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d라이브러리
"
꼭
"(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안식처다. 뒷부리숲새는 커다란 엄지발가락으로 사람이 손으로 잡듯이 대나무대를
꼭
잡고 버티고 서서 부리로 줄기에 구멍을 낸 뒤 부리를 집어넣고 낫질을 하듯이 위로 쳐서 줄기를 쪼개 안에 숨어있는 벌레를 잡아먹었다. 윗부리가 둥그렇고 아래쪽으로 휘어진 형태보다 폭이 좁고 일자로 곧게 ... ...
헐크 닮은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생체모방공학이라고 할 수 있죠. 앞으로 그런 습도계가 나오면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를
꼭
기억해 주세요. 곤충계의 헐크보다는 생체모방공학의 하나로 유명해지고 싶으니까요 ... ...
캄캄한 '그곳'에서 '오래된 시간'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혜화원 건물을 잇는 다리에 묶인 밧줄에 대롱대롱 매달려 있었다.“자일에 발 걸고 줄
꼭
잡고 힘껏 밀고 올라가!”“이렇게요? 으윽….”김아름(04학번) 씨가 날랜 몸놀림으로 동굴자일을 이용해 오르내리는 시범을 보이자 동아리의 신참내기 박용우(08학번) 씨가 이를 힘겹게 따라한다. 25℃가 넘는 ... ...
홀라당~ 뒤바뀐 달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어땠나요?”“더 빨리 돌아갈수록 자꾸 바깥쪽으로 튕겨 나가려고 했어요. 그래서
꼭
붙잡고 타야 다치지 않고 안전하게 탈 수 있었죠. 그런데 그건 왜요?”“그게 바로 원심력이에요. 원심력은 원 모양의 운동을 할 때 원의 중심에서 자꾸 멀어지려는 방향, 즉 바깥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죠. 즉 ... ...
전 소대원 몰살시킨 의문의 바이러스 GP506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적’이 아니라 오랜 세월 인간과 공생관계로 살아온 것은 아닐까.한편 영화 중반
꼭
짚고 넘어가야할 옥의 티가 있다. 사건의 열쇠를 쥔 강 상병이 심장마비를 일으키는데, 군의관이 제세동기로 심장에 전기 쇼크를 주고 심장마사지를 하지만 결국 강 상병은 사망한다.심폐소생술의 기본은 ABC다. 즉 ... ...
여드름 치료제, 폐 조직 손상 막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발표했다.건강한 폐조직을 유지하려면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VEGF)라는 인체 내 단백질이
꼭
필요하다. 폐에서 VEGF가 늘면 새로운 혈관도 많이 생성된다. 연구팀은 쥐의 폐에서 VEGF를 제거해 폐기종과 유사한 상태를 만든 뒤 쥐에게 독시사이클린을 투여했다. 그 결과 곧 폐 손상이 줄어들며 쥐의 폐가 ... ...
생물 다양성의 감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13등이다그리고 등급의 차가 같다면 밝기의 비(比)가 같고, 5등급의 차에 해당하는 비가
꼭
100이 되도록 정해져 있다따라서 1등성은 6등성보다 100배 밝으며, 1등급의 차에 해당하는 밝기의 비는 약 2512와 같다별자리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만들어진 간이성도(簡易星圖) 별자리(찾기)판이라고도 ... ...
지구 3차원 영상지도 전쟁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있는 정보가 중요하다’는 패러다임이 곧 이를 대체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자신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고 관리하는 일이 더 중요해 졌다는 뜻이다.지도는 그 자체로 훌륭한 컨텐츠지만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는 고품질의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이상의 목표를 염두에 두고 있다. ... ...
PART2 우주에 떨친 알파우먼 파워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웃음이 가득했다.우주인을 배웅하는 수많은 사람들 가운데 이 씨의 오른 편에 서서 팔을
꼭
붙잡고 이 씨에게 자신감을 북돋아 주며 얘기를 하는 사람이 있었다. 짙은 색안경을 낀 노년의 여성. 누굴까. # 장면 2지난 4월 19일, 카자흐스탄 북부의 오르스크 초원지대. 소유스 우주선의 귀환모듈이 ... ...
1998년 이서구 교수의 활성산소 신호전달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분야의 전문가가 그 분야의 연구 현황이나 전망을 소개하는 글이다. 따라서 H₂O₂가
꼭
나쁜 물질만은 아니라는 걸 입증하는데 이 교수가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2006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신희섭 박사와 함께 국가과학자 1호로 선정된 이서구 교수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