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얼음을 지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브룸이 얼음에 얼마나 영향을 줄 수 있는지 과학적으로 밝혀진 적은 없어요. 이 때문에 한국스포츠개발원에서는 브룸의 소재와 모양이 얼음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연구하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금메달의 비밀은 ◯◯?! 평창 동계 올림픽Part 1. 평창 동계 올림픽, 과학 ... ...
- Part 4. 날씨를 정확하게 파악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동계 올림픽과 함께 ‘기상 올림픽’도 열린다?!스키점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바람뿐만 아니라 기온과 강수량, ●가시도도 경기 결과를 바꿀 수 있어요. 따라서 기후 조건은 성공적으로 동계 올림픽을 개최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에요. 실제로 1928년 스위스 생모리츠 동계 올림픽 때 이상 고온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KIST 미세먼지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문제는 2차 미세먼지!기자단 친구들은 가장 먼저 물질구조제어연구센터로 향했어요. 연구실을 둘러보기에 앞서 하헌필 미래융합기술연구본부 본부장님이 친구들에게 미세먼지가 무엇인지 질문을 던졌지요.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먼지예요. 나쁜 물질로 이뤄져 있어서 우리 ... ...
- [매스미디어] 블랙 팬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지금은 한국이 고향처럼 느껴진다”고 말했다. 영화를 보면 부산뿐 아니라 한국 가수의 노래도 나온다고 하니 눈은 크게, 귀는 쫑긋 세워 보도록 하자. 블랙 팬서, 어깨가 너무 무거워! 영화의 배경인 ‘와칸다’ 왕국은 아프리카 대륙에 있는 가상의 국가로, 블랙 팬서는 와칸다 최고의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3] 수학적 최적화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축구 구단의 목표이자 이루기 쉽지 않은 난관입니다. 하지만 규모가 전부는 아닙니다. 한국에서 흔히 종합운동장으로 불리는 다목적 경기장은 상대적으로 더 크고 관중석이 많지만, 축구를 보기엔 축구 전용구장보다 훨씬 불편합니다. 축구 전용구장에 비해 관중석에서 그라운드가 너무 멀기 ... ...
- Part 1. 비장애인과도 겨룬다?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주토피아에서 달리기 시합을 하면 어떨까. 공정성을 위한 규칙이 없다면 뻔하다. 토끼는 치타를 이길 수 없다. 시합이 재밌으려면 토끼도 금메달을 딸 수 있게 새로운 규칙을 만들어야 한다. 장애인 스포츠를 위한 이런 규칙을 수학이 만들었다. 놀랍게도 이 규칙만 있다면 비장애인과 함께 순위를 ... ...
- [에디터 노트] 가짜의 달콤함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이식하는 수술로 명성을 떨쳤다. 국내에는 2013년 TV 다큐멘터리 ‘해나의 기적’에서 한국계 캐나다 여아 해나 워런의 기관 이식 수술을 담당한 의사로 등장하면서 유명해졌다. 하지만 당시 마키아리니 박사에게 인공 기관 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는 모두 숨졌고, 논문 내용이 실제와 다른 것으로 ...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김성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거대공공연구정책과장은 “우주 개발 사업을 이끌어 온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역할을 차츰 줄이고 민간 기업의 역할을 키우자는 것이 앞으로 국내 우주 개발의 기본 방향”이라고 밝혔다. 김승조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명예교수는 ... ...
- [Culture] ‘과학 초콜릿’ 그뤠잇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한국인의 장에 특화된 유산균을 함유한 제품을 개발했기 때문이다. 때문에 롯데제과는 한국과 일본에서 동일한 이름의 유산균 초콜릿을 판매하고 있지만, 양쪽에 함유된 유산균은 서로 다르다. 양 상무는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인식이 있는 초콜릿이 유산균을 만나 맛은 유지하면서 건강해졌다”며 ... ...
- 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있다”며 “인공위성 원격탐사는 과거 유럽과 미국 등에서 주도했는데, 이제는 한국도 지구관측 위성인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으로 인공위성 원격탐사를 하고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극지연구소 연구팀은 광학위성인 ‘아리랑 2호’ ‘아리랑 3호’를 이용해 마리안 소만의 빙벽 후퇴를 ... ...
이전2472482492502512522532542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