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예보, 못 믿겠다?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간주한다. 서울 전역 25개 도시대기측정소에서 측정한 데이터들은 서울시 보건환경
연구원
환경관리전산실로 모인다. 이곳에서 에어코리아와 서울 대기환경정보 홈페이지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를 보낸다. 미세먼지를 예보하는 애플리케이션(앱)마다 예보 등급이 다른 경우가 있다. 이것은 국가마다 ... ...
Part 4. 중국 탓에 심해졌다?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때 주로 배출되고, 레보글루코산은 바이오매스를 연소시킬 때만 나온다. 정진상 책임
연구원
은 “레보글루코산 농도는 평소 수준인데 칼륨 농도가 급격히 증가했다면, 이는 중국 불꽃놀이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며 “중국에서 배출된 초미세먼지가 국내 대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 ...
만화 찢고 꺼낸 수학 만.찢.수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요일마다 보는 웹툰이 한 개쯤 있나요? 그 안에 수학이 숨어있을지 모릅니다. 분야도 게임이론부터 위상수학까지 다양하죠. 랑또의 ‘가담항설’부터 하일권의 ‘마주쳤다’까지 웹툰 찢고 건져온 수학을 여기에 공개합니다! 움직이는 웹툰이 어느새 익숙해졌습니다. 네이버 웹툰의 ‘가담항 ... ...
Part 1. 과학을 완성한 수학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낯선 수학 분야와 거울대칭 이론을 융합해 연구하는 오용근 기초과학
연구원
기하학 수리물리 연구단장님께 물었습니다. Q. 물리학과 수학이 어떤 관계라고 생각하시나요?양자역학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이론적 근거가 되는 수학도 함께 발전했고, 수학도 물리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어요. ... ...
[과학뉴스] 육식동물 판다가 초식동물이 된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유전자들은 다른 유전자들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진화했어요. 이번 연구를 이끈 레이 산
연구원
은 “판다가 대나무를 먹을 수 있도록 진화해왔다는 가장 중요한 증거”라고 말했답니다 ... ...
[식물 속 동물 찾기] 호랑버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식물은 따뜻한 봄이 되면 아름다운 꽃을 피워요. 이를 위해 혹독한 겨울 동안 털이나 기름층으로 둘러싸인 꽃눈을 키우죠. 꽃눈은 성장을 멈춘 채 겨울을 나고, 날씨가 따뜻해지면 꽃을 피운답니다. 호랑버들의 이름은 바로 이 꽃눈에서 유래했어요. 양끝이 뾰족한 꽃눈은 약간 붉으면서도 반짝반 ... ...
Part 1. 우주정거장이 추락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1호가 언제 어느 지역으로 떨어질지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있답니다. 최영준 한국천문
연구원
박사는 “톈궁 1호는 육지보다는 면적이 넓은 바다로 떨어질 확률이 높다”고 말했어요. 이어 “하지만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여러 나라 과학자들과 협력해 톈궁의 위치를 추적하고 있다”고 ... ...
Intro. 펭귄부터 운석까지, 남극에서 보물 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펭귄부터 운석까지, 남극에서 보물 찾기!Part 1. 남극에서 보물을 찾는 사람들의 정체는?Part 2. 남극에 사는 별별 생물Part 3. 우주에서 날아온 유성체 ...
Part 1. 남극에서 보물을 찾는 사람들의 정체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물어 봐야겠어. 30주년을 맞은 세종과학기지!서울에서 1만 7240km 떨어진 곳에 우리나라
연구원
들이 머물고 있어요. 바로 올해 2월, 문을 연지 30년이 된 남극 세종과학기지예요. 우리나라는 40년 전 남극에 첫발을 디뎠어요. 남북수산주식회사의 남북호가 남극해에서 처음으로 새우를 닮은 ... ...
[과학뉴스] 여왕벌에게 더욱 특별한 ‘로열젤리’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pH4 정도다. 이를 pH5 이상으로 조정해 산성도를 낮추자 점성이 거의 없어졌다. 부츠테트
연구원
은 “로열젤리의 주요 단백질인 ‘MRJP1’이 산성에서는 다른 단백질과 중합해 섬유 구조를 이룬다”며 “단백질이 섬유화돼 점성이 높아진 로열젤리가 애벌레를 붙잡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