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27%] 미지의 물질, 암흑물질수학동아 l2018년 03호
- ΛCDM 모형의 CDM에 해당하는 암흑물질은 우주를 이루는 물질의 27% 정도를 차지한다. 암흑물질의 ‘암흑’은 말 그대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붙은 수식어다. 물체를 ... 1. [5%] 우리가 아는 것Part 2. [27%] 미지의 물질, 암흑물질Part 3. [68%] 미지의 힘, 암흑에너지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 . ...
- 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앞서 살펴본 것처럼 오늘날의 우주론은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라는 개념을 도입한 수학 모형으로 우주를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두 개념 모두 실체가 발견 ... 1. [5%] 우리가 아는 것Part 2. [27%] 미지의 물질, 암흑물질Part 3. [68%] 미지의 힘, 암흑에너지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 ... ...
- [에디터 노트] 가짜의 달콤함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그는 모든 것을 속였다(He Lied About Everything)’ 미국의 다큐채널 ID(Investigation Discovery)는 얼마 전 밸런타인데이에 이런 제목의 다큐멘터리를 첫 방송했다. ‘그’는 이탈리아인 외과의사 파올로 마키아리니 박사다. 마키아리니 박사는 2008년 환자의 줄기세포로 만든 인공 기관(trachea)을 개발 ...
- [Future] ‘사이보그 동물’이 온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포함한 모든 동물은 에너지를 가장 적게 쓰면서 가장 효율적으로 살아가도록 수백, 수천만 년에 걸쳐 진화해왔다. 동물이 걷거나 뛰거나 나는 거대한 움직임은 사실은 아주 작은 신경세포 안팎을 이온들이 드나들면서 만든 신호에서 시작된다. 그것이 근육을 움직이고, 기관을 움직이며, 결국 하나의 ...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위한 생존 장치다. 어류뿐만 아니라 포유류, 곤충류, 세균, 미생물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물은 체내에 얼음 결정이 생기면 생존할 수 없다. 날카로운 얼음이 물리적인 손상을 일으키고 세포와 조직의 탈수현상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극지에 서식하는 곤충, 식물, 효모, 세균 등에서 새로운 ... ...
- [인터뷰]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입학부장 김민주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검토 중 1박2일로 진행되는 3단계 융합 캠프는 캠프에 들어오는 순간부터 나갈 때까지 모든 부분이 평가의 대상이다. 3단계의 경우 프로그램이 매년 크게 바뀌고 있다. 김 입학부장은 “수학이나 과학과 관련된 활동 외에 체육 활동을 하기도 한다”며 “이 때는 운동을 얼마나 잘하는지를 평가하는 ... ...
- [신학기 특별기획] 영재학교·특목고·자사고 합격 전략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반영, 3학년 1, 2학기 상대평가(9등급)로 영어 점수를 매겼다면, 2019학년도부터는 2, 3학년 모든 학기 점수를 성취도 점수로 반영한다. 이에 따라 동점자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동점자 발생 시 국어 3학년 2학기, 사회 3학년 2학기 점수를 순차적으로 적용해 동점자를 가린다. 최상위권 내신 최소 AA12 ... ...
- Part 4. 빙하를 보존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끌고 있는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 제롬 샤펠라즈 연구원은 “우리의 목표는 전세계 모든 빙하에서 수백 개 이상의 빙하 코어를 추출해 미래의 과학자들에게 물려주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더 많은 나라들이 동참하기를 바란다”고 말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잠수 ... ...
- Part 1. 로봇들의 겨울 축제, 스키 로봇 챌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큰 특징은 ‘사람이 로봇을 조종할 수 없다’는 점이에요. 즉, 시합이 시작되면 로봇은 모든 동작을 스스로 해야 돼요. 기문의 위치를 파악하고, 가장 빠른 코스를 정하고, 몸을 움직여서 방향을 돌리거나 균형을 잡는 것도 모두 알아서 해야 하지요. 심지어 로봇이 넘어졌을 때에도 혼자 일어나야 ... ...
- [이달의 사물] 윷가락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나올 확률은 각각 얼마나 될까요.확률은 ‘어떤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모든 경우의 수’로 나누면 됩니다. 따라서 도는 4/16 =1/4 , 개는 6/16 = 3/8 , 걸은 4/16 = 1/4 , 윷과 모는 1/16 입니다. 즉 확률적으로 ‘개’가 ‘도’나 ‘걸’보다 많이 나오고, ‘윷’이나 ‘모’는 나올 확률이 ... ...
이전2472482492502512522532542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