먹는 편인데요. [인터뷰 : 정연상/서울 우면동] 소화 안 될 때 먹거나 그러면 소화잘 되는 느낌? 하지만 제품에 들어있는 ... ...
- “당신이 마신 물-와인에도 방사능… 과도한 공포심 버려야”2014.09.11
- 방사능의 위협도 크지 않다. 대통령이 더티 봄의 이런 물리학적인 실체를 알고 있다면 시민들이 불필요한 공포심을 갖지 않도록 결정하고 지시할 수 있지 않겠나.” ―방사능에 대한 대중의 ‘오해’는 어떤 것인가.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는 방사능을 띠고 있다. 우주선(宇宙線)이 지구로 계속 ... ...
- 석촌 싱크홀, 지하철 9호선 공사 탓?2014.08.14
- 뚫리는 현상이 빈번해졌다. 서울뿐 아니라 세계 도심 곳곳에서도 싱크홀이 발생하면서 시민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2007년 과테말라의 과테말라시티에 발생한 거대한 싱크홀의 모습. - 위키미디어 제공 싱크홀은 지반을 받치는 바위가 녹으면서 빈 공간이 생기고 이를 덮고 있던 지표가 빈 ... ...
- 게임만 했는데 3차원 뇌지도 제작이 끝~과학동아 l2014.08.12
- 승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는 12일 서울 광화문사옥 올레스퀘어에서 협력 조인식을 갖고 시민이 참여하는 뇌 지도 제작 게임 ‘오픈와이어’를 국내에 우리말로 선보이기로 했다. 세바스찬 승 교수는 “네티즌이 만든 3차원 뇌 지도를 커넥툼(뇌 지도) 프로젝트에 활용할 계획이며, 관련 논문을 ... ...
이전2472482492502512522532542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