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원
박사
의도
의향
doctor
딱터
d라이브러리
"
의사
"(으)로 총 2,954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량형 틀니 개발해 국제발명전 휩쓴 치과
의사
윤한석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마음에 걸리는 건 생전에 아버님을 자주 못찾아 뵌 일이다. 비록 대를 이은 치과
의사
답게 틀니를 개량한 발명품으로 아버님의 긍지를 높여 드리긴 했지만 연구를 한답시고 변변히 모시지도 못한 일이 마음에 빚으로 남아 있는 것이다.69년말 연구를 시작한 이래 특허를 따기까지 줄곧 혼자서 ... ...
왼쪽, 오른쪽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심장은 가슴뼈 안에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심장의 정점은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져 있어
의사
는 왼쪽가슴에 청진기를 대고 심장소리를 듣는 것이다. 아기는 9개월동안 엄마의 심장소리를 들으며 지내왔기 때문에 태어난 후에도 왼손으로 안아주면 보다 안정감을 갖게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
폐차의 플라스틱 40% 다시 사용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폭스바겐을 위시한 메이커들은 신형 모델이 보증주행거리를 완주한 경우 이 차를 인수할
의사
가 있음을 표명 했다. 이들 공약은 대부분 신형 모델에 국한된 것으로 이 공약이 실현 되려면 10여년의 유예기간이 지나야할 것이다.폭스바겐 같이 이미 재활용연구에 착수한 기업도 있다. 레르공장의 ... ...
계절시차 적응 못해 봄되면 온몸이 나른 몸속시계가 수면을 조절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메커니즘은 얼마나 알려져 있나.몸속시계의 작용메커니즘은 1971년 미국의 모아라는
의사
에 의해 처음 밝혀졌다. 그는 흰쥐를 사용한 실험에서 시교차상핵을 파괴해버리면 혈액중의 부신피질호르몬이 분비되는 리듬이 사라져버리는 묘한 현상을 발견했다.그후 시교차상핵이 쥐 원숭이 등 ... ...
(3) 정박아 기형아 낳을 위험성 높아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사춘기가 돼도 월경이 없고 유방이 발달되지 않으며 키가 자라지 않기 때문에 그때서야
의사
를 찾는 경우가 많다. 신장 1백40㎝ 미만의 여학생중 7%에서 터너증이 발견되고 있다.간혹 지능장애가 오기도 하는데 외관상으로는 목이 짧으며 목의 바깥쪽 피부가 날개 모양으로 늘어나 있다. 또 양팔을 ... ...
꿈,뇌간서 전기신호로 발생한 영상과 감정의 뒤범벅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근접한 두 세포군을 이루고 있다. 새로운 꿈 연구자들의 리더격인 하버드 대학의 정신과
의사
알란 홉슨 박사는 이 세포군을 렘온 지역(REM-ON area)이라고 부른다. 캐나다 온타리오주 레이벌 의학교의 스테리어드 박사는 동물실험을 통해 렘온지역에 잠을 증진시키는 전달물질이 주입되면 일시적으로 ... ...
새로운 통신시대의 개막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완전히 전달된다. 컴퓨터 통신의 위력을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본다.
의사
소통을 위한 수단이 발명되기 시작한 것은 인간의 문명과 그 시기를 같이한다. 인간의 다양한 목소리는 다른 어떤 영장류보다도 진화를 촉진시킨 계기를 마련하였다. 문제는 코앞에 있는 사람과의 통화가 아니라 ... ...
산호로 손상된 뼈 치유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이같은 산호활용기술은 이미 전세계적으로 널리 소개돼 있다. 특히 신경외과와 정형외과
의사
들에게 큰 도움을 주고 있는데, 척추의 기형이나 골절을 치유할 때 활용가치가 높다고 한다. 예컨대 프랑스 마르세이유에서는 수년 전 극심한 골절을 입은 환자에게 길이가 17㎝나 되는 산호를 이식했는데 ... ...
콜레스테롤의 정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조사에 따르면 고지혈증으로 간주할 수 있는 사람은 조사대상의 37.8%였다고 한다.
의사
들도 우리나라 성인의 약 40%가 고지혈증세를 갖고 있다는데 대체로 동의한다.경희대 의대 내과 최영길교수는 "고지혈증의 증세는 팔다리가 차가워지고 저리는 정도이므로 무심코 지나치기 쉽다. 이처럼 ... ...
오진, 불가항력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제기된 부검의 활성화, 정확한 의무기록, 적정진료를 위한 체제마련 그리고
의사
와 환자간의 신뢰회복을 위해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할 때라는 지적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