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학적 증거 갖고 두학파 맞서 네안데르탈인은 인류의 직계 조상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갖춘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안면은 앞으로 당겨진 형태여서 턱이 없는 형이다. 게처럼
옆
걸음질을 하였고 손아귀를 꽉 쥐면 사람의 손가락은 부서질 정도다.그러나 일부 인류학자들은 네안데르탈인들의 지능이나 문화수준이 현생 인류의 조상과 매우 비슷했고 일부 지역에서는 완전히 같은 ... ...
돌비시스템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D'자를 등을 돌려 서로 맞붙인 모양의 독특한 로고를 흔히 볼 수 있다. 대개 그 로고
옆
에는 돌비잡음감소시스템 (Dolby Noise Reduction, 줄여서 Dolby N.R.)이라는 문자가 곁들여진다.길거리에 붙여진 영화포스터에도 '돌비스테레오'(Dolby Stereo)라고 적혀 있다. 또 25인치 이상의 대형 TV나 AV(audio ...
망원경제작의 1인자 이만성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빛을 쪼여서 느낌으로 파악해야 한다고 한다. 몇개월씩 작업한 것을 느낌만으로(
옆
에서 보면 아무런 차이도 없음) 한달 이상씩 수정하는 자세를 배웠다.학교를 졸업하고 직장에 들어간 이씨는 본격적으로 망원경제작에 들어갔다. 제작비가 월급으로 충당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첫작품은 78년에 ... ...
위험을 알 권리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이르기까지 모든 위험 요소를 샅샅이 알 권리를 갖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자기집
옆
공장에서 발생할 사고에 대해서 대응 계획을 세우는데 참여하고, 사고가 발생했을 때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 정부는 엄청난 예산을 들여서 컴퓨터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 ...
알프스의 미이라 '외츠'정체 드러내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물론이고 내장기관까지 양호한 상태로 보존돼 있으며 자신이 사용했던 도구들도 그
옆
에 놓여 있었다. 특히나 그가 사용했던 연장의 나무손잡이들이 하나도 상하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다는 것은 놀랄만한 일이다.하지만 고고학자들의 열광과는 달리 이 청동기인은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간의 ... ...
봄소식 전해주는 동물들의 기지개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정도로 크며 밝기는 태양의 1백50배 정도이다. 작은 망원경이나 쌍안경을 통해 보면 바로
옆
에서 8등급의 동반별을 발견할 수 있다. 레굴루스와 동반별과의 거리는 대략 7천억㎞로 이는 태양에서 명왕성까지의 거리보다 1백배 정도 먼 거리이다. 그러나 이러한 먼 거리에도 불구하고 두 별은 서로 ... ...
바퀴벌레, 눈에 띈 마리수의 16배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이 성질을 이용해 실험이 이루어졌다. 까만 상자(11×15×5.5㎝)를 잠복장소로 가정하고 그
옆
에 플라스틱 용기(먹이 장소, 32×42×30㎝)를 붙였다. 잠복장소에 투여한 것은 암컷의 성충과 유충 각각 20마리와 50마리씩 네그룹. 특히 활동이 많은 밤 11시부터 새벽 두시에 걸쳐서 먹이장소에 나타난 수를 ... ...
The Park Phenomenon 공원현상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공원의 가장 유명한 동상들은 인간의 모습이 아니다. 한스 크리스찬 안데르센 동상
옆
의 미운 오리새끼, 동쪽길에 웅크리고 앉아있는 케메이산의 사자, 1925년 디프테리아 병에 휘말린 알래스카의 노움시를 구조하기 위해 혈청전달 사명을 띤 개들을 이끌었던 발토라는 이름의 에스키모 개동상 등이 ... ...
신안 해저유물선 인양, 그후 8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수년은 걸릴 것이다. 이 조립광경은 공개리에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 일반인이 그 과정을
옆
에서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교육적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목포보존처리소는 원래의 모양과 가능한한 가깝게 조립하기 위해 축소모형배를 제작해 놓았다. 각종 문헌을 뒤지고 관련학자들의 자문을 구해 1/5 ... ...
과학기술발전의 기틀 마련한 초창기의 원자력연구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시기로, 서울 공대에 원자핵공학과가 신설되고 공과대학의 부지 일부를 양여받아 그
옆
에 원자력연구소가 설립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우스운 사실은 학부에 원자핵공학과가 개설된 곳은 우리나라밖에 없었던 것이다. 미국에는 원자핵공학이 대학원 과정에만 있고 학부에는 없다.어쨌든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