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뉴스
"
부위
"(으)로 총 2,696건 검색되었습니다.
헉! 종이 로봇의 트랜스포머 3단 변신
2014.08.08
일종의 ‘전자종이’. 잘 휘어지는 얇은 플라스틱 기판에 종이를 덧댔다. 그리고 접히는
부위
에는 형상기억 소재를 붙였다. 형상기억 소재가 접힌 자국을 기억하고 있다가 원 상태로 돌아가는 성질을 이용해 종이 스스로 몸을 접어 로봇이 만들어지도록 했다. 우드 교수는 “종이접기 방식을 ... ...
첫눈에 믿음 가는 얼굴은?
2014.08.06
사람의 사회적ㆍ감정적 행동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곳인데, 프리맨 교수는 2009년 이
부위
가 상대에게 신뢰를 표현할 때 활성화된다고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발표한 바 있다. 뉴욕대 연구팀은 신뢰를 주는 얼굴은 공통점이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신뢰도는 편도의 활성화를 통해 ... ...
[채널A] 에볼라 바이러스 대처법…김치로? 손부터 씻으세요
채널A
l
2014.08.05
얇은 점막을 통해 체내에 침투하기 때문에 감염된 사람이나 동물과 접촉한 손으로 이런
부위
를 만져 옮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음식으로 면역력을 높이기보다는 가장 중요한 매개원인 손을 청결하게 하는 것이 기본. 일반 비누보다는 약국에서 파는 소독용 에탄올이나 향균 비누를 ... ...
혈관에 ‘팔찌’ 채우니 동맥경화 ‘끝’
과학동아
l
2014.08.03
않아도 된다는 뜻이다. 류 교수는 “이 장치는 약물전달 외에도 혈관우회로 수술
부위
에 장착해 혈관이 막히는 현상을 막는데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5년 이내에 실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약물전달 분야 국제학술지인 ‘저널 오브 컨트롤드 릴리즈 ... ...
병원서 악수는 절대 금물? 가장 위생적인 인사법은 ‘이것’
동아일보
l
2014.07.30
주먹치기가 가장 위생적이라는 것이다. 이는 주먹치기가 악수 등에 비해 서로 접촉하는
부위
가 작기 때문이다. 또한 손끼리 접촉하는 시간 등도 세균 전파에 영향을 준다. 실험을 주관한 데이비드 위트워스 박사는 "주먹치기로 인사법을 대신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개인 간 전염성 질병의 감염을 ... ...
빛만 쪼여주면 암 치료 할 수 있다고?
과학동아
l
2014.07.29
것만으로도 세포내 신호 전달 성질이 변했다. 특정 위치에 지속적으로 빛을 쪼여주자 그
부위
로 세포가 모여드는 현상도 유도할 수 있었다. FGFR1은 세포의 성장에 관여하는 물질인 만큼 빛을 쪼여주는 것 만으로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거나, 각종 혈관질환을 치료할 방법의 개발이 가능할 걸로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한꺼번에 발화해 통제 불능, 즉 발작이 일어나는 상태다. 물론 발화가 일어나는 뇌의
부위
와 발작의 정도, 특성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세분된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떤 요인이 뇌의 뉴런들이 한꺼번에 작동하게 만드는 걸까. 이에 대해서는 여전히 미스터리이지만 뇌의 신호를 전달하는 ... ...
위암 종류 4가지, 새로운 분류법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7.23
해당하지 않는 나머지 유형은 ‘유전자 안전형’으로 분류됐다. 또 연구팀은 위의 각
부위
마다 성행하는 암의 종류가 다르다는 사실 역시 확인했다. 이 연구에 참여한 정재호 연세대 의대 교수는 “연구에 참여한 각국의 위암 치료가 표준화돼 있지 않아 이번 연구결과를 임상에 곧바로 ... ...
1세 아기들 뇌 직접 찍어보니…
과학동아
l
2014.07.15
참여한 모든 아기의 뇌 속 특정
부위
가 활성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활성화 된 뇌
부위
는 말소리를 구분할 수 있는 ‘상측두회(superior temporal gyrus)’와 말하기에 필요한 근육을 움직이는 ‘브로카 영역(Broca's area)’이었다. 연구팀은 ‘아기식 언어’가 따로 존재한다는 사실도 새로 발견했다. ... ...
‘RNA 막’으로 항암제 전달한다
과학동아
l
2014.07.14
활용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막에다가 항암제 물질인 ‘독소루비신’을 담은 뒤 치료
부위
에 전달한 것이다. 이 교수는 “막을 이루는 RNA의 염기서열을 조작하면 유익한 단백질이 만들어지도록 유도하는 등 막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것도 큰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