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심형 무인기 드론이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거리가 있다. GPS신호를 이용해 ‘대강’ 배달해도 집 근처에 확실히 물건을 가져다 줄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다닥다닥 붙은 아파트나 연립주택이 많다. 하늘을 날아간 드론이 배달을 해야 할 창문 위치까지 정확히 확인해야 하는 것이다. 곳곳에 뻗은 전선, 신호등, 간판 등도 피해야 하고, ...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그런 방법은 없다. 하지만 우리의 아이들이 유년기의 기억을 더 많이 남길 수 있도록 도와줄 수는 있다. 아이들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더 재미있고 정교하게 들려주고, 반복해주자. 매일매일의 이야기를 직접 말하도록 해주고, 이를 보다 짜임새 있게 재구성해주자. 그리고 즐거웠던 일들을 자주 ... ...
- 응답하라! 아빠 엄마 어렸을 적에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짜인 그물망을 발로 세게 디디면 틀과 연결된 용수철이 쭉 늘어났다가 탄성으로 다시 줄어들면서 그물망을 들어 올려 몸이 공중으로 붕 떠요. 트램펄린 하나에 100개가 넘는 용수철이 연결돼 있다니 몸이 공중으로 뜨는 힘도 엄청나겠죠? 트램펄린은 2000년 시드니 올림픽부터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 ...
- 원숭이도 덧셈을 한다고?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교수님이 진행했고요. 처음에 교수님이 화면에 0부터 25까지 숫자 중 두 개를 보여 줄 테니 더 큰 숫자가 무엇인지 선택해 보라고 하시더라고요. 화면에는 0부터 9까지의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로, 10부터 25까지의 숫자는 문자로 바꿔 나왔어요. 10은 A, 11은 B…, 이런 식으로요.어떻게 큰 수를 구별했나요 ... ...
- Part 1 알아두면 더 재밌는 월드컵 이야기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꿨고, 당시 유럽에서 빠르게 유행되고 있는 축구가 적절한 종목이라고 생각했다. 1919년 줄 리메는 프랑스 축구 연맹을 창설했고, 이후 2년 뒤인 1921년에는 국제 축구 연맹(FIFA)의 회장이 되었다. 그리고 월드컵 개최를 위해 부단히 노력한 끝에 1930년, 우루과이에서 첫 월드컵이 열리게 되었다 ... ...
- 삼각형 소용돌이 스피드론 만들기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에르데이가 패턴 디자인을 연구하던 중 우연히 발견했다. 그 형태가 나선 모양의 거미줄을 연상케 한다고 해서 ‘spider(거미)’와 ‘spiral(나선)’의 영어 단어에서 이름을 따왔다.스피드론은 이등변 삼각형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의 이등변 삼각형은 크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이등변 ...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몰려있어도 아무런 문제없이 골 판정 이 가능하다. 하지만 실감나는 영상을 TV로 보여줄 수 없다는 점이 한계다.축구의 하이라이트는 바로 골이 들어가는 순간이다. 이번 월드컵에서는 과학의 힘으로 그 하이라이트를 더 욱 생생하고 진하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 와인 잔에 든 맥주가 더 맛있다! 음료와 컵의 밀당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커피전문 점에서 텀블러로 커피를 구입하면 할인이 된다! 커피를 맛있게 먹고, 쓰레기도 줄이고 돈 도 아끼고, 이것이야말로 일석삼조에, 꿩 먹고 알 먹는 일이 아닐까 ...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제각각이라는 사실도 알게 됐지요. 가령 엄마는 3원색을 보는데 아들은 두 가지 색만 볼 줄 알았던 거예요. 물론 예외도 발견됐습니다. ‘짖는원숭이’는 개체별 차이 없이 모두 3원색을 구분할 수 있었고, ‘밤원숭이’는 모든 개체가 3원색을 볼 수 없었습니다(64쪽 인포그래픽 참고).영장류 중 가장 ... ...
- [Life & Tech] 암세포만 때려잡는 마법 방망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번 물질이 모두 있으면 A약을 줄 것’ 또는 ‘1번이나 3번 중 한 가지 물질만 있으면 B약을 줄 것’ 등이다. 1980년대 8비트 컴퓨터 정도의 연산 능력이다.연구팀은 바퀴벌레 안에 나노로봇을 넣고 정상적으로 활동하는지 실험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마치 바퀴벌레 속에서 로봇들이 생각하고 ... ...
이전2472482492502512522532542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