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
육체
육신
인체
몸통
동체
바디
d라이브러리
"
몸
"(으)로 총 7,52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1위 로봇 휴보에겐 ‘포도’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넘어지지 않게 자세 잡는 일이 대단히 어렵다. 움직일 때마다 균형을 맞추기 위해 온
몸
의 관절을 유기적으로 움직여야 한다. 더구나 재난수습로봇은 장애물 가득한 곳에서 복잡한 업무를 연달아 수행해야 한다. 짜임새 있게 설계된 소프트웨어 없인 불가능한 일이다.휴보는 세계 어디에도 없는 ... ...
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작은 조각부터 정밀한 계산을 통해 탄생했다. 그 덕분에 오랫동안 세계인의 사랑을 한
몸
에 받고 있는지도 모른다.우리 세상의 축소판을 만들자!오늘날의 브릭을 처음 떠올린 덴마크 출신의 올레 키르크 크리스티얀센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좋아할 만한 장난감을 만들고 싶었다. 그래서 남자아이가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수축·이완하면 진동막이 들어갔다 나오면서 소리가 난다. 이 소리는 텅 비어 있는
몸
통 안에서 공명하며 울려 퍼진다. 하지만 암컷 매미는 진동막도 없고 뱃속은 알로 가득 차 있다.미국 쿠란트수학연구소의 에스테반 타바크 박사팀은 매미의 진동막에 붙어 있는 발음근의 길이와 진동막이 떨릴 때 ... ...
PART3. 어떤 관객을 공략해야 하는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그 이유는 진화적인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공포의 대상을 보고 깜짝 놀라서
몸
을 피하는 것은 육아를 책임지던 여성이나 혹은 어린아이에겐 유리한 반응이다. 반면 맹수와 싸워서 가족을 지켜야 했던 남성에게는 불리한 반응이다. 이렇게 서로 다른 반응은 심리적인 성적 이형성(Sexual dimorphism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별빛에 둘러싸인다면 어떤 생각이 흐를까. 단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깊은 울림이 온
몸
에서 일어날지도 모른다. 그리고 드넓게 펼쳐진 우주가 속삭이듯 말을 걸어올 것이다. 어둠이 내리고 별이 빛나기 시작하면, 천체망원경은 우주를 여행하는 눈동자가 된다. 행성 지구에서 이런 경험을 할 수 ... ...
감정은 마음먹기에 달렸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해석하면 비교적 잘 납득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 ‘진정’이라는 상태는 긴장된
몸
상태와 정반대의 감정이기 때문에 아무리 억지로 되뇌어도 받아들이기 어렵다.면접 전이나 회의 전, 사람들과의 갈등 상황 등에서 지나친 긴장 때문에 낭패를 본 경험이 있다면 오늘은 이 감정에 다른 이름을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점점 더 고래를 닮아가고 있다.산란을 위해 뭍으로 오르기가 어려워지자 모사사우루스는
몸
속에 알을 낳아 새끼를 낳는 난태생으로 진화했다. 수중분만 중에 새끼가 익사하지 않도록 꼬리부터 낳았는데, 이 역시 오늘날의 고래와 같은 방식이다.백악기의 한니발 렉터약 7000만 년 전부터 6600만 년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몇 가지 진화적 사건을 통해 인류는 다른 동물종에 비해 현저하게 적은 수의 병원체만을
몸
속에 보유하게 됐다. 이를 ‘병원체 병목현상’이라고 한다. 다른 동물에서는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바이러스나 세균이 갑자기 숙주를 바꿔 인간에게 침입할 경우, 인간은 그 공격에 맥없이 무너질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것도 허용됐다. 하지만 이번 본선 대회 때는 여러 가지 과제를 연달아 진행하고, 로봇
몸
에 안전장치 등을 걸 수도 없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휴보 연구진도 지난 3년 사이 로봇을 큰 폭으로 업그레이드 해왔다. 2013년엔 춤추고 물건을 집어 올릴 수 있는 ‘전신제어기능’을 덧붙인 ‘DRC 휴보’를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갖고 있다. 거울에 비친 자신의 팔을 보면서 그것이 자기 앞에 있는 물건이 아니라 자기
몸
에 달려있다는 것을 안다. 이런 거울테스트는 1970년대에 개발돼 오늘날까지 쓰이고 있는 자기인식 테스트로, 인간이 아닌 종 가운데서는 지금까지 일부 영장류, 코끼리, 돌고래 등만이 통과했다. 하트 박사는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