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적
표적
대상
과녁
대상물
제목
문제
d라이브러리
"
목표
"(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2 외계생명체 찾는 첨단로봇들의 화성침공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있다. 하지만 두가지 화성탐사계획은 서로의 미비점을 보완할 수 있는 각자의 과학적
목표
를 갖고 있다. 이들 탐사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될까.우선 내년 1월 화성에 도착하는 NASA의 쌍둥이 탐사로봇 스피릿과 오퍼튜니티를 살펴보자. 1997년 화성 표면을 돌아다니던 깜직한 탐사로봇 소저너를 ... ...
1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새로운 인재상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미국은 신기술 간 융합의 목적을 ‘인간의 수행능력 향상’에 두고 있다. 즉 하나의
목표
를 향해 기술이 수렴(converging)돼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경우는 이와 달리 앞으로 혁신이 일어나는데 장애가 되는 한계를 이들 기술의 융합이 극복하게 해줄 것에 무게를 두고 있다.융합기술은 199 ... ...
스파이더맨처럼 벽 오를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연구팀은 앞으로 어른 몸무게도 지탱할 수준에이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팀의
목표
는 이를 이용해 우주선 바깥표면을 걸어다니며 위험요소를검사하는데 쓰일 로봇을 개발하는 것이다 ... ...
과학이 정말 재밌어요!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거점센터로 두고 있는 WISE(Women Into Science & Engineering)는 여성과학기술인력 양성을
목표
로 2001년부터 정부에서 적극 추진하는 프로그램이다.WISE의 활동으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온라인 멘토링 프로그램. 멘토링이란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된 용어로 스승(멘토)과 제자(멘티) 간의 지속적인 후견인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여기저기 누비며 탐사할 수 있고, 스스로 날씨를 판단한 후 날씨가 좋으면 밤하늘에서
목표
대상을 찾아가 알아서 추적·관측할 수 있을 정도로 똑똑하다. 또 망원경은 원격 조종이 가능하며 관측된 방대한 자료도 고속 전산처리기술로 자동 처리된다. 작은 고추의 매운 맛을 보여준다고 할까.광시야 ... ...
1 온난화 탈출할 비상구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그러나 세계적인 환경기술시대에 대비한 에너지기술의 개발은 이산화탄소 감축
목표
를 달성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이고 핵심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002년 7월 과학기술부 21C 프론티어 연구개발 사업으로 ‘이산화탄소 저감 및 처리 기술개발 사업단’이 출범한 까닭이다 ... ...
태양에너지 무선전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20년경에는 10-1백MW급 전력 위성 발사, 2040년경에는 1GW급 상업용 우주태양광발전소 건설을
목표
로 하고 있다. 만약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2050년경에는 우주태양광발전소가 보편화돼 다양한 응용분야가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우주임무 수행하는 로봇에 에너지 공급무선전력전송기술은 우주태양광발전 ... ...
2 힘세고 오래가는 에너지 활용비법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증가 추세에 있다. 2010년 미활용에너지를 민생용 에너지 수요량의 10% 수준으로 공급할
목표
인데, 원유로 환산하면 72만kL나 된다.미활용에너지 이용시스템은 보일러와 냉동기 등 기존의 냉난방시스템에 비해 에너지절약은 물론 도시와 지구환경 개선, 전력평준화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 ...
4 화석연료 대신하는 미래 청정에너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3kW급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발전단가 3백20원 이하로 개발한다는
목표
다. 물론 지금까지 기술개발을 통해 상당한 수준의 기술이 확보돼 단기간 내에 보급이 가능한 태양열, 폐기물, 바이오에너지 분야에 대해서는 보급중심의 보완적인 기술개발이 이뤄진다.대체에너지 ... ...
인간게놈지도 100% 완성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게놈지도를 97%까지 완성한 초안을 발표한 바 있다.콜린스 소장은 그동안 99.9%의 정확도를
목표
로 게놈의 염기서열을 해독해 왔다고 밝혔다. 사람은 인종과 개인에 따라 염기서열이 0.1% 정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100% 정확한 게놈지도는 만들 수 없다.염기서열 해독작업의 3분의 1을 실시한 영국 웰컴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